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체의 색조가 백색이기 때문에 백색, 희백색의 것이 많아 백색토기로 불린다. 석영혼입계 옹형토기는 대형토기를 제외하고는 회전대 위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구연부에 대한 회전물손질흔과 저부에 남은 실로떼기 흔적으로 추론된다. 기본성형은 저부 점토판 위에 점토띠쌓기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 승문타날이 가해진다.
이 시기 낙랑지역과 요동지역은 부장토기의 종류와 구성이 서로 크게 다른데, 특히 후한대 이후 요동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니질계의 정형토기와 세장경호는 한반도 서북지역에서는 일체 발견되지 않는다. 낙랑토기는 회전대 위에서 성형이 끝나면 대개 실로떼기로 분리하여 저부를 타날로 정형하거나 손에 든 상태에서 깎기조정하여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요동한묘 출토 토기는 고배형토기, 혹은 일부 명기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토기 저부에서 회전깎기 기법이 관찰된다.
정리하자면 낙랑토성에서 출토된 토기는 태토에 의해 니질계 토기, 활석혼입계 토기, 석영혼입계 토기로 나뉜다. 니질계 토기는 점토띠쌓기와 타날로 기본형을 만들고(1차성형), 이를 타날과 회전물손질로 크게 변형시키는 것(2차성형)이 기본이다. 반면 활석혼입계 토기는 형뜨기와 타날(1차성형), 그리고 점토띠쌓기와 회전물손질로(2차성형) 마무리된다. 석영혼입계 토기도 2차적인 변형없이 점토띠쌓기와 타날로 형태를 갖추고 회전물손질로 구연부를 마무리한다. 제작에 사용되는 도구는 니질계 토기는 1차성형에서 노끈을 2차성형에서 목제 내박자를 사용하며 활석혼입계 토기는 무문타날에 내박자의 사용여부가 뚜렷하지 않고, 석영혼입계 토기는 1차성형과정에서 노끈을 감은 타날구를 사용하지만 내박자는 거의 무문이다. 또한 바탕흙과 함께 혼입된 비짐 역시도 서로 뚜렷하게 다르다. 끝으로 낙랑토성은 수공업 생산의 거점으로 기능하였는데, 생산품목에는 기와나 토기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동강과 재령강을 중심으로 연결된 수상 교통망을 가지는데, 이러한 수교를 이요해 각지에서 채굴된 점토와 비짐들을 토성 내로 운반하였을 것이다.
+질문
1. 본 논문에서는 낙랑토성의 토기를 분류하고 검토하였는데, 낙랑토성 이외의 다른 낙랑계 유적에서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 나오는지 궁금하다.
2. 본 논문에서는 일부 고분 부장토기에서는 시유도기도 출토된다고 하였는데, 시유도기를 뺀 나머지 니질계, 활석혼입계, 석영혼입계에 관해서만 말하고 있다. 시유도기의 성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
이 시기 낙랑지역과 요동지역은 부장토기의 종류와 구성이 서로 크게 다른데, 특히 후한대 이후 요동지역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니질계의 정형토기와 세장경호는 한반도 서북지역에서는 일체 발견되지 않는다. 낙랑토기는 회전대 위에서 성형이 끝나면 대개 실로떼기로 분리하여 저부를 타날로 정형하거나 손에 든 상태에서 깎기조정하여 마무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요동한묘 출토 토기는 고배형토기, 혹은 일부 명기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토기 저부에서 회전깎기 기법이 관찰된다.
정리하자면 낙랑토성에서 출토된 토기는 태토에 의해 니질계 토기, 활석혼입계 토기, 석영혼입계 토기로 나뉜다. 니질계 토기는 점토띠쌓기와 타날로 기본형을 만들고(1차성형), 이를 타날과 회전물손질로 크게 변형시키는 것(2차성형)이 기본이다. 반면 활석혼입계 토기는 형뜨기와 타날(1차성형), 그리고 점토띠쌓기와 회전물손질로(2차성형) 마무리된다. 석영혼입계 토기도 2차적인 변형없이 점토띠쌓기와 타날로 형태를 갖추고 회전물손질로 구연부를 마무리한다. 제작에 사용되는 도구는 니질계 토기는 1차성형에서 노끈을 2차성형에서 목제 내박자를 사용하며 활석혼입계 토기는 무문타날에 내박자의 사용여부가 뚜렷하지 않고, 석영혼입계 토기는 1차성형과정에서 노끈을 감은 타날구를 사용하지만 내박자는 거의 무문이다. 또한 바탕흙과 함께 혼입된 비짐 역시도 서로 뚜렷하게 다르다. 끝으로 낙랑토성은 수공업 생산의 거점으로 기능하였는데, 생산품목에는 기와나 토기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동강과 재령강을 중심으로 연결된 수상 교통망을 가지는데, 이러한 수교를 이요해 각지에서 채굴된 점토와 비짐들을 토성 내로 운반하였을 것이다.
+질문
1. 본 논문에서는 낙랑토성의 토기를 분류하고 검토하였는데, 낙랑토성 이외의 다른 낙랑계 유적에서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 나오는지 궁금하다.
2. 본 논문에서는 일부 고분 부장토기에서는 시유도기도 출토된다고 하였는데, 시유도기를 뺀 나머지 니질계, 활석혼입계, 석영혼입계에 관해서만 말하고 있다. 시유도기의 성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
추천자료
[신문][신문산업][신문개혁][신문시장][신문위기]신문(신문산업)의 특징, 신문(신문산업)의 ...
다문화교육의 내용과 특징 및 다문화교육의 과제에 대한 논의(유아사회교육)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방송인력][방송전문가]방송인력(방송전문가) 양성의 중요성과 방송인력(방송전문가)의 현황,...
[문화행정]문화행정(문화정책)의 의미, 문화행정(문화정책)의 종류, 문화행정(문화정책)의 특...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추진방향과 향후과제
다문화가정의 과제와 방안
[NHRD]국가인적자원개발(NHRD)의 개념과 현황, 국가인적자원개발(NHRD)의 영역과 주요내용, ...
[문화예술][문화예술정보시스템]문화예술의 중요성, 문화예술의 재정투자, 문화예술과 인터넷...
[청소년복지][청소년문제][청소년문화]청소년문화, 청소년문제에 따른 청소년복지정책 고찰과...
다문화가정 대학 과제 PPT
한류문화의 특징과 과제에 대하여 논하시오 : 한류문화
현대의서양문화C형+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지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