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선의 도성 한양
2. 지방의 읍성
2. 지방의 읍성
본문내용
으로 하는 가로망과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였다. 객사는 왕의 위패가 안치된 곳으로 초하루와 보름에 향궐망배(向闕望拜)하는 한편 사신의 숙소로도 사용되였고 대개 중앙에 배치된 곳으로 동서남북의 문으로 뻗어 가로는 십자형, T자형, 삼각형, 불규칙형 등의 가로망으로 구성되고 성곽 안(넓이는 전주의 경우 18만평정도)에 각종 관아건물과 일부 민가가 자리잡고 있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취락이나 읍성은 멀리는 고려조부터 형성되어 조선조에 와서야 정비된 경우가 많은 데 비하여 한성은 계획된 도성이었고 조선조 말 1796년에 낙성(落成)된 수원성곽은 계획적인 성도건설로 대표적인 곳이다.
수원성은 1794년 동서양의 축성법을 참고하여 근대적 장비까지 동원되어 조영(造營)된 실학사상의 표본적 도성이라 할 수 있다.
성곽의 규모는 성벽의 길이가 3,964보(步)(4,749.87m)이고 4대문이 구축되었다. 가로망은 井자형으로 동서남북4대문과 남북2소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그보다는 신도성내의 도시번영을 위한 인구집중과 경영상의 정책수립에 더욱 특색이 있는 조선조 말의 귀중한 신도시계획이었고 산업혁명후 영국에서 시행된 전원도시보다 100년을 앞선 신도시건설이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취락이나 읍성은 멀리는 고려조부터 형성되어 조선조에 와서야 정비된 경우가 많은 데 비하여 한성은 계획된 도성이었고 조선조 말 1796년에 낙성(落成)된 수원성곽은 계획적인 성도건설로 대표적인 곳이다.
수원성은 1794년 동서양의 축성법을 참고하여 근대적 장비까지 동원되어 조영(造營)된 실학사상의 표본적 도성이라 할 수 있다.
성곽의 규모는 성벽의 길이가 3,964보(步)(4,749.87m)이고 4대문이 구축되었다. 가로망은 井자형으로 동서남북4대문과 남북2소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그보다는 신도성내의 도시번영을 위한 인구집중과 경영상의 정책수립에 더욱 특색이 있는 조선조 말의 귀중한 신도시계획이었고 산업혁명후 영국에서 시행된 전원도시보다 100년을 앞선 신도시건설이었다.
추천자료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한국화
조선시대 교육의 특징과 조선시대 교육의 문제점 및 고찰 및 현대교육에의 시사점
불상의 시대별특징(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조선해어화사][춘향뎐][춘향전][기생][조선시대]조선해어화사와 춘향뎐(춘향전)을 통해 본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조선사림정치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고...
[한국의 관광입지와 관광산업] 우리나라의 관광입지조건과 관광산업 (삼국시대 관광, 고려시...
화장(化粧/Make Up)의 기원, 서양 화장, 한국 화장(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사회복지법제론] 우리나라(한국)의 사회복지법의 역사와 흐름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
[조선시대 재정] 조선시대의 재무행정 - 세제, 재무기관, 재정의 문란
조선시대 인사행정 - 조선시대의 인사행정제도 {인사기관, 과거제도, 품계 및 임용제도, 보수...
[교육敎育학개론] 한국교육(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 원시시대 교육, 삼국시대 교육,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