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평가
통합
적용
평가
통합
적용
본문내용
) 선교사가 동역자를 키우는 방법. (3) 외부인사를 영입하는 방법. (4) 타 선교사에게 현지인에게 인계하는 방법이 있다.
2) 현지인 지도력 개발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3) 현지인과의 효과적 사역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필요하다.
선교사의 사역은 성육신의 사역(inxarnational ministry)이 되어야 한다. 즉 최초의 선교사이신 예수님의 모델(빌2:5-11)처럼 현지인 속 깊숙이 들어가 희생을 하는 것을 말한다. harriet hill은 몇 가지 선교사의 성육신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으로 현지인들과의 친분관계(griendship)를 제시한다. 그의 이론은 이렇다.
(1) 초문화권 친분관계는 의도적인 자세로 이루어져야 한다. -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이어야 한다.
(2)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그들과의 삶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그들 속에 깊숙이 들어가라.
(3)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서로가 이질적인 것과 동질적인 것을 인정하여야 한다.
(4)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물질적인 갭이 줄여져야 한다.
(5)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서로가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 기도와 예배행위를 통하여 하나 되는 분위기를 창출하여야 한다.
(6)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선택적이어야 한다. - 모든 사람들에게 친구관계는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7)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화기애애한 (flexible) 관계이어야 한다.
이러한 관계가 이루어질 때에만이 현지인과의 소통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동역자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현지인과의 다양한 협력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첫째 IMF(Indonesian Missiona ary Fellowship)선교단체와의 협력사역
둘째 PPWMI(Philippines Partners for World Mission Inc)의 설립과 협력관계
셋째 싱가폴 지도력 개발과 협력사역을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선교는 이제 전략적인 차원에서 성숙해야 할 때가 왔다고 본다. 한국 선교사들과의 협력관계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현지 선교 단체와 교회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1) 선교단체나 선교사들의 국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선교지도자들이나 선교사들의 언어(특히 영어)의 훈련이 필요하다.
3) 우리만의 선교라는 우월감에서 벗어나 모든 교회가 이 복음을 들고 나아가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의식을 고취하는 선교로 전향하여야 한다.
4) 선교사들이 자국적 선교에서 다국적 선교로 전향하여 현지인들과 협력하여야 한다.
5) 국제적인 유능한 선교단체들과 종속이 아닌 협력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이 우리의 지도력이 개발될 수 있다. 현지인들과 동역관계, 협력관계만 수립된다면 그곳에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이 가능성을 제쳐 놓고 한국선교사들끼리만 하거나 협력관계는 열매의 차원에서나, 선교의 질의 차원에서, 그리고 즐거움의 차원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관계로 선교회나 선교사는 이 관계를 소중히 여기지 않으면 안된다. 혼자 할 수 없는 일도 같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현지인 지도력 개발 차원에서도 필요하다.
3) 현지인과의 효과적 사역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필요하다.
선교사의 사역은 성육신의 사역(inxarnational ministry)이 되어야 한다. 즉 최초의 선교사이신 예수님의 모델(빌2:5-11)처럼 현지인 속 깊숙이 들어가 희생을 하는 것을 말한다. harriet hill은 몇 가지 선교사의 성육신적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으로 현지인들과의 친분관계(griendship)를 제시한다. 그의 이론은 이렇다.
(1) 초문화권 친분관계는 의도적인 자세로 이루어져야 한다. -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이어야 한다.
(2)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그들과의 삶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그들 속에 깊숙이 들어가라.
(3)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서로가 이질적인 것과 동질적인 것을 인정하여야 한다.
(4)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물질적인 갭이 줄여져야 한다.
(5)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서로가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 기도와 예배행위를 통하여 하나 되는 분위기를 창출하여야 한다.
(6)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선택적이어야 한다. - 모든 사람들에게 친구관계는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7) 초 문화권 친분관계는 화기애애한 (flexible) 관계이어야 한다.
이러한 관계가 이루어질 때에만이 현지인과의 소통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동역자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현지인과의 다양한 협력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첫째 IMF(Indonesian Missiona ary Fellowship)선교단체와의 협력사역
둘째 PPWMI(Philippines Partners for World Mission Inc)의 설립과 협력관계
셋째 싱가폴 지도력 개발과 협력사역을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 선교는 이제 전략적인 차원에서 성숙해야 할 때가 왔다고 본다. 한국 선교사들과의 협력관계도 중요하지만 이제는 현지 선교 단체와 교회들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1) 선교단체나 선교사들의 국제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선교지도자들이나 선교사들의 언어(특히 영어)의 훈련이 필요하다.
3) 우리만의 선교라는 우월감에서 벗어나 모든 교회가 이 복음을 들고 나아가야 한다는 시대적 사명의식을 고취하는 선교로 전향하여야 한다.
4) 선교사들이 자국적 선교에서 다국적 선교로 전향하여 현지인들과 협력하여야 한다.
5) 국제적인 유능한 선교단체들과 종속이 아닌 협력관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이 우리의 지도력이 개발될 수 있다. 현지인들과 동역관계, 협력관계만 수립된다면 그곳에는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이 가능성을 제쳐 놓고 한국선교사들끼리만 하거나 협력관계는 열매의 차원에서나, 선교의 질의 차원에서, 그리고 즐거움의 차원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관계로 선교회나 선교사는 이 관계를 소중히 여기지 않으면 안된다. 혼자 할 수 없는 일도 같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북한선교와 통일선교전략
우리나라의 개고기 문화에 대하여
해석학 및 포스토 모더니즘 인류학
에번스 프리처드와 클리퍼드 기어츠의 인류학의 해석학적 흐름
참여관찰에 기초한 인류학적 조사방법-민족지에(Ethnography)에 대해서
[사회인류학]상징과 의례
[인류학] 권력과 정치
‘낯선 문화’에 대한 이해와낯선 문화와의 비교를 위해 현장으로 가야 하는 이유는? (A+...^^)
[교회][선교적 기능][음악][세례의식][교육][가상교회][인터넷교회][여성교회]교회의 개념, ...
인류학 - 인류의 다양성을 연구
중국선교
인류학의 발달과 제 이론
선교와 성령
대중문화에 대한 한국교회의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