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지의 역사] 아동복지 발달의 시대적 구분과 서구 및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역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아동복지의 역사

Ⅰ. 아동복지 발달의 시대적 구분

Ⅱ. 우리나라 아동복지의 역사

1. 전근대사회의 아동복지

1) 조선시대 이전의 아동보호사업

2) 조선시대의 아동보호사업

2. 근대의 아동복지

3. 현대사회의 아동복지

1) 구호적 아동복지 (1945~1960)

2) 잔여적 아동복지 (1961~1980)

3) 보편적 아동복지 (1981~1999)

4) 권리 중심적 아동복지 (2000이후)

Ⅲ. 서구 아동복지의 역사

1. 전근대사회의 아동복지

2. 근대사회의 아동복지

3. 현대사회의 아동복지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빈민생활조건개선협
회(Association for Improving the Conditions of the Poor '. AICP)는 노숙아동과 방임아동을 보호하는 아동시설(Juvenile Asylum)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도로시아 덕스(Dorothea Dix)와 같은 개혁가들이 중심이 되어 아동시설의 참혹상을 사회에 알려 정부 차원의 개선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공계순 외, 2003).
3) 현대사회의 아동복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아동복지는 그 근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아동의 권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스웨덴의 여성학자이며 아동학자인 엘렌 케이(Ellen Karolina Sofia Key,
1849-1926)는 그의 저서 U아동의 세기U에서 "20세기는 아동의 세기"라고 규명하고 "아동을 살리자'라고 호소하였다. 또한 교육학자나 심리학자에 의해 아동 고유의 발달 과정과 아동기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아동에 대한 새로운 개념이 정립되었다. 현대사회는 아동을
성인의 축소판이 아니라 아동을 고유한 인격체로서 권리의 주체로 인식하게 되었고 아동의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들이 마련되었다. 그 주요 제도들을 보면 먼저 아동에 대
한 국가의 책임이 강조되었다.
1909년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은 최초의 백악관 회의(First White House Conference on
Children)를 개최하여 모든 아동에게는 안전과 사랑이 있는 가정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가정생활은 최상의 그리고 가장 훌륭한 문화의 산물이다. 이는 정신과 성격을 형성하는
가장 훌륭한 힘이다. 긴급하거나 피치 못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동이 가정을 빼앗걱서는
안 된다"(Bremner, 1971, Children and Youth in America : A Documentary History. Vo1.2, Pecora, 2000 계인용)
또한 이 선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원척을 제시하고 있다.
-가난하다는 이유로 아동이 가정으로부터 이탈되어서는 안 된다.
-가정을 떠나야만 될 충분한 이유가 있을 경우에만 차선책으로 잘 선정된 위탁가정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의해 시설을 이용할 경우 소숙사제도(Cottage system)가 좋으며 아동의 의존성
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요보호아동을 위한 복지대책이었던 시설보호와 가정위탁보호는 이 시기에 와서 차선책이
되었고 아동을 위해서는 가정 내 보호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시설보호도 대규모 집단 수용
에서 소숙사제도를 이용하게 하였다. 그리고 백악관 회의의 성과로 1912년 아동연방국을 설치하게 되어 아동문제, 아동 노동, 비행 등 아동에 관한 것을 담당하도록 했다. 백악관 회의는 매 10년마다 개최되어 사회의 변화에 따른 아동의 다양한 욕구와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아동권리에 관한 선언이나 권리규범은 1924년 국제연맹이 U아동권리에 관한 제네바 선언J을 선포한 것을 시작으로 했지만 구속력과 강제력이 약하여 상징적 의미만을 주었다. 그러나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보호 규법을 선언한 것은 아동권리 신장의 신호탄이 되었다. 이어 1989년 국제연합에 의해 채택된 아동권리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f은 법적 구속력을 갖는 국제규범으로, 18세 미만의 모든 아동을 보호의대상으로 함과 동시에 적극적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는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 문서이다.
그리고 20세기에 와서는 아동복지의 대상이 요보호아동에서 일반 아동으로 확대되는 보
편주의적 아동복지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1933년에는 비행청소년뿐만 아니라 일반 아동 및
청소년의 복지와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아동청소년법(Children and YoungPersons Act)이 제정되었다. 또한 아동수당 및 가족수당제도가 도입되었고. 영국에서는
1974년 모든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아동수당법을 제정하였다. 한편 미국에서는 카두신
(dushin)이 아동복지서비스의 3S 모델을 제시하면서 아동복지의 체계를 잡아 갔다.
이렇듯 아동복지서비스도 세분화되면서 분야별로 전문화되어 갔다. 아동의 욕구에 맞는
가정과 비슷한 분위기를 갖춘 소규모시설, 특별한 욕구를 지닌 아동을 위한 특별위탁가정보
호제도, 장애아보호시설, 입양보호, 아동학대 예방, 약물남용 예방 등으로 전문화되어 갔다.
20세기 이후 아동복지서비스의 발달을 요약하면, 시설보호 중심에서 재가보호와 지역사
회에 의한 보호의 강조로, 시설보호는 집단적 보호에서 소규모 보호로, 포괄적 서비스에서
분화된 다양한 서비스로, 또한 비전문적 서비스에서 전문적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사도 각 분야별 전문가가 양성되어 전문성을 띠고 접근하고 있다. 이 시대의
아동복지 발달의 또 다른 면은 아동복지서비스가 아동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
라 가족 전체 체계로 접근을 하며, 전세계적으로 공동 대처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구자헌. 1968. “아동복지”. 서울: 한국사회복지연구소.
-구자헌. 1991.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 홍익재.
-김만두,한혜경. 1998.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 홍익재.
-박정란,서홍란. 2001. ''아동복지론“. 서울: 양서원.
-표갑수. 2000. “아동 청소년 복지론”. 서울: 나남출판사.
-하상락. 1989.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박영사.
-Kadushin, A. 1980, Child Welfare Services(3rd ed.).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Downs, 8. W. et al. 1996.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policies and practice(5fh ed.). Longman USA.
-Pecora, Peter, James Whittaker, Anthony Maluccio, & Richard Barth. 2002. The Child Welfare Challenge :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N.Y. : Aldine de Gruyter.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