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질문
1. 뎅기열병이란
2.전파경로
3.증상 및 진단
4.치료 및 예방
5.면역반응
6.질문에 대한 답
7.참고문헌
1. 뎅기열병이란
2.전파경로
3.증상 및 진단
4.치료 및 예방
5.면역반응
6.질문에 대한 답
7.참고문헌
본문내용
돕기 때문에 분비된 독소에 대한 주된 방어기전이다.
세포매개 면역은 T림프구라는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바이러스나 일부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내 미생물은 포식세포 및 다른 숙주세포 내에서 순환 항체와 접촉함이 없이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다. 그러한 감염에 대한 방어는 세포매개 면역이 담당하는데 이는 포식 세포내에 있는 미생물을 파괴하거나 혹은 감염의 근원을 제거하기위해 감염된 세포를 사멸시킨다.
적응면역반응은 아주 특이적이긴 하지만, 아주 다양하여 어떠한 항원에 대하여도 일어날 수 있다. 항체는 원래 B 림프구들이 세포표면에 있는 항원 수용체로서, 항원에 의하여 B 림프구가 활성화되면 만들어져 혈액이나 체액에 분비되는 단백질이다. 각각의 항체 분자는 한가지의 항원과만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항원과 반응하기 위해서는 특이적인 항체가 아주 많이 존재하여야 한다. Burnet은 획득면역의 다양성과 특이성이 항원이 자신과 반응할 수 있는 항원수용체를 가진 림프구 클론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킴으로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 몸에 있는 수많은 B 림프구들은 각각 세포표면에 한 가지 특이성의 항원수용체 즉 한 가지 특이성의 항체만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B 림프구들은 세포 표면에 있는 항체분자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항원수용체 즉 항체의 항원특이성이 서로 다른 각각의 B 림프구들을 B 림프구 클론 (B lymphocyte clone)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몸에는 항원이 들어오기도 전에 이미 수많은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림프구 클론들이 존재하고 있다 (B cell repertoire). 항원이 들어오면 그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항원수용체를 가진 B 림프구 클론들만이 항원을 인식하여 활성화되며, 결과적으로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Burnet의 이러한 주장은 항원이 자신과 반응할 수 있는 림프구 클론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하여 클론선택이론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클론선택 과정은 T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응에서도 나타난다. 수많은 T 림프구들도 각각 서로 다른 한 가지 항원특이성의 T 세포 수용체만을 가지고 있는 T 림프구 클론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항원에 의하여 특정한 클론만이 선택되게 되어 특이적인 T 림프구 반응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면역반응이 다양한 항원과 반응할 수 있기 위하여는 다양한 항원의 수만큼 많은 림프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면역반응이 정확하게 주어진 항원에 대하여만 유도된다는 획득면역반응의 특이성을 잘 설명하여 주고 있다. 실제로, 우리 몸에 있는 T 림프구나 B 림프구의 수는 엄청나며, 그 항원 특이성도 매우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정한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특이적인 항원수용체는 그 항원이 들어오기 전에도 이미 우리 몸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원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존재하는 수많은 다양한 항원특이성을 가진 전체 림프구의 모임을 T 림프구 레파토리 또는 B 림프구의 레파토리 라고 부른다. 마치 우리가 노래방에서 선곡하듯이, 획득면역반응은 B 림프구와 T 림프구 레파토리 중에서 항원과 결합한 림프구 클론이 선택적으로 증식하고 분화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이 클론선택의 방법은 다양성에 대하여는 잘 대처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면역체계의 유지와 면역반응의 강도를 생각한다면 한가지 문제를 가지게된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수 억 가지의 다양한 림프구 클론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객 클론의 수를 최소한 보유하게 된다. 즉 우리 몸은 골수에서 혈구생성과정을 통하여 적은 수의 다양한 클론만을 가지고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항원이 처음 들어왔을 때 그 반응이 느리게 나타나게 된다. 즉, 특정한 항원이 우리 몸에 처음으로 들어오게 되면, 다양한 림프구 클론 중에 그 항원과 반응하는 소수의 특정한 클론이 활성화되어 증식 하게 되어 그 클론의 수가 많이 늘어나게 되며, 결국 그 클론들이 가지고 있는 면역반응이 유도되는 것이다. 그 후 면역반응 결과 특정한 항원이 사라지게 되면, 활성화된 림프구 클론들은 세포자살과정을 통하여 대부분 사라지게 되고, 일부만이 같은 항원의 재 침입을 대비하여 남게 된다. 이렇게 면역반응결과 활성화된 후 죽지 않고 남아있는 림프구들을 기억세포 (memory cell)라고 부르며, 그 결과 한번 침입한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클론의 수는 처음보다 많이 증가되게 되는 것이다. 이들 기억세포 클론들은 또한 같은 항원이 다시 침입 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그 항원과 반응하여 순식간에 많은 수의 림프구 클론으로 증식하게 되어, 재 침입한 항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6.질문에 대한 답
적응 면역: 획득면역 발달은 느리지만 감염에 더 효과적인 반응을 한다.
능동면역: 직접 감염되거나 예방접종을 받음으로써 유도.
특이성: 이전에 접했던 항원이 재차 체내에 들어왔을 경우 처음보다 훨씬 더 큰 반응을 일으킨다.
기억: 면역 계통은 동일한 항원에 대해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더 크고, 더 효과적으로 반응을 일으킨다.
나는 가벼운 감기증세가 있었으나 3일 후 완치됨, 이 때 뎅기열병에 감염되었고 항체가 생겼음(추측). 다시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으나 이미 생성되어 있던 항체에 의해 뎅기열병이 크게 발병하지 않음.
지인이 뎅기열병에 걸렸을 당시, 여행으로 인한 피로와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했다는 말을 통해 면역력이 떨어져 있었던 것으로 추측. 따라서 댕기열병이 발병.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게 물렸다고 해서 모두가 뎅기열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7.참고문헌
병원미생물학 (핵심) 서울대학교출판부
공중보건학, 방두연, 김광진, 김형진, 이규성, 정동옥,동화기술.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36
헬스코리아 뉴스
뎅기열[dengue fever]의 모든 것
http://blog.naver.com/redarcas/70022658844
DBD(Demam berdarah:댕기열)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health_info/67
세포매개 면역은 T림프구라는 세포에 의해 매개된다. 바이러스나 일부 박테리아와 같은 세포내 미생물은 포식세포 및 다른 숙주세포 내에서 순환 항체와 접촉함이 없이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다. 그러한 감염에 대한 방어는 세포매개 면역이 담당하는데 이는 포식 세포내에 있는 미생물을 파괴하거나 혹은 감염의 근원을 제거하기위해 감염된 세포를 사멸시킨다.
적응면역반응은 아주 특이적이긴 하지만, 아주 다양하여 어떠한 항원에 대하여도 일어날 수 있다. 항체는 원래 B 림프구들이 세포표면에 있는 항원 수용체로서, 항원에 의하여 B 림프구가 활성화되면 만들어져 혈액이나 체액에 분비되는 단백질이다. 각각의 항체 분자는 한가지의 항원과만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항원과 반응하기 위해서는 특이적인 항체가 아주 많이 존재하여야 한다. Burnet은 획득면역의 다양성과 특이성이 항원이 자신과 반응할 수 있는 항원수용체를 가진 림프구 클론을 선택하여 활성화시킴으로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 몸에 있는 수많은 B 림프구들은 각각 세포표면에 한 가지 특이성의 항원수용체 즉 한 가지 특이성의 항체만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B 림프구들은 세포 표면에 있는 항체분자가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이 항원수용체 즉 항체의 항원특이성이 서로 다른 각각의 B 림프구들을 B 림프구 클론 (B lymphocyte clone)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몸에는 항원이 들어오기도 전에 이미 수많은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림프구 클론들이 존재하고 있다 (B cell repertoire). 항원이 들어오면 그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항원수용체를 가진 B 림프구 클론들만이 항원을 인식하여 활성화되며, 결과적으로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 반응이 나타나는 것이다. Burnet의 이러한 주장은 항원이 자신과 반응할 수 있는 림프구 클론만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하여 클론선택이론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클론선택 과정은 T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응에서도 나타난다. 수많은 T 림프구들도 각각 서로 다른 한 가지 항원특이성의 T 세포 수용체만을 가지고 있는 T 림프구 클론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항원에 의하여 특정한 클론만이 선택되게 되어 특이적인 T 림프구 반응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면역반응이 다양한 항원과 반응할 수 있기 위하여는 다양한 항원의 수만큼 많은 림프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면역반응이 정확하게 주어진 항원에 대하여만 유도된다는 획득면역반응의 특이성을 잘 설명하여 주고 있다. 실제로, 우리 몸에 있는 T 림프구나 B 림프구의 수는 엄청나며, 그 항원 특이성도 매우 다양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정한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특이적인 항원수용체는 그 항원이 들어오기 전에도 이미 우리 몸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원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존재하는 수많은 다양한 항원특이성을 가진 전체 림프구의 모임을 T 림프구 레파토리 또는 B 림프구의 레파토리 라고 부른다. 마치 우리가 노래방에서 선곡하듯이, 획득면역반응은 B 림프구와 T 림프구 레파토리 중에서 항원과 결합한 림프구 클론이 선택적으로 증식하고 분화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이 클론선택의 방법은 다양성에 대하여는 잘 대처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면역체계의 유지와 면역반응의 강도를 생각한다면 한가지 문제를 가지게된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수 억 가지의 다양한 림프구 클론을 유지하기 위하여 개객 클론의 수를 최소한 보유하게 된다. 즉 우리 몸은 골수에서 혈구생성과정을 통하여 적은 수의 다양한 클론만을 가지고 있게 되며, 결과적으로 항원이 처음 들어왔을 때 그 반응이 느리게 나타나게 된다. 즉, 특정한 항원이 우리 몸에 처음으로 들어오게 되면, 다양한 림프구 클론 중에 그 항원과 반응하는 소수의 특정한 클론이 활성화되어 증식 하게 되어 그 클론의 수가 많이 늘어나게 되며, 결국 그 클론들이 가지고 있는 면역반응이 유도되는 것이다. 그 후 면역반응 결과 특정한 항원이 사라지게 되면, 활성화된 림프구 클론들은 세포자살과정을 통하여 대부분 사라지게 되고, 일부만이 같은 항원의 재 침입을 대비하여 남게 된다. 이렇게 면역반응결과 활성화된 후 죽지 않고 남아있는 림프구들을 기억세포 (memory cell)라고 부르며, 그 결과 한번 침입한 항원과 반응할 수 있는 클론의 수는 처음보다 많이 증가되게 되는 것이다. 이들 기억세포 클론들은 또한 같은 항원이 다시 침입 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그 항원과 반응하여 순식간에 많은 수의 림프구 클론으로 증식하게 되어, 재 침입한 항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6.질문에 대한 답
적응 면역: 획득면역 발달은 느리지만 감염에 더 효과적인 반응을 한다.
능동면역: 직접 감염되거나 예방접종을 받음으로써 유도.
특이성: 이전에 접했던 항원이 재차 체내에 들어왔을 경우 처음보다 훨씬 더 큰 반응을 일으킨다.
기억: 면역 계통은 동일한 항원에 대해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더 크고, 더 효과적으로 반응을 일으킨다.
나는 가벼운 감기증세가 있었으나 3일 후 완치됨, 이 때 뎅기열병에 감염되었고 항체가 생겼음(추측). 다시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렸으나 이미 생성되어 있던 항체에 의해 뎅기열병이 크게 발병하지 않음.
지인이 뎅기열병에 걸렸을 당시, 여행으로 인한 피로와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했다는 말을 통해 면역력이 떨어져 있었던 것으로 추측. 따라서 댕기열병이 발병.
뎅기열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게 물렸다고 해서 모두가 뎅기열병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7.참고문헌
병원미생물학 (핵심) 서울대학교출판부
공중보건학, 방두연, 김광진, 김형진, 이규성, 정동옥,동화기술.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36
헬스코리아 뉴스
뎅기열[dengue fever]의 모든 것
http://blog.naver.com/redarcas/70022658844
DBD(Demam berdarah:댕기열)
http://www.indoweb.org/love/bbs/tb.php/health_info/67
키워드
추천자료
담배,술,마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수술의 목적과 분류 인체반응과 환경 및 구비조건 마취
[자연과학]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제류 성분과 인체 유해성 조사
2012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병리학] 염증의 기전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2014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영향(내분비장애물질이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술(알코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알코올의 체내대사, 알코올이 영양소대사에 미치는 영향,...
2017년 1학기 인체생리학 기말시험 핵심체크
알코올중독이 미치는 영향(술이 인체와 정신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과=기초간호과학=1 1)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은 무엇인지 2)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