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이론적 배경
물리적 단서의 정보량과 역치
가설
2. 실험 설계 및 절차
피험자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절차
3. 결과
RT
지각된 방해감
4. 논의
이론적 배경
물리적 단서의 정보량과 역치
가설
2. 실험 설계 및 절차
피험자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절차
3. 결과
RT
지각된 방해감
4. 논의
본문내용
지각된 방해감에서 가설 ㄱ,ㄴ,ㄷ이 지지된 사실은 음변화의 역치가 박자변화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작업기억의 부담이 소음의 방해를 크게 할 것이라는 우리 가설과 일치한다. Treisman의 이론과 연결지어서, 음이 변화하는 소음이 사람들에게 더 '의미있게' 들리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낮은 역치를 가지고 있어서 의식적 지각을 할 확률이 높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다.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인지적 부담은 커지게 되고, 적절한 대상을 선택하는 데 사용할 자원이 부족하게 된다는 Lavie의 이론 또한 가설 ㄷ)와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