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실록과 역사 - 성종과 유교정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실록과 역사 - 성종과 유교정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종은 누구인가

성종 즉위의 정치적 배경

정희왕후의 섭정

성종시대의 조정의 세력

성종의 업적

성종과 유교정치

성종에 대한 평가

본문내용

성종 즉위의 정치적 배경
예종의 뒤를 이을 왕위계승자로는 제안군, 월산군, 자을산군(성종)이 있었음
한명회는 당시 최고의 권력자이자, 성종의 장인이었음
한명회와 정희왕후의 정치적 결탁
-일부는 예종의 독살설 주장
정희왕후의 섭정(1)
정희왕후의 정치적 활동 ◆
성종의 성인이 될 때까지 왕위 찬탈을 막고
조선왕조 기틀을 마련
성종의 정통성을 확보
성종에게 위협이 될 만한 인물들을 견제함
정희왕후의 섭정(2)
우선 정희왕후 자신뿐만 아니라 남편인 세조 또한 조선 최고의 호불군주로 꼽힐 정도로 독실한 불자였다는 점이다. 그들이 노골적으로 호불을 내세웠던 가장 큰 이유는 세조가 유교 이데올로기 내에서는 결코 인정받을 수 없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조카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유교적 명분론 내에서는 결코 인정받을 수도 인정되어서도 안 되는 패륜아에 지나지 않았다.
따라서 세조가 불교를 옹호하는 정책을 펼치다 보니 정희왕후 또한 불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음.
----농잠업 육성
-한양북부지방에는 대대적인 목화밭을 조성하고, 경상,전라도에는 뽕나무 종자를 재배케 했음.
성종시대의 조정의 세력
훈구파(관학파)
조선의 건국을 찬성한 세조시대의 공신을 주축으로 형성
실용적인 학문을 중요시. 성리학 본연의 철학적인 면은 소홀
대표인물 : 한명회, 유자광, 신숙주 등
사림파
고려의 개혁에는 찬성했지만, 조선의 건국을 반대해서 주로 지방에 머물고 있던 향촌 출신
유향소를 통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세력
도덕과 의리 숭상, 성리학에 기반을 두던 세력
대표인물 : 김종직, 조광조, 김굉필 등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4.01.1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02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