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II.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III.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
II.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III.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
본문내용
범주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3) ‘본질’을 지식으로, ‘원리’를 ‘기능’으로 바꾸었다.
(2) 내용 체계 범주의 의미와 범주 간의 관계
1) ‘실제’는 성취 기분 선정 범주에 해당하며,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을 의미한다.
2) ‘지식’은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에서 요구되는 형식적, 본질적, 명제적 지식’을 의미한다.
3) ‘기능’은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에 관여하는 사고의 절차나 과정’을 의미한다.
4) ‘맥락’은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에서 고려해야 할 사회·문화적 배경’을 의미한 다.
나. 학년별 내용
(1) 성취 기준
성취 기준은 학습자가 국어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할 국어 능력의 내적·외적 특성을 의 미한다.
(2) 담화(또는 글, 언어 자료, 작품)의 수준과 범위
‘담화(또는 글, 언어 자료, 작품)의 수준과 범위’에 제시된 담화·글은 1) 학습자가 성취 기준에 도달한 결과 수용·생산할 수 있는 담화·글, 2) 성취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학습 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담화·글을 의미한다.
(3) 내용 요소의 예
내용 요소는 해당 성취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우고 가르쳐야 할 학습 내용을 의미한다.
3) ‘본질’을 지식으로, ‘원리’를 ‘기능’으로 바꾸었다.
(2) 내용 체계 범주의 의미와 범주 간의 관계
1) ‘실제’는 성취 기분 선정 범주에 해당하며,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을 의미한다.
2) ‘지식’은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에서 요구되는 형식적, 본질적, 명제적 지식’을 의미한다.
3) ‘기능’은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에 관여하는 사고의 절차나 과정’을 의미한다.
4) ‘맥락’은 ‘담화와 글의 수용·생산 활동에서 고려해야 할 사회·문화적 배경’을 의미한 다.
나. 학년별 내용
(1) 성취 기준
성취 기준은 학습자가 국어 수업을 통해 도달해야 할 국어 능력의 내적·외적 특성을 의 미한다.
(2) 담화(또는 글, 언어 자료, 작품)의 수준과 범위
‘담화(또는 글, 언어 자료, 작품)의 수준과 범위’에 제시된 담화·글은 1) 학습자가 성취 기준에 도달한 결과 수용·생산할 수 있는 담화·글, 2) 성취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학습 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담화·글을 의미한다.
(3) 내용 요소의 예
내용 요소는 해당 성취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우고 가르쳐야 할 학습 내용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학교교육과 성차별
7차 국어교육 - 읽기 교육에 대해서
[독서지도][독서교육][독서][교육]독서지도와 독서교육에 관한 심층 고찰(교육과정에서 독서...
[NIE][신문활용교육][신문활용수업][신문활용학습]NIE(신문활용교육)의 목적, NIE(신문활용교...
판소리를 통한 언어유희 교육
국어과 교과서 비평
국어과(국어교육) 쓰기지도(쓰기교육)의 의의와 조건, 국어과(국어교육) 쓰기지도(쓰기교육)...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성격,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목표, 한문(한문과)교육과정의 개정 ...
국어교육(국어과교육) 반응중심학습과 역할놀이학습, 국어교육(국어과교육) 개별화학습과 전...
음악감상교육지도(수업, 학습), 역할놀이교육지도(수업, 학습), 영어일기쓰기교육지도(수업, ...
미술감상교육지도(학습지도), 인성교육지도(학습지도), 조소교육지도(학습지도), 독서교육지...
‘주장하는 글’의 읽기 내용 상세화
[국어교과서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김유정의 봄봄을 중심으로 서술 방식을 통한 소설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