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왕릉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여 있는데 그 크기는 가로 87센치미터, 세로 230센치미터, 두께 30센치미터가 되는 큰 돌이 놓여져 있다.
관대의 형식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무덤 현궁 중심부에 관대가 놓여 있고 그 양 옆에 보물, 명기를 둔 돌돌 만든 대가 있는 것으로 이런 형식을 갖고 있는 왕릉은 안릉, 명릉 등이 있다.
둘째. 큰 통돌만을 안칸 중심에 놓은 것으로 양릉, 현릉 등이 있다.
셋째. 관을 놓을 만한 크기의 돌을 네모나게 쌓고 가운데를 흙으로 채운 형식이다. 이런 형식을 따른 능으로는 고릉, 유릉이 있다.
넷째. 관대시설이 없고 그냥 현궁 바닥에 그대로 놓은 형식인데, 그 예로는 총릉을 들 수 있다. 이런 관대의 형식은 첫째 형식의 안릉(3대 왕인 정종)과 명릉(29대왕인 충목왕)을 보면, 시기적으로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동안의 왕릉제도의 변천에 의한 것이 아니고 해당시기의 국력의 강약, 사회정치적 환경 등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넷째 형식의 총릉을 보면 더욱 그렇게 생각된다. 총릉은 고려 30대 충정왕의 왕릉으로서 12살에 왕위에 오른 후 14살 때에 독살 당하였다.

키워드

교육,   사범,   교수,   학습,   지도,   학교,   교과,   고려왕릉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0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