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그래프및 설명
2.실험 이론
3.분석 및 토의
(1) 실험결과 분석
(2) 토의
(3) 오차의 원인
4결론
2.실험 이론
3.분석 및 토의
(1) 실험결과 분석
(2) 토의
(3) 오차의 원인
4결론
본문내용
토의
1 만약 원판(circle)이나 ring모양의 도체를 수조 상에 높으면 등전위선 들은 어떤 모양으로 변하는가? 또 원판 상의 점들, 환 내부의 점들은 어떻게 되는가?
도체내부에 전기력이 작용하고 있다고 하면, 도체내에서 전기는 자유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기의 이동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전상태 에서는 도체내에 전기력, 즉 전장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체 중의 각 점은 등전위이다. 왜냐 하면 도체 중의 2점에 전위차가 있다고 하면,2점간에 전기력의 성분이 있어, 전하는 이동해야만 한다. 이것은 정전상태라고 하는 사실에 위반되므로도체 중의 각 점은 등전위일 수밖에 없다.
등전위면(전위가 같은점으로 만들어지는 면)내에서는 전하를 이동시키는 일의 크기가 0이므로 등전위면을 따르는 전기력의 분력은 존재치 않는다. 즉 전기력선은 등전위면에 수직하다. 도체 표면은 등전위이므로 전기력선은 도체 표면에 수직하게 나온다.
2 수조안에 +전극만 설치하는 경우에도 등전위선을 측정할 수 있는가?
측정할 수 있다. 플러스 전극을 플러스 전하를 띠고 있는 전하라고 생각하면 그림 1과 같은 형태가 나온다.
3 만약 양극사이에 적당한 전위차를 만든 다음에 전선으로 양전극을 연결한다면 이때에 등전위선을 관찰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전선쪽으로 거의 모든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등전위선이 생기지 않는다.
4 그림과 같이 수조 안에 전극하나를 더 추가하여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에 등전위선의 모양을 상상해 보고 실질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면 해본다.
전극 하나를 더 걸어주면 그 전극에서 나오는 전기력선이 그 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들어갈 것이다. 큰 윤곽으로 보면 같은 전극의 전기장이 합해져서 더 큰 전극 사이의 전기력선 모양으로 변할 것이다..
5전기력선의 원인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에 의해서 자기 작용이 일어나고, 또 +,-의전하가 있으면 그 사이에 전기력이 작용한다. 전기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 전기력선 이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이다 그렇다면 먼저 전기장의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전기장은 전기적 위치에너지 즉 전위차에 의해서 생긴다. 따라서 전기력선의 원인은 먼저 전위차에 기인한다. 그리고 전기력선이 +에서 –인 이유는 +쪽이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두 전위차 사이에 임의의 실험 전하는 놓았을 때 그 실험 전하가 움직이는 경로가 전기력선이 된다.
1 만약 원판(circle)이나 ring모양의 도체를 수조 상에 높으면 등전위선 들은 어떤 모양으로 변하는가? 또 원판 상의 점들, 환 내부의 점들은 어떻게 되는가?
도체내부에 전기력이 작용하고 있다고 하면, 도체내에서 전기는 자유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기의 이동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전상태 에서는 도체내에 전기력, 즉 전장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체 중의 각 점은 등전위이다. 왜냐 하면 도체 중의 2점에 전위차가 있다고 하면,2점간에 전기력의 성분이 있어, 전하는 이동해야만 한다. 이것은 정전상태라고 하는 사실에 위반되므로도체 중의 각 점은 등전위일 수밖에 없다.
등전위면(전위가 같은점으로 만들어지는 면)내에서는 전하를 이동시키는 일의 크기가 0이므로 등전위면을 따르는 전기력의 분력은 존재치 않는다. 즉 전기력선은 등전위면에 수직하다. 도체 표면은 등전위이므로 전기력선은 도체 표면에 수직하게 나온다.
2 수조안에 +전극만 설치하는 경우에도 등전위선을 측정할 수 있는가?
측정할 수 있다. 플러스 전극을 플러스 전하를 띠고 있는 전하라고 생각하면 그림 1과 같은 형태가 나온다.
3 만약 양극사이에 적당한 전위차를 만든 다음에 전선으로 양전극을 연결한다면 이때에 등전위선을 관찰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전선쪽으로 거의 모든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등전위선이 생기지 않는다.
4 그림과 같이 수조 안에 전극하나를 더 추가하여 전압을 걸어주는 경우에 등전위선의 모양을 상상해 보고 실질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면 해본다.
전극 하나를 더 걸어주면 그 전극에서 나오는 전기력선이 그 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들어갈 것이다. 큰 윤곽으로 보면 같은 전극의 전기장이 합해져서 더 큰 전극 사이의 전기력선 모양으로 변할 것이다..
5전기력선의 원인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류에 의해서 자기 작용이 일어나고, 또 +,-의전하가 있으면 그 사이에 전기력이 작용한다. 전기력의 작용 방향을
나타낸 것이 전기력선 이다. 전기력선은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선이다 그렇다면 먼저 전기장의 원인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전기장은 전기적 위치에너지 즉 전위차에 의해서 생긴다. 따라서 전기력선의 원인은 먼저 전위차에 기인한다. 그리고 전기력선이 +에서 –인 이유는 +쪽이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보다 쉽게 이해하려면 두 전위차 사이에 임의의 실험 전하는 놓았을 때 그 실험 전하가 움직이는 경로가 전기력선이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GE 세계경영전략
근치적 부분 위 절제술 (RSG;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국내외 5개 기업의 조직혁신 사례
정보경영이란
안테나 일반 이론 및 특성 평가 요소
[산업교육방법론] 매체활용법
GE의 전CEO 잭웰치 리더십
[국제마케팅] GE의 국제마케팅 성공사례 완벽분석 레포트 (대학교 3.4학년용).hwp
EU 환경규제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의 대응방안
[후쿠시마원전]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모든 것 - 방사능 유출 사고 경과과정 및 사태 악화의 ...
[후쿠시마원전사고]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논란의 모든 것 - 사고 개요 및 경과 과정, 피해...
하이브리드차
경영전략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