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뢰도(Reliability)
2. 타당도(Validity)
3. 객관도(Objectivity)
2. 타당도(Validity)
3. 객관도(Objectivity)
본문내용
수가 모집단을 잘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적용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4) 구인 타당도(Construct validity)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어떤 특성의 개념이나 이론적 구인과 관련되는 것으로, Cronbach(1970)는 ‘검사의 결과로 산출된 점수의 의미를 심리학적 개념으로 분석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때 구인이란 자아개념내향성성취동기와 같이 관찰된 유기체의 행동을 조직하고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설정한 개념이다. 예를 들면, 창의력이라는 구인을 측정하기 위한 창의력 검사가 민감성이해성도전성개방성자발성자신감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 창의력 검사가 여러 하위요인들을 가진 창의력이라는 추상적 구성개념들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곧 구인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적이고 많은 연구대상을 필요로 하는 만큼 신뢰 할 수 있고, 객관적 이라는 점은 장점이 될 수 있지만 또한 많은 연구대상을 필요로 한다.
3. 객관도(Objectivity)
측정에서의 객관성이란 동일한 사람이나 사물 등을 측정한 경우 어떠한 측정자가 측정하여도 동일한 측정 결과가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객관성에 의한 검사는 동시에 높은 신뢰성이 수반된다. 검사의 객관성을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절차에 대하여 자세한 규정을 만든다.
(2). 절차를 될 수 있도록 간소화하고 가능하면 기계적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3). 성적의 수량적 표현에 의해 평가해야 한다.
(4). 숙달된 검사자에 의해 검사해야 한다.
(5). 평가를 할 수 있는 표준이 있어야 한다.
4) 구인 타당도(Construct validity)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어떤 특성의 개념이나 이론적 구인과 관련되는 것으로, Cronbach(1970)는 ‘검사의 결과로 산출된 점수의 의미를 심리학적 개념으로 분석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때 구인이란 자아개념내향성성취동기와 같이 관찰된 유기체의 행동을 조직하고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설정한 개념이다. 예를 들면, 창의력이라는 구인을 측정하기 위한 창의력 검사가 민감성이해성도전성개방성자발성자신감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 창의력 검사가 여러 하위요인들을 가진 창의력이라는 추상적 구성개념들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 곧 구인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적이고 많은 연구대상을 필요로 하는 만큼 신뢰 할 수 있고, 객관적 이라는 점은 장점이 될 수 있지만 또한 많은 연구대상을 필요로 한다.
3. 객관도(Objectivity)
측정에서의 객관성이란 동일한 사람이나 사물 등을 측정한 경우 어떠한 측정자가 측정하여도 동일한 측정 결과가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높은 객관성에 의한 검사는 동시에 높은 신뢰성이 수반된다. 검사의 객관성을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절차에 대하여 자세한 규정을 만든다.
(2). 절차를 될 수 있도록 간소화하고 가능하면 기계적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3). 성적의 수량적 표현에 의해 평가해야 한다.
(4). 숙달된 검사자에 의해 검사해야 한다.
(5). 평가를 할 수 있는 표준이 있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