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ACL(전방십자인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거> 외부고정술을 한 수술부위에 지지대를 대어주어 외부고정술에 대한 눌림으로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 할 수 있다.
2-2. 침상에서 누운 상태에서 환부의 반대 다리와 상체를 움직이도록 권유하였다.
이론적 근거> 오랜 부동으로 근육의 약화가 올 수 있으므로 환부가 아닌 부분은 근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2-3.wheelchair 이동을 시작 할 때 자리에서 일어나고 휠체어에 앉을 때까지 팔 다리를 지지해 주었으며, 격려 해 주었다.
2-4. 침상으로 이동할 때 지지해 주었으며 잘하였음을 격려하고 점차적으로 늘려 가자고 권유하였다.
이론적 근거> wheelchair 운동으로 팔의 근육 강화와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줄 일 수 있으며 점차적으로 운동의 양을 늘려서 연습하여 좀 더 빠른 회복을 기대한게 된다.
3. 부동으로 인한 피부손상의 가능성에 대해 대상자와 아들에게 설명하고, 조기이상에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5. 간호평가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1
6/8~
10
1. 체온상승의 계속적으로 나타났다. (37.2도 계속적인 37도 이상의 체온)
2-1. 외부고정술 부위에 oozing이 이었지만 압박으로 인한 손상은 보이지 않았다.
2-2. 통증이 있을때 마다 무통약을 조절하였고, 무통으로 인한 부작용은 호소하지 않았다.
2-3. 스스로 얼음주머니를 찾으셨고 녹으면 다시 달라고 말하였다.
3. 주위 사람들과 웃으면서 말씀하시고 훨씬 좋아지셨다고 말씀하셨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2
6/8~
10
1. 체온이37.5도 일 때 간호중재후 계속 37도를 유지하며 37.3도의 미열이 자주 나타났다.
2-1. 피부의 온감이 느껴졌고, 의식상태는 명료했으며, 전체적으로 쇠약한 모습을 보였다. V/S 은 대체로 정상이였으나 체온이 37.4도를 나타내었다.
3-1. 이불을 걷고 있길 권했지만 시행되지 않았다.
3-2.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였고, 젖은거즈로 입주위를 딱아 주어 시원하다고 말씀하셨다.
3-3. 팔과 액와를 딱아주자 시원해 하셨으나, 체온이 37.1도에서 37.5도 계속 check 되었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3
6/8~
10
1. 입원 전에는 변을 매일매일 보셨는데 수술 후 침상안정을 취하고, 좋아하는 음식으로만 편식을 한 이후로는 변비양상이 나타났다고 하셨다.
2.대상자에게 고섬유식이와 수분섭취를 격려한 후 대상자가 의식적으로 하루 6~8잔의 수분을 섭취하셨고, 고 섬유소 위주의 음식으로 식사를 하셨다.
3. 대상자는 침상에서 상체 운동을 하였으며, 변을 보고 싶을 때 마다 휠체어를 타고 화장실을 가고 병동을 도는 정도의 가벼운 운동을 하셨다. 그러나 하루에 한번 정도 하셨고, 거의 움직이지 않으셨다.
4-1. 대상자는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변비 증상이 완화되어 완화제와 관장을 사용하지 않으셨다.
진단 번호
평가 날짜
평 가 내 용
#4
6/8~
10
1. 대상자는 많이 아프다고 하였으며 수술 3일 후 점차 통증이 줄어들어 배변시 휠체어로 이동하였다.
2-1. 지지대를 대어주어 외부고정술의 금속에 의한 눌림으로 인한 통증은 줄어들었다.
2-2. 환부 이외의 부위의 운동을 격려하였으나, 전신통을 호소하시며 잘 하지 않았다. 4~5일 후 터는 전신통은 여전하나 조금 줄어들었다고하며 조금씩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다.
2-4. 휠체어 이동 후 힘들었지만 답답하던 것이 조금 낮다 하셨으며 특별한 통증은 호소하지 않았다.
3. 아직은 욕창의 증상은 보이지 않았고, 외부고정술로 인한 피부손상은 이틀에 한번 드레싱을 하면서 관찰하였다, 조기이상과 운동이 왜 중요한지를 잘 알았다며, 휠체어 운동을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말하였다.
Ⅲ. 결 론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에 대한 간호로 활력징후 측정, 통증의 빈도ㆍ양상 부위 사정, 환부를 elevation 시켜주기, 얼음 대주기, 자가조절 무통주사의 사용법 교육, 진통제 사용, 통증에 대한 감정 표현 격려하기 등이 수행 되었다. 그 간호중재의 결과로 대상자는 환부의 부종이 감소하였고 무통의 적절한 사용을 통해 통증을 스스로 잘 조절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통증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표현을 보였다. 하지만 체온은 약간의 미열의 상태를 지속했다.
2) 활동제한과 수분, 섬유질 섭취부족과 관련된 변비에 대해서는 배변습관의 변화에 대한 사정, 수순섭취와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류, 곡류 등의 섭취를 권했으며, 운동하기 격려 등의 간호중재가 이루어졌다. 간호중재 후에 대상자는 자신의 편식하는 식습관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변비가 생겼다는 것을 정확한 사정을 통해 알게 되었고 이에 따라 섬유질이 풍 부한 음식을 충분히 드시고 음료 및 물도 6~8잔 정도로 충분히 드셨다. 그리고 침상운동 이나 휠체어에서 가능한 운동을 하신 결과 변비증상이 어느 정도 완화되어 완화제나 관장 의 사용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았다.
3) 수술부위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잠재성에 대한 간호로서 수술부위의 사정(열감, 부종, 분비물, 냄새 등), V/S check를 통한 체온상승 여부 확인, 드레싱 시 이상유무 사정, 수술부위의 압박감 정도 사정, 간호처치 전후의 철저한 손씻기, 드레싱 시 엄격한 무균법 적용, 청결한 병실 환경 조성, 의사 처방시 항생제 투약, 드레싱 교환 등이 수행 되었는데 간호중재를 해 줌으로써 수술부위의 열감과 부종이 있음을 확인하고 붕대감은 곳이 압박되지 않도록 제거해 주어 감각/운동/순환에 제한이 없도록 해 주었으며, 청결한 병실 환경이 유지되고 엄격한 무균술 적용, 하루 1번 드레싱 교환을 통해 감염의 잠재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참고 문헌>>------------------------------
성인 간호학 하-Ⅳ / 서문자 외7 /발행처: 수문사
성인 간호학 상-Ⅱ / 서문자 외7 /발행처: 수문사
성인간호학 상 / 이미현외 / 발행처 : 현문사
http://myhome.hanafos.com/%7Evvycyoon/kneedl.htm
http://www.okfoot.co.kr/knee.htm
http://www.arthro.co.kr/clinic4.asp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03.0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4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