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흙을 밟는 발바닥의 감각을 느껴보라, 그것으로부터 교육은 시작된다
놀면서 배운다: 혼자서도 잘해요
여백이 있는 교육
하면 된다,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왜’해야 하는지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작은 교육
흙을 밟는 발바닥의 감각을 느껴보라, 그것으로부터 교육은 시작된다
놀면서 배운다: 혼자서도 잘해요
여백이 있는 교육
하면 된다, 그러나 무엇을 어떻게‘왜’해야 하는지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작은 교육
본문내용
있는 사람으로서 이 책에서 주장하는 작은 학교에, 기존 교육기관 중 현재 가장 가까운 형태가 바로 유치원이라는 점도 반가운 일이었다. (저자들은 동의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읽는 내내 로버트 풀검의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모두 유치원에서 배웠다”라는 책 제목이 떠올랐다.
앞으로 교육현장에 가서 지금 내가 정의 내린 교육을 그대로 적용하기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고, 나의 교육관에 수정해야할 오류가 있을 수도 있지만,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작은 아이들의 작은 능력은 앞으로 크게 자라날 가능성을 품고 있는 씨앗이라는 것이다. 나는 그런 아이의 작은 능력과 그 존재를 이해하고 사랑하고 존중해 줄 것이다. 유치원 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책임감은 바로 사랑과 이해와 존중에 있으므로.
앞으로 교육현장에 가서 지금 내가 정의 내린 교육을 그대로 적용하기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고, 나의 교육관에 수정해야할 오류가 있을 수도 있지만, 절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작은 아이들의 작은 능력은 앞으로 크게 자라날 가능성을 품고 있는 씨앗이라는 것이다. 나는 그런 아이의 작은 능력과 그 존재를 이해하고 사랑하고 존중해 줄 것이다. 유치원 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책임감은 바로 사랑과 이해와 존중에 있으므로.
추천자료
[인문대]-나의 인생의 작은 낙서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읽고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서평 및 분석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을 읽고...
4)음악-12. 작은세상 - 악곡의 특징을 알고 노래 부르기, 여린내기 4박자 지휘하기
4)음악-12. 작은 세상 - 차례가기와 뛰어가기 가락 찾아 부르기, 간단한 겹리듬 만들기
4)음악-12. 작은 세상 - 차례가기와 뛰어가기 가락 찾아 부르기, 4박자 리듬치기 만들기
[독후감]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읽고 _ 조세희 저
언어학 중심으로 감상한 <작은 신의 아이들 (Children Of A Lesser God)>
[감상문] 김서령 『작은 토끼야, 들어와 편히 쉬어라』비평문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감상문, 독후감
[독후감]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