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일자
2.실험제목
3.실습목적
4.측량장비
5.실습대상
6.실습내용
7.실습순서 및 방법
8.실습이론
9.결과
10.분석 및 고찰
2.실험제목
3.실습목적
4.측량장비
5.실습대상
6.실습내용
7.실습순서 및 방법
8.실습이론
9.결과
10.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1.305
0.052
10.521
11.931
7.5
Level⑧
15
11
1.301
1.47
0.198
10.323
11.733
15
Level⑨
15
12
1.398
1.507
0.206
10.117
11.527
5
Level⑩
5
13
1.452
0.054
10.063
11.473
합계
13.911
13.848
1.132
1.069
0.063
- 검산
∑(B.S.) - ∑(F.S.) = 13.911 - 13.848 = 0.063 ①
∑(Rise) - ∑(Fall) = 1.132 - 1.069 = 0.063 ②
최종지반고 - 최초지반고 = 10.063 - 10 = 0.063 ③
이상적인 측정치는 ① = ② = ③ 의 값이 같나와 하는데 검산 결과 모두 같은 값이 나왔다.
기준고와 마지막 측정값의 차이는 6.3cm가 나왔다.
10. 분석 및 고찰
이번 측량은 레벨을 이용한 수준측량이었다. 레벨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본관 앞 잔디밭 도로의 고저차를 측량하는 실험이었는데, 이번 측량학 수업으로 인해서 레벨이라는 기구를 처음 접하게 되어서 기구를 다루는데 있어서 생소하기도 하였다. 실험은 시작지점을 결정한 이후에 기준고를 측정한다음, 기구로부터 10∼15m 간격으로 수준척을 들고 있으면 레벨을 이용하여 수준척에 나와있는 값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10m 떨어진 지점을 측정한 값과 15m 떨어진 지점을 측정한 값을 비교하면 두 지점의 고저차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평소에는 아무 생각 없이 지나다니다보니 경사가 심한 부분이 아니면 그렇게 크게 느끼지 못했던 부분이었는데 측정값을 적어 가면서 보니, 거리가 얼마 차이나지 않는 부분에서도 높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보고 신기하게 느껴졌다. 이런식의 방법으로 도로의 고저차를 측정해 가면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을때는 우리가 처음 측정한 기준고의 값과 똑같은 값이 나와야 정확한 측정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우리조의 실험값은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다. 6.3cm 값의 차이가 생겼다. 우리가 전문적인 기술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정도의 오차는 거의 성공적이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처음에 실험을 시작할 때부터 어느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아무래도 사람이 직접 측량하다보니 정확 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환경 또한 정확한 값을 측정해 내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우리의 실험값의 오차가 발생한 이유를 생각해보자. 일단 오차는 정오차, 우연오차, 과대오차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오차의 특성에 따른 분류
· 정오차 : 물리학적 법칙에 따라서 일정하게 일어나는 오차. 보정의 대상
· 우연오차 : 오차의 원인도 크기도 알 수 없는, 모든 보정을 완료하고도 남아 있 는 오차. 조정의 대상
· 과대오차 : 관측자 또는 기록자의 실수에 의해 나타난 자료의 오류.
먼저 과대오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첫 번째로 우리가 측량하는데 있어서 레벨을 통해 수준척의 값을 읽어 낼 때 아무래도 사람이 직접 보고 값을 확인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 할 가능성이 많다. 똑같은 환경에서 값을 본다고 하더라도 사람마다 시각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다른 값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자기는 정확한 값을 확인했다고 생각 하더라도 눈으로 확인한 값이 정확하지 않았을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부분의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레벨을 통해 수준척의 값을 읽는 대신에 한 사람이 계속해서 수준척의 값을 확인해 나갔다. 이러면 아무래도 사람마다의 시각의 차이에서 나오는 오차는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수준척을 들고 있는 사람의 실수 이다. 수준척을 들고 있을 때는 연직방향으로 정확하게 들고 있어야 레벨을 보는 사람이 정확한 값을 측량해 낼 수 있다. 하지만 수준척을 들고있는 사람이 자기는 똑바로 들고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옆에서 봤을 때는 연직방향이 아닐 수 있다. 이것은 수준척을 들고 있는 사람은 파악하지 못하는 부분인 것 같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우리는 측량학 수업 때 교수님께서 얘기 하신대로 수준척을 들고 있는 사람이 수준척을 조금씩 흔들었고 레벨을 통해 측정하는 사람은 확인한 값 중에 가장 낮은 값을 확인 하였고, 그 값을 우리는 측량 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옆에서 수준척이 연직방향으로 되어있는지를 확인해 주면서 실험을 하였다. 세 번째로는 측량 중에 도로의 차가 많이 지나다녀서 실험에 방해가 되어서 측정값을 빠른 시간에 확인하고 넘어가는 부분이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조금 더 세밀하게 확인하고 측정 값을 나타내야 하는데 조금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중간에 잔디밭 위로 올라가서 측정을 하였다. 여기서 도로에서 잔디밭으로 올라가는 부분, 잔디밭에서 도로로 내려가는 부분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무래도 그 부분에서는턱이 있기 때문에 높이의 차가 심하고, 잔디밭 부분은 지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그 지점에서는 좀 더 세밀하게 실험을 하여 정확한 측정 값을 읽어 낼려고 노력하였다.
다음 정오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물리학적의 법칙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이번 라벨을 이용한 수준측량에서 정오차를 생각해보면 수준척을 들 수 있겠다. 아무래도 이것 또한 미세하겠지만 온도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또한 실험 당시에 더운 날씨였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실험 값에 반영을 했을 것이다.
우연오차 같은 경우에는 오차의 원인과 크기를 알 수 없는 오차이기 때문에 우리 실험 값에 큰 영향을 주었는지 아닌지 확인을 할 수 가 없다.
이렇게 정오차와 우리가 발생시키는 과대오차 등으로 인해서 오차가 발생하여 잔디밭의 고저차를 확인하는데 처음 값과 마지막 값이 일치가 안되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과대오차 같은 경우에는 꼭 제거해야 할 오차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주의하여 측정하여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해야겠다.
0.052
10.521
11.931
7.5
Level⑧
15
11
1.301
1.47
0.198
10.323
11.733
15
Level⑨
15
12
1.398
1.507
0.206
10.117
11.527
5
Level⑩
5
13
1.452
0.054
10.063
11.473
합계
13.911
13.848
1.132
1.069
0.063
- 검산
∑(B.S.) - ∑(F.S.) = 13.911 - 13.848 = 0.063 ①
∑(Rise) - ∑(Fall) = 1.132 - 1.069 = 0.063 ②
최종지반고 - 최초지반고 = 10.063 - 10 = 0.063 ③
이상적인 측정치는 ① = ② = ③ 의 값이 같나와 하는데 검산 결과 모두 같은 값이 나왔다.
기준고와 마지막 측정값의 차이는 6.3cm가 나왔다.
10. 분석 및 고찰
이번 측량은 레벨을 이용한 수준측량이었다. 레벨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본관 앞 잔디밭 도로의 고저차를 측량하는 실험이었는데, 이번 측량학 수업으로 인해서 레벨이라는 기구를 처음 접하게 되어서 기구를 다루는데 있어서 생소하기도 하였다. 실험은 시작지점을 결정한 이후에 기준고를 측정한다음, 기구로부터 10∼15m 간격으로 수준척을 들고 있으면 레벨을 이용하여 수준척에 나와있는 값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10m 떨어진 지점을 측정한 값과 15m 떨어진 지점을 측정한 값을 비교하면 두 지점의 고저차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평소에는 아무 생각 없이 지나다니다보니 경사가 심한 부분이 아니면 그렇게 크게 느끼지 못했던 부분이었는데 측정값을 적어 가면서 보니, 거리가 얼마 차이나지 않는 부분에서도 높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보고 신기하게 느껴졌다. 이런식의 방법으로 도로의 고저차를 측정해 가면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을때는 우리가 처음 측정한 기준고의 값과 똑같은 값이 나와야 정확한 측정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우리조의 실험값은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다. 6.3cm 값의 차이가 생겼다. 우리가 전문적인 기술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정도의 오차는 거의 성공적이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처음에 실험을 시작할 때부터 어느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왜냐하면 아무래도 사람이 직접 측량하다보니 정확 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환경 또한 정확한 값을 측정해 내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우리의 실험값의 오차가 발생한 이유를 생각해보자. 일단 오차는 정오차, 우연오차, 과대오차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오차의 특성에 따른 분류
· 정오차 : 물리학적 법칙에 따라서 일정하게 일어나는 오차. 보정의 대상
· 우연오차 : 오차의 원인도 크기도 알 수 없는, 모든 보정을 완료하고도 남아 있 는 오차. 조정의 대상
· 과대오차 : 관측자 또는 기록자의 실수에 의해 나타난 자료의 오류.
먼저 과대오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첫 번째로 우리가 측량하는데 있어서 레벨을 통해 수준척의 값을 읽어 낼 때 아무래도 사람이 직접 보고 값을 확인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 할 가능성이 많다. 똑같은 환경에서 값을 본다고 하더라도 사람마다 시각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다른 값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자기는 정확한 값을 확인했다고 생각 하더라도 눈으로 확인한 값이 정확하지 않았을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부분의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레벨을 통해 수준척의 값을 읽는 대신에 한 사람이 계속해서 수준척의 값을 확인해 나갔다. 이러면 아무래도 사람마다의 시각의 차이에서 나오는 오차는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수준척을 들고 있는 사람의 실수 이다. 수준척을 들고 있을 때는 연직방향으로 정확하게 들고 있어야 레벨을 보는 사람이 정확한 값을 측량해 낼 수 있다. 하지만 수준척을 들고있는 사람이 자기는 똑바로 들고있다고 느낄 수 있지만 옆에서 봤을 때는 연직방향이 아닐 수 있다. 이것은 수준척을 들고 있는 사람은 파악하지 못하는 부분인 것 같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우리는 측량학 수업 때 교수님께서 얘기 하신대로 수준척을 들고 있는 사람이 수준척을 조금씩 흔들었고 레벨을 통해 측정하는 사람은 확인한 값 중에 가장 낮은 값을 확인 하였고, 그 값을 우리는 측량 값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옆에서 수준척이 연직방향으로 되어있는지를 확인해 주면서 실험을 하였다. 세 번째로는 측량 중에 도로의 차가 많이 지나다녀서 실험에 방해가 되어서 측정값을 빠른 시간에 확인하고 넘어가는 부분이었다. 이런 부분에 있어서 조금 더 세밀하게 확인하고 측정 값을 나타내야 하는데 조금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중간에 잔디밭 위로 올라가서 측정을 하였다. 여기서 도로에서 잔디밭으로 올라가는 부분, 잔디밭에서 도로로 내려가는 부분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 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무래도 그 부분에서는턱이 있기 때문에 높이의 차가 심하고, 잔디밭 부분은 지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그 지점에서는 좀 더 세밀하게 실험을 하여 정확한 측정 값을 읽어 낼려고 노력하였다.
다음 정오차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물리학적의 법칙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차이기 때문에, 이번 라벨을 이용한 수준측량에서 정오차를 생각해보면 수준척을 들 수 있겠다. 아무래도 이것 또한 미세하겠지만 온도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또한 실험 당시에 더운 날씨였기 때문에 조금이나마 실험 값에 반영을 했을 것이다.
우연오차 같은 경우에는 오차의 원인과 크기를 알 수 없는 오차이기 때문에 우리 실험 값에 큰 영향을 주었는지 아닌지 확인을 할 수 가 없다.
이렇게 정오차와 우리가 발생시키는 과대오차 등으로 인해서 오차가 발생하여 잔디밭의 고저차를 확인하는데 처음 값과 마지막 값이 일치가 안되었다고 생각 할 수 있다. 과대오차 같은 경우에는 꼭 제거해야 할 오차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주의하여 측정하여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해야겠다.
추천자료
AHP를 이용한 차세대 게임기 모델 선정
경영정보 시스템의 변천
Accor Group의 Sofitel Ambassador Seoul과 Novotel Ambassador Doksan
경영정보시스템(EIS)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한 7단계
[TQM] TQM(전사적 품질관리)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성공방안
헬스클럽관리DB - 헬스클럽 관리프로그램
LG전자 LCD TV 스칼렛 분석 - 3C, STP, 4P, 전략 도출, 출처
[범죄학] 낙인이론, 차별적 접촉이론(분화적 접촉이론), 정신분석이론
통신이론 레포트
미국유학, Utha State University(USU : 유타 주립 대학교) 대학원 입학 지원부터 비자까지
[작업치료학] SCI[척수손상] level별 증상
[리스크관리][위험관리]리스크관리(위험관리)의 개념, 의의, 리스크관리(위험관리)의 정보화,...
디지털콘텐츠(디지털컨텐츠)의 가치 (기능적 가치,감성적 가치,사회적 가치,가격 결정)
[제도개혁을 통한 여성 정치 활성화] 여성 정치참여, 여성 정치참여의 필요성, 공천할당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