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론 - '정지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인론 - '정지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작가소개

2. 정지용 시 세계의 변화 양상

3. 정지용 시의 문학사적 위치

4.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5)내면적 정결성의 추구
정지용은 시론에서 정신적인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런 정신적인 것의 일환으로 그는 신앙을 주제로 한 몇 편의 작품을 써서 우리 시단에서 독보적인 카톨릭 신앙시를 남긴 바 있다. 정지용의 시는 생경한 관념의 표백이 아니라 정경의 함축을 통하여 자신이 추구하는 정신세계를 표현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시의 내면을 풍요롭게 했을 뿐 아니라 방법상의 새로움을 보여준 것이기도 하다. 일제 강점기의 시 창작 공간에서 이러한 사유와 표현의 유려한 결합을 보여준 시인은 매우 드물다. 정지용의 시는 그러한 문학사적 위상에서 더욱 생생한 빛을 발하는 것이다.
4. 한계
그의 시가 지닌 가장 큰 결함은 역사의식의 결여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시는 과거적 상상력에 편중되고 개인적 정서에 함몰되는 측면을 지님으로써 현실에 대한 성찰이나 비판의식 또는 역사의 진정한 방향성에 대한 비전을 결여함으로써 좀더 탄력 있고 건강한 시정신의 면모를 보여주지 못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숭원,『정지용』, 문학세계사, 1996
이숭원,『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태학사, 1999
권정우,『정지용의 『정시용 시집』을 읽는다』, 열림원, 2003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01.19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9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