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능적 변화); 명사구가 지니고 있는 격, 의미역할에 대한 지표에 의해, 변형규칙을 마구 쓰지 않고도 이동규칙 하나만 가지고 의문문, 수동문 등을 유도해낼 수 있게 됨. 예컨대 능동문에서 수동문을 만들 때, 의미 불변을 고수하는 변형규칙과 달리, 능동문-수동문 사이의 의미의 차이에 주목하여 복잡한 규칙의 적용없이 능동문에서 수동문을 직접 유도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미디어언어]신문사의 보도언어 사용실태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장애아동 언어교육,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언어
(아동행동연구) 아동의 언어발달 이론과 연령별 언어발달, 환경과 언어발달장애 보고서
[사진, 빛, 렌즈, 표상, 영상언어, 리얼리즘, 만레이, 사진이미지, 사진표현, 사진기]사진과 ...
언어와 사고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하고,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
국어국문학과-언어학연구의 역사적 논의와 언어의 힘 A+
유아기 언어교육에 대하여 (유아기 언어 발달 이론, 유아의 쓰기 발달과 지도)
방통대 중간과제물) 외적 언어학 또는 인접과학과 언어학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
유아의 음성언어 발달 과정(또는 문자언어 발달과정)을 기초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