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normalization)에 대한 개념정리 및 느낀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화(normalization)에 대한 개념정리 및 느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5. 결론
우리나라의 정상화는 장애인 복지에서 출발하였다. 장애복지사업의 내용은 1981년 세계장애인의 해와 장애인 올림픽이 개최된 1988년도를 기점으로 해서 크게 달라지고 있다. 즉 장애 아동의 수용, 보호의 차원에서 장애인들의 다양한 복지욕구에 따라 장애인들의 자립, 자활할 수 있도록 법적 장치를 보완하는 등 장애인 복지증진을 도모하는 시점으로 전환되고 있다. 정상화는 장애인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며,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장애인을 비롯한 노약자, 학교부적을 청소년, 결손가정의 가족 구성원, 미혼모의 여성등 사회적 가치절하를 받는 지역사회 구성의 모두를 포함 시켜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초기 단계로서의 정상화를 도입함에 있어서 몇 가지 수행해야 할 과제가 있다. 이는 크게 동화와 이화의 두 가지 차원에서 볼 수 있다
1) 동화의 차원
ㆍ가치절하의 사회적인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
ㆍ가치절하자의 부정적인 심리적 환경, 즉 사회의 부정적 기대로 절하된 자신의 가치로 발 생된 거부, 억압, 부정 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ㆍ가치절하자들이 동화되어 생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2) 이하의 차원
ㆍ가치절하자에게 역량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들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적합한 과업 수준을 성취 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어야하고, 긍정적 이미지를 학습할 수 있는 모델 링 기회를 역량을 확대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ㆍ개인차에 의해 차별된 이들의 권리가 옹호될 수 있도록 권리옹호센터와 같은 기구가 마련 될 필요가 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2.16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14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