조선의 왕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왕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릉 내 (사적 제 193호)
▷ 원릉은 병풍석을 세우지 않고 난간석을 둘러 만든 쌍릉이다.
- 홍릉(弘陵, 英祖의 元妃 貞聖王后 徐氏) : 경기 고양 덕양구 용두동 산30-1 서 오릉내(사적 제198호)
*추존왕릉 - 영릉(永陵, 追尊 眞宗과 孝順王后 趙氏): 파주시 조리면 봉일천리 산 4-1 공순 영릉내(사적 제205호)
*추존왕릉 - 융릉(隆陵, 追尊 莊祖와 獻敬王后) : 화성시 태안면 안녕리 1-1(사적 제 206 호)
▷ 융릉은 세자의 묘인 원의 형식에 병풍석을 설치하고, 상계 공간과 하계 공간으로 나누어 공간을 왕릉처럼 조영하였다. 병풍석을 설치하였으나 난간석이 없으며, 병풍석 덮개의 12방위 연꽃 형의 조각은 융릉만의 독특한 형식이다. 상계에는 능침, 혼유석,망주석이 배치되어 있으며, 하계에는 문무인석, 석마가 배치되어 있다. 장명등의 8면에 조각된 매난국의 무늬는 매우 아름답다.
*22대 정조 - 건릉(健陵,正祖와 孝懿王后) : 화성시 태안면 안녕리 1-1(사적 제 206호)
▷ 건릉은 정조와 효의왕후의 합장릉이다. 합장릉이지만 융릉과 같이 혼유석이 하나이다. 병풍석이 없고 난간석을 두른 차이를 제외하고는, 거의 융릉의 상설과 흡사하다. 기단부가 향로와 같은 형태로 8면에 둥근 원을 그려 매난국의 무늬를 팔면에 새긴 장명등도 융릉과 같다. 또한 등신대에 가까운 문석인과 무석인의 조각은 매우 사실적이며, 무석인은 금관조복을 입고 있다
*23대 순조 - 인릉(仁陵, 純祖와 純元王后) :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산 13-1(사적 제 194 호)
▷ 겉으로 보아서는 혼유석을 하나만 설치하여 단릉과 같은 형식이다. 인릉의 능역에는 곡장 3면, 난간석 12칸, 석양 2쌍, 석호 2쌍, 혼유석 1개, 망주석 1쌍, 장명등 1개, 문석인과 석마 각 1쌍, 무석인과 석마 각 1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정자각과 비각, 홍살문과 재실 등이 있다
*추존왕릉 - 수릉(綏陵, 追尊 文祖와 神定王后)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산 2-1 동구릉 내 (사적 제 193호)
▷ 수릉 이전의 왕릉은 일반적으로 봉분 앞이 초, 중, 하계 3단의 높이로 나뉘어, 중계에는 문석인이, 보다 낮은 하계에는 무석인이 배치되었다. 그러나 수릉에서는 중계와 하계가 합쳐져 문석인과 무석인이 같은 공간에 배치된다. 이는 신분제도의 변화에 의한 것이며, 이러한 상설제도는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 따라 영조 때부터 따르게 되었다. 문석인은 금관조복에 얼굴이 길쭉하고 눈과 입술이 선적으로 가늘게 표현되었다. 어깨를 움츠리고 목을 앞으로 빼고 있는 형태에서 조선시대 후기 인물조각의 전형성을 볼 수 있다.
*24대 헌종 - 경릉(景陵, 憲宗과 元妃 孝顯王后 金氏, 繼妃 孝定王后 洪氏): 경기 구리 인창 동 산2-1 동구릉내
▷ 경릉(景陵)은 세 개의 봉분이 나란히 있는 조선 왕릉 중 유일한 삼연릉 형태이다. 제일 우측의 능침이 헌종의 것이고, 가운데가 효현왕후 능침이며, 좌측이 계비 효정왕후 능침이다. 이는 우왕좌비의 원칙에 따른 것으로 중국 등과는 다르게 배치되어 있어 조선 왕릉의 특징을 볼 수 있다. 모두 병풍석은 없고 난간석으로 세 능침이 이어져 있으며, 각 능침 앞에 혼유석을 따로 놓았다
*25대 철종 - 예릉(睿陵, 哲宗과 哲仁王后 徐氏) :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 38-4 서삼릉 내 (사적 제 200호)
*26대 고종 - 홍릉(洪陵, 高宗과 明成王后 閔氏) : 남양주시 금곡동 141-1 (사적 제 207 호)
▷ 홍릉은 조선시대 말기에 조성된 능역으로,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올랐기 때문에 황제릉의 양식을 따라 명나라 태조의 효릉을 본떠 조영하였다.
*27대 순종 - 유릉(裕陵, 純宗과 純明王后, 純貞王后) : 남양주시 금곡동 141-1 (사적 제 207호)
▷ 유릉은 조선의 마지막 왕릉이며, 조선 왕릉 중 한 능침에 세 명의 수장자를 합장한 유일한 동봉삼실형이다. 겉으로 보기엔 봉분이 하나여서 단릉처럼 보이지만, 그 아래 순종과 그의 두 왕비가 잠들어 있다. 홍릉과 같은 황제릉 양식으로 조성하여 정자각 대신 침전이 자리하고, 기린, 낙타, 코끼리 등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한 형태의 석물이 있다.
참조
- http://royaltombs.cha.go.kr/ (문화재청 조선왕릉전시관)
- http://cafe.daum.net/joseondynasty/ (조선왕릉 연구원 다음까페)
- http://www.historyback.com/ (조선 역사탐방)
- 네이버 지식백과

키워드

조선왕릉,   왕릉,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1.0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7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