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출생률 감소 문제..
1. 우리나라의 출생률의 변화와 이유
1)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
2) 낮은 인구증가율의 원인
3)우리나라의 조 출생률 (Crude Birth Rate : CBR)
(1)1990년대 조 출생률과 사회적 이슈
①1990년대의 우리나라 조 출산률 통계에 대한 분석
② 1990년 대 출생률과 관련된 신문 자료들로 본 사회 이슈들...
(2) 2000년대 우리나라 조 출생률과 사회적 이슈
①2000년대의 우리나라 조 출산률 통계에 대한 분석
② 2000년 대 출생률과 관련된 신문 자료들로 본 사회 이슈들...
2. 우리나라의 출생률감소로 인한 문제점
3. 출생률 감소의 해결책
4. 저출산 문제REPORT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자료출처♠
1. 우리나라의 출생률의 변화와 이유
1)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
2) 낮은 인구증가율의 원인
3)우리나라의 조 출생률 (Crude Birth Rate : CBR)
(1)1990년대 조 출생률과 사회적 이슈
①1990년대의 우리나라 조 출산률 통계에 대한 분석
② 1990년 대 출생률과 관련된 신문 자료들로 본 사회 이슈들...
(2) 2000년대 우리나라 조 출생률과 사회적 이슈
①2000년대의 우리나라 조 출산률 통계에 대한 분석
② 2000년 대 출생률과 관련된 신문 자료들로 본 사회 이슈들...
2. 우리나라의 출생률감소로 인한 문제점
3. 출생률 감소의 해결책
4. 저출산 문제REPORT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자료출처♠
본문내용
있는 정책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것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자식을 갖지 못하는 부모들에게는 여성이 일을 함으로서 가정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었고, 부모들이 아이를 나아서 기르는데 있어서 출산 휴가를 잘 낼 수 있어서 안심하고 출산 휴가를 낼 수 있는 정책이었다. 이런 이야기는 예전에 들었던 3학년1학기때 보육학개론이라는 수업에서도 알 수가 있었다. 거기서 스웨덴의 보육 시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아기를 나아서 출산 휴가를 약 5년정도 받을 수 있었고, 출산 휴가를 받은 상태에서도 월급을 받을 수가 있었다. 또한 값이 싸고 시설이 좋은 국 공립 보육시설이잘 되어 있어서 부모가 아이를 안심하고 맡기고 일을 할 수가 있었다. 이렇듯 스웨덴은 우리나라와 달리 금전적으로만 해결을 하지 않았고 본질적인 문제에 접근을 했던 것 같다.
또한 영국과 독일도 각종 세금을 면제해주고 출산 기피 원인으로 꼽히는 직장내 여성 차별적 요소를 없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해결책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스웨덴처럼 출산 휴가 뿐만 아니라 육아 휴직에 대한 철저한 정책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보건 복지부에 따르면 2006년 정책 중에서 육아휴직에 대한 급여 인상에 대한 글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급여인상에 관한 문제이지 육아휴직을 거부 했을 때 에 대한 법이 있었으면 한다. 아이들이 태어나고 가장 먼저 사회적 관계를 맺는 사람이다. 그리고 아이들이 정서적 신체적으로 건강하게 자라려면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 형성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출산 휴가나 육아휴직을 받고 싶어 하지만 회사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내세우며 여성들에게 차별대우를 하고 있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그런 것은 오히려 출산을 방해 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니 출산휴가 거부나 부당한 아유로 해고를 했을 경우 어떠한 법적 대응이 있었으면 좋겠다.
두 번째로, 유아 보육시설의 확충과 보육시설이 지금의 시설보다 개선이 되었으면 한다. 몇 달 전에 이런 기사를 본적이 있다. 우리나라 유아보육시설에서 아동을 학대 한다거나 쓰레기 급식을 먹이고 있으며, 어떤 곳에서는 성추행도 일어났다고 한다. 이런 식이면 부모들은 아이들을 맡길 수가 없을 것이다. 아이들을 맡기는 보육시설이 정서적으로 안정 될 수있고 안전한 보육시설을 많이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보육시설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들었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도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또한 부모가 아이를 보육시설에 데려다 부고 회사에 가는 번거러움이 없도록 부모가 일하는 회사에 유아 보육시설을 만들어서 부모들이 점심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잠깐 이라도 아이와 대화를 할 수있고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자주 만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또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방과후 보육시설도 확충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위의 해결책이 아니더라도 많은 해결책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우리나라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저출산 해결 정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4. 저출산 문제REPORT에 대한 나의 생각
이번 과제를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무리 찾아봐도 자료를 찾는 것이 힘들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교수님께 계속 조언도 구해봤지만 너무 어려워서 이 report를 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이고 싫은 일일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하다보니 아주 즐거운 레포트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저기서 여러 가지 자료들을 찾고 또 읽으면서 느낀 것은 우리가정의 문제가 가정의 문제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함께 움직이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한가지예로 들자면 IMF이후에 급격하게 출생인구가 줄어든 것과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되면서 저출산 문제가 대두된 것.. 이런 것을 보면서 사회가 변화하면서 가정도 변화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저출산 문제에 대해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 수가 있었다. 1990년대에는 그전까지 인구증가억제정책을 하고있어서 그런지 갑자기 저하된 인구문제에 대해서 그냥 출산률이 많이 낮아지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고 있고 그 시대에는 저 출산의 원인의 대부분이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라는 기사가 많았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는 좀더 구체적으로 저출산의 문제가 정확히 무엇이며 저출산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들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서 많이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2000년대의 주요 원인은 여성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문제가 나오면서 여성 중심으로 원인이 많이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사회적 이슈가 다르면 문제의 원인과 그 년도의 기사의 초점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내가 좀더 가정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전까지는 통계청에도 관심이 없었고 사회문제를 다룬 신문을 자주 보지 못했으며 보건복지부가 있는지도 잘 몰랐었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곳에 지금 가정과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필요한 자료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부터라도 많은 정보를 입수해서 나의 지식을 넓게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저출산 문제가 아주 심각하다고 생각을 한다. 위에서도 언급 했지만 인구가 없으면 우리나라의 경제 활동도 국가적인 힘도 줄어들게 되고, 무자녀 가정의 가정 파탄문제나 외톨이 아동들을 생각하면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빨리 해결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
우리가정은 아이가 3명이다. 나는 나중에 아이를 낳는다면 아동을 최소한 3명 정도 낳고 싶다라는 생각을 했다. 나의 아이가 자라는 것을 보면서 우리아이를 사랑하면서 사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을 한다. 아이들이 있으면 부부가 책임감이 생겨 가정에 더 충실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을 한다, 내가 나중에 결혼을 해서 자녀를 낳아서 기를 때는 사회적으로 제도가 잘 되어있어서 안심하고 자녀를 기를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 레포트를 마친다.
♠참고자료출처♠
1. 통계청 홈페이지
2. 동아일보 홈페이지
3.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4. 한계례신문 홈페이지
5. 네이버 블로그 자료
또한 영국과 독일도 각종 세금을 면제해주고 출산 기피 원인으로 꼽히는 직장내 여성 차별적 요소를 없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해결책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스웨덴처럼 출산 휴가 뿐만 아니라 육아 휴직에 대한 철저한 정책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 보건 복지부에 따르면 2006년 정책 중에서 육아휴직에 대한 급여 인상에 대한 글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급여인상에 관한 문제이지 육아휴직을 거부 했을 때 에 대한 법이 있었으면 한다. 아이들이 태어나고 가장 먼저 사회적 관계를 맺는 사람이다. 그리고 아이들이 정서적 신체적으로 건강하게 자라려면 부모와의 안정된 애착 형성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출산 휴가나 육아휴직을 받고 싶어 하지만 회사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내세우며 여성들에게 차별대우를 하고 있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그런 것은 오히려 출산을 방해 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니 출산휴가 거부나 부당한 아유로 해고를 했을 경우 어떠한 법적 대응이 있었으면 좋겠다.
두 번째로, 유아 보육시설의 확충과 보육시설이 지금의 시설보다 개선이 되었으면 한다. 몇 달 전에 이런 기사를 본적이 있다. 우리나라 유아보육시설에서 아동을 학대 한다거나 쓰레기 급식을 먹이고 있으며, 어떤 곳에서는 성추행도 일어났다고 한다. 이런 식이면 부모들은 아이들을 맡길 수가 없을 것이다. 아이들을 맡기는 보육시설이 정서적으로 안정 될 수있고 안전한 보육시설을 많이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보육시설에 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고 들었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보조금도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또한 부모가 아이를 보육시설에 데려다 부고 회사에 가는 번거러움이 없도록 부모가 일하는 회사에 유아 보육시설을 만들어서 부모들이 점심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잠깐 이라도 아이와 대화를 할 수있고 부모가 자신의 아이를 자주 만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또한 학령기 아동을 위한 방과후 보육시설도 확충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위의 해결책이 아니더라도 많은 해결책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우리나라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저출산 해결 정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4. 저출산 문제REPORT에 대한 나의 생각
이번 과제를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아무리 찾아봐도 자료를 찾는 것이 힘들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교수님께 계속 조언도 구해봤지만 너무 어려워서 이 report를 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이고 싫은 일일 것이라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하다보니 아주 즐거운 레포트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기저기서 여러 가지 자료들을 찾고 또 읽으면서 느낀 것은 우리가정의 문제가 가정의 문제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함께 움직이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한가지예로 들자면 IMF이후에 급격하게 출생인구가 줄어든 것과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되면서 저출산 문제가 대두된 것.. 이런 것을 보면서 사회가 변화하면서 가정도 변화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저출산 문제에 대해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을 느낀 수가 있었다. 1990년대에는 그전까지 인구증가억제정책을 하고있어서 그런지 갑자기 저하된 인구문제에 대해서 그냥 출산률이 많이 낮아지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고 있고 그 시대에는 저 출산의 원인의 대부분이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라는 기사가 많았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는 좀더 구체적으로 저출산의 문제가 정확히 무엇이며 저출산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들은 무엇이 있는가에 대해서 많이 언급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 또한 2000년대의 주요 원인은 여성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문제가 나오면서 여성 중심으로 원인이 많이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사회적 이슈가 다르면 문제의 원인과 그 년도의 기사의 초점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내가 좀더 가정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전까지는 통계청에도 관심이 없었고 사회문제를 다룬 신문을 자주 보지 못했으며 보건복지부가 있는지도 잘 몰랐었다. 하지만 의외로 이런 곳에 지금 가정과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필요한 자료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부터라도 많은 정보를 입수해서 나의 지식을 넓게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저출산 문제가 아주 심각하다고 생각을 한다. 위에서도 언급 했지만 인구가 없으면 우리나라의 경제 활동도 국가적인 힘도 줄어들게 되고, 무자녀 가정의 가정 파탄문제나 외톨이 아동들을 생각하면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가 빨리 해결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다.
우리가정은 아이가 3명이다. 나는 나중에 아이를 낳는다면 아동을 최소한 3명 정도 낳고 싶다라는 생각을 했다. 나의 아이가 자라는 것을 보면서 우리아이를 사랑하면서 사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을 한다. 아이들이 있으면 부부가 책임감이 생겨 가정에 더 충실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생각을 한다, 내가 나중에 결혼을 해서 자녀를 낳아서 기를 때는 사회적으로 제도가 잘 되어있어서 안심하고 자녀를 기를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이 레포트를 마친다.
♠참고자료출처♠
1. 통계청 홈페이지
2. 동아일보 홈페이지
3.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4. 한계례신문 홈페이지
5. 네이버 블로그 자료
추천자료
자원봉사론A형 공통현대사회 문제 중 하나인 여성문제해결을 위한 자원봉사 활용전략 (여성 ...
정신건강론_현대사회의 병리라고 생각되는 사회문제의 문제점과 대책
[노인문제][노인자원봉사활동][자원봉사활동]현대사회의 노인문제, 노인문제의 원인, 실태와 ...
현대사회의 병리라고 생각되는 사회문제를 한 가지 선정하여 그 문제점과 대책
[윤리적 문제][안락사][대리모][인간복제][가상공간 윤리적성찰]현대사회 윤리적 문제, 안락...
[윤리문제][대리모][줄기세포][방송취재][의료광고][낙태]대리모의 윤리문제, 줄기세포의 윤...
현대사회와 탈현대사회 -인종차별이라는 사회적 문제
가족의 기원과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인의 의견을 서술 (가족의 기원, 현대사회 가족의 ...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하나 선정하고 그 문제 ...
[자원봉사론4공통]현대사회의 여러가지사회문제중 하나를 골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
현대사회現代社會와기술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현대사회와 기술 - 현대사회의 노인문제
현대사회의 가족의 문제점에 따른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쓰고, 가족의 문제를 사정하는 ...
현대사회에서 빈곤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