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여 있는데 그 크기는 가로 87센치미터, 세로 230센치미터, 두께 30센치미터가 되는 큰 돌이 놓여져 있다.
관대의 형식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무덤 현궁 중심부에 관대가 놓여 있고 그 양 옆에 보물, 명기를 둔 돌돌 만든 대가 있는 것으로 이런 형식을 갖고 있는 왕릉은 안릉, 명릉 등이 있다.
둘째. 큰 통돌만을 안칸 중심에 놓은 것으로 양릉, 현릉 등이 있다.
셋째. 관을 놓을 만한 크기의 돌을 네모나게 쌓고 가운데를 흙으로 채운 형식이다. 이런 형식을 따른 능으로는 고릉, 유릉이 있다.
넷째. 관대시설이 없고 그냥 현궁 바닥에 그대로 놓은 형식인데, 그 예로는 총릉을 들 수 있다. 이런 관대의 형식은 첫째 형식의 안릉(3대 왕인 정종)과 명릉(29대왕인 충목왕)을 보면, 시기적으로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동안의 왕릉제도의 변천에 의한 것이 아니고 해당시기의 국력의 강약, 사회정치적 환경 등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넷째 형식의 총릉을 보면 더욱 그렇게 생각된다. 총릉은 고려 30대 충정왕의 왕릉으로서 12살에 왕위에 오른 후 14살 때에 독살 당하였다.
관대의 형식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무덤 현궁 중심부에 관대가 놓여 있고 그 양 옆에 보물, 명기를 둔 돌돌 만든 대가 있는 것으로 이런 형식을 갖고 있는 왕릉은 안릉, 명릉 등이 있다.
둘째. 큰 통돌만을 안칸 중심에 놓은 것으로 양릉, 현릉 등이 있다.
셋째. 관을 놓을 만한 크기의 돌을 네모나게 쌓고 가운데를 흙으로 채운 형식이다. 이런 형식을 따른 능으로는 고릉, 유릉이 있다.
넷째. 관대시설이 없고 그냥 현궁 바닥에 그대로 놓은 형식인데, 그 예로는 총릉을 들 수 있다. 이런 관대의 형식은 첫째 형식의 안릉(3대 왕인 정종)과 명릉(29대왕인 충목왕)을 보면, 시기적으로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양식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동안의 왕릉제도의 변천에 의한 것이 아니고 해당시기의 국력의 강약, 사회정치적 환경 등이 반영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넷째 형식의 총릉을 보면 더욱 그렇게 생각된다. 총릉은 고려 30대 충정왕의 왕릉으로서 12살에 왕위에 오른 후 14살 때에 독살 당하였다.
추천자료
국사교과서 오류
교과교육론 요약정리 (4장 교과내용의 선정)
교과내용의조직
교과서문제와 천황 및 천황제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의 개관
[교육학/초등교과교육론]동료교수법 이론유형과 활용 및 교과적용 사례 분석
국어과교육, 수학과교육, 과학과교육 일반수업모형(일반학습모형), 도덕과교육, 음악과교육, ...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의미와 성격,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선택중심교육과정, 공업계 고등...
제7차 교육과정과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어교과교육의 목표와 구체적인 교과교육 방안 탐색
교과서 분석(중학교 2학년 사회 교과서 단원 Ⅰ-3.중세 유럽의 변화)
[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거래제도][대학교과내용]농산물유통의 변화, 농산물유통의 거래...
[국어과교육] 5-6학년 읽기 영역의 내용과 교과서와의 연관 (읽기영역의 내용체계, 5-6학년 ...
[국어과교육] 5-6학년의 <읽기 영역>의 내용과 <교과서>와의 연관 (읽기 내용 체계, 5-6학년...
제 7차 국어과 교과서 분석 (교과서의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