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3. 방법
4. 측정 및 분석
5. 검토
2. 이론
3. 방법
4. 측정 및 분석
5. 검토
본문내용
한 전극체를 크게 그려야 실험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실험결과를 보면, 같은 전극체일 경우 대칭적인 등전위선이 그려졌고, 다른 크기의 전극체인 경우, 큰 쪽으로 등전위선이 휘어지는 모양을 나타냈다. 이것은, 전극체의 크기가 클수록 더 큰 전기장이 나타나 지는걸 알 수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실험을 살펴보면, 모두 전극체에 근접할수록 전극체 모양으로 등전위선이 그려졌는데 [ 원모양이면 원처럼, 막대모양의 경우 평행하게 ] 이것을 보아 전기장이 전극체의 모든 방향으로 비교적 동등하게 작용하는 걸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론적으로 전기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나, 사람의 손으로 결과를 그린것이여서 확인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전극체의 크기를 신경써서 그렸다곤 하나, 같은 전극체로 그린것이여도 크기에 차이가 있어 완벽한 대칭(1실험)을 이루진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부분을 확인한 것이 아니라, 고정점 하나에 6~7개의 전류가 흐르지 않은 점을 찾아 이은 것이므로, 그릴 때 정확하게 그리지 않았다.
하지만 이론으로만 배웠던 등전위선 분포를 실제로 직접 실험을 통해 그려봄으로써 대략적이나마 분포를 살펴본 것은 귀중한 경험이 되었다.
실험결과를 보면, 같은 전극체일 경우 대칭적인 등전위선이 그려졌고, 다른 크기의 전극체인 경우, 큰 쪽으로 등전위선이 휘어지는 모양을 나타냈다. 이것은, 전극체의 크기가 클수록 더 큰 전기장이 나타나 지는걸 알 수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실험을 살펴보면, 모두 전극체에 근접할수록 전극체 모양으로 등전위선이 그려졌는데 [ 원모양이면 원처럼, 막대모양의 경우 평행하게 ] 이것을 보아 전기장이 전극체의 모든 방향으로 비교적 동등하게 작용하는 걸 알 수 있었다.
다만, 이론적으로 전기장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나, 사람의 손으로 결과를 그린것이여서 확인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전극체의 크기를 신경써서 그렸다곤 하나, 같은 전극체로 그린것이여도 크기에 차이가 있어 완벽한 대칭(1실험)을 이루진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부분을 확인한 것이 아니라, 고정점 하나에 6~7개의 전류가 흐르지 않은 점을 찾아 이은 것이므로, 그릴 때 정확하게 그리지 않았다.
하지만 이론으로만 배웠던 등전위선 분포를 실제로 직접 실험을 통해 그려봄으로써 대략적이나마 분포를 살펴본 것은 귀중한 경험이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