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농민항쟁- 원인, 역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2. 조선 사림정치- 배경, 발전과정, 역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2. 조선 사림정치- 배경, 발전과정, 역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력은 왕의 권력도 제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대신들을 견제하던 사림의 비판이 왕을 향하자 왕은 사림들에 대한 지지를 거두어들였다. 그리고 훈구 대신들과 함께 사림들을 탄압하였다. 사림을 대표하던 조광조는 귀양보내졌고, 그 곳에서 결국 죽음을 맞았다. 그러나 그가 한양을 떠나던 날 그를 위로하려는 수많은 사람들이 길거리를 가득 메웠다. 수레를 막고 절을 하는 사람도 무수히 많았다. 그만큼 새로운 정치에 대한 바람이 컸기 때문일 것이다.
사림들의 뜻은 왕과 훈구 대신의 공격으로 또 다시 꺾였다. 하지만 조광조의 죽음은 새로운 시작일 뿐이다. 왕과 훈구 대신들이 옛 방식을 고집하였지만 “정치는 소수 대신들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주장은 점차 힘을 얻어 갔다. 뭇사람들의 입은 무쇠를 녹인다고 하였던가. 점차 왕이든 높은 벼슬의 대신들이든 사림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왕이 멋대로 정치를 하는 일도, 대신들이 부정과 비리를 저지르는 일도 점차 힘들어졌다. 사림 세력의 관직 진출도 활발해졌다. 대의와 명분을 내세우며 사대부들의 여론을 바탕으로 한 사림 정치는 이제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훈구 대신들의 시대가 끝난 것이다. 훈구 대신들이 사라지면서 정치는 예전과 다르게 운영되었다. 높은 관직에 있는 자가 결정하고, 관직이 낮은 자는 그저 따르기만 하는 정치는 점차 사라졌다. 언론을 담당하는 관청의 활동이 이전보다 훨씬 더 자유로워져, 관직이 낮아도 나라 일을 비판할 수 있게 되었다. 사대부들의 여론을 수집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올바른 정치가 무엇인지 찾으려는 학문적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런 가운데 지역적으로 가깝고, 학문적으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집단을 이루어 함께 보조를 맞추게 되었다. 선조 때에 이르러 영남 출신의 사림들은 동인으로, 충청과 경기 출신의 사림들은 서인으로 모이게 되었다. 붕당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제 조정은 동인과 서인, 둘로 나뉘어 서로 비판하고 견제하면서 정치를 운영하였다. 그러나 점차 당파의 이익을 나라의 이익보다 앞세우거나, 권력을 잡기 위한 경쟁으로 나라 일을 그르치는 경우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서경, 동학농민혁명의 동아시아적 의미, 2002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문경민. 동학농민혁명 100년사, 1995 나남출판사
박성래, 1994 <韓國史10,11> 한길사
한국 역사 연구회, 1992 <1984년 농민전쟁연구1> 역사 비평사
사림들의 뜻은 왕과 훈구 대신의 공격으로 또 다시 꺾였다. 하지만 조광조의 죽음은 새로운 시작일 뿐이다. 왕과 훈구 대신들이 옛 방식을 고집하였지만 “정치는 소수 대신들만 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주장은 점차 힘을 얻어 갔다. 뭇사람들의 입은 무쇠를 녹인다고 하였던가. 점차 왕이든 높은 벼슬의 대신들이든 사림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왕이 멋대로 정치를 하는 일도, 대신들이 부정과 비리를 저지르는 일도 점차 힘들어졌다. 사림 세력의 관직 진출도 활발해졌다. 대의와 명분을 내세우며 사대부들의 여론을 바탕으로 한 사림 정치는 이제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훈구 대신들의 시대가 끝난 것이다. 훈구 대신들이 사라지면서 정치는 예전과 다르게 운영되었다. 높은 관직에 있는 자가 결정하고, 관직이 낮은 자는 그저 따르기만 하는 정치는 점차 사라졌다. 언론을 담당하는 관청의 활동이 이전보다 훨씬 더 자유로워져, 관직이 낮아도 나라 일을 비판할 수 있게 되었다. 사대부들의 여론을 수집하여 정책에 반영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올바른 정치가 무엇인지 찾으려는 학문적 연구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런 가운데 지역적으로 가깝고, 학문적으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집단을 이루어 함께 보조를 맞추게 되었다. 선조 때에 이르러 영남 출신의 사림들은 동인으로, 충청과 경기 출신의 사림들은 서인으로 모이게 되었다. 붕당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제 조정은 동인과 서인, 둘로 나뉘어 서로 비판하고 견제하면서 정치를 운영하였다. 그러나 점차 당파의 이익을 나라의 이익보다 앞세우거나, 권력을 잡기 위한 경쟁으로 나라 일을 그르치는 경우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서경, 동학농민혁명의 동아시아적 의미, 2002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문경민. 동학농민혁명 100년사, 1995 나남출판사
박성래, 1994 <韓國史10,11> 한길사
한국 역사 연구회, 1992 <1984년 농민전쟁연구1> 역사 비평사
추천자료
카프문학사 요약
조선의 성리학과 예학, 실학
조선 중기의 한문학과 이황
한말일제시대에 한국독립운동에 있어 사회주의계열의 역할
조선 전기 관각문학, 처사문학, 방외인문학 연구
[중세사연구]조선전기 신진사대부의 등장배경과 활동 및 성격
한국건축사 시대별 도시공간구성
[역사]고려시대사 총정리, 고려시대 전체 역사
시대별 우리나라 도시공간과 경관
[항일전쟁시대, 항일전쟁시대 배경, 항일전쟁시대 지방유생, 정치사, 종교정책]항일전쟁시대...
임진왜란전후의 변화와 조선 후기의 내재적 발전론과 그 비판
조선실록과 역사 - 성종과 유교정치
<한국근세사> 조선후기 민중운동에 관한 연구사적 검토
조선전기 양반의 토지소유와 봉건 - 이경식 한글 번역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