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FTA가 포함하고 있는 분야는 체약국들이 누구인가에 따라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FTA 와 개도국간의 FTA는 상품분야의 무역자유화 또는 관세인하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최근 WTO 체제의 출범(1995년)을 전후하여 FTA의 적용범위도 크게 확대되어 대상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습니다. 상품의 관세 철폐 이외에도 서비스 및 투자 자유화까지 포괄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라고 하겠습니다. 그 밖에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경쟁정책, 무역구제제도 등 정책의 조화부문까지 협정의 대상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자간 무역협상 등을 통하여 전반적인 관세수준이 낮아지면서 다른 분야로 협력영역을 늘려가게 된 것도 이 같은 포괄범위 확대의 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무역] 한·칠레 FTA의 한계점과 향후대책 (무역 자유무역협정
[국제무역]한미 FTA 협상에 관한 고찰
한미FTA협상타결 이후의 찬반논의(각주포함)
한미 FTA의 현황과 득과 실에 대한 분석
[A+평가 레포트]한미 FTA 체결시 농업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한-미 FTA와 한국경제의 미래--자동차부분
한국의 동시다발적 FTA추진전략
한미FTA가 금융(은행)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미FTA와 한EU FTA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향후 한국경제 기여도에 대한 전망
한미 FTA가 제약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응 방안
한미fta의분석및 이에대한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KORUS FTA와 서비스 무역] 주 수출입 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 운송, 여행, 사업 서비스, 지...
한중 FTA 협상 사례-농업부문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