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학의 발달과 제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류학의 발달과 제 이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1. 인류학 내의 일반적인 시각
2. 인류학의 태동
3. 진화주의
1) 단선진화론
2) 보편진화론
3) 다선진화론
4. 전파주의
5. 기능주의와 구조기능주의
1) 말리노프스키의 기능주의
2) 래드클리프-브라운의 구조기능주의
6. 행위중심적 접근
7. 상대주의
8. 구조주의 언어학과 구조주의 인류학
1) 소쉬르와 구조주의 언어학
2) 레비스트로스와 구조주의 인류학
9.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1) 후기구조주의
2) 여성주의
10. 포스트모더니즘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살펴 볼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두 포괄하는 시각임을 알 수 있다.
2) 여성주의
여성주의는 거창한 이론적 문제보다는 성역할과 성별 상징화 같은 구체적인 이슈에 뿌리를 둔다. 하지만 그것은 성별 연구의 실질적 영영 뿐만 아니라 인류학 전반에 걸쳐 이론적 패러다임의 지위를 얻었다. 여성주의는 여성과 여성의 종속 그 자체에 대한 좁은 관심에서 벗어나 성찰성, 성별에 따른 권력관계, 상징적 결합을 비롯한 사회생활 전반에 관해 보다 일반적인 시각을 포괄하게 되었다. 따라서 여성주의 역시 여러 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연구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10.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50년대 미술과 건축양식의 연구에서 유행한 후 70년대 말과 80년대 초에 인류학에 유입되었다. 이 시기 인류학 내부의 발전도 포스트모더니즘의 사고에 보다 개방적일 수 있었으며, 인류학의 식민주의적 성향과 제국주의적 기반에 대한 비판도 이루어졌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든 ‘근대적’이해와 인류학의 거대이론을 거부하고 다양한 종류의 사고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성격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일환인 <문화 쓰기>에 반영된다. <문화 쓰기>는 기존의 과학적 연구 방법을 거부하고, 글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형식적인 조사와 분석의 방법보다 인간적인 이해를 통해 통찰력을 얻으려고 시도하는 경향이다. 요약하자면 포스트모더니즘은 거대서사(거대담론- 윤리, 도덕, 이론 등과 같이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의 기술)에 반대하고 소서사적 문제(구체적 사실이나 지엽적인 내용을 객관적으로 기술, 즉 다양한 가치와 신념을 지닌 문화집단을 인정하고 그들 생활 속에 존재하는 작은 이야기들에 관심을 가진다)에 접근하자는 움직임이다.
나가며
지금까지 인류학의 이론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인류학 이론의 발달과정을 정리해보면 인류학 초기 단계에서 등장했던 진화론은 흔히 19세기 이론으로 여겨지지만 아직도 사랑받고 있다. 즉 진화주의는 20세기 후반 일부 인류학자들의 인간의 문화적 기원을 탐구하는 움직임으로 이어졌으며 고고학, 언어학, 인간유전학 등 인접분야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순수하고 극단적인 전파주의는 사라진지 오래지만, 역사적 특수성에 대한 관심이나 문화영역의 개념처럼 전파주의 학파에서 유래한 사상은 최근 인류학 연구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문화 사이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큰 비중을 두게 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상대주의는 보아스 이후 미국 인류학 전통을 규정해온 뚜렷한 특징이었다. 인간 문화의 다양성을 연구한다는 성격 자체로부터 그 문화를 고유한 관점에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면에서 어떻게 보면 모든 인류학은 상대주의적인 성격을 가진다.
전파주의와 마찬가지로 현재 기능주의라는 단어와 관련된 인류학자는 거의 없다. 하지만 기능주의 방법론은 인류학 현지조사의 틀을 제시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즉 조사현장에 있는 모든 인류학자는 사회제도들이 서로 연결되고 개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기능주의자인 것이다.
행위중심적 접근은 기능주의 직후에 전성기를 누렸다. 오늘날의 인류학은 사회변화를 설명할 때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을 반드시 고찰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으므로 이러한 접근은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행위중심적 접근은 기능주의와 구조주의에서 발견되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개념들을 수정하기 좋은 수단이다.
포스트모더니즘,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는 인류학자의 문화와 정보제공자의 문화 사이의 관계를 강조한다. 특히 그 접근들은 각기 나름대로 상대를 이해하는 행위자인 인류학자와 정보제공자의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즉 인류학자는 정보제공자와의 접촉과정에서 자신의 행위와 목적의식을 재해석해야만 한다는 입장이다.
인류학은 자신의 과거를 상당히 의식하는 학문이다. 인류학 이론은 복잡한 역사를 지니지만, 그 구조는 개별 학자들이 미친 영향, 국가별 전통의 발달 및 전통 간의 상호작용, 새롭게 떠오른 관심의 초점, 인류학 안팎의 새로운 사상, 20~30년 마다 등장하는 거대한 시각 등을 통해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 사이의 관계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류학의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도 달리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앨런 바너드 지음 김우영 옮김, 인류학의 역사와 이론, 한길사, 2003.
존 모나한/피터 저스트 지음 김경안 옮김, 인류학이란 무엇인가, 동문선, 2006.
한국문화인류학회, 처음 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2003.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5.27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