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에른스트 마이(Emst May)의 프랑크푸르트(Frankfurt-am-Main)건설
2. 고트포리드 페더(Gottfried Feder)의 소도시론
3.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대도시론
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브로드에이커 도시(Broadacres City)
5. CIAM (Congre\'s Internationax d\' Architecture Moderne)의 기능적 도시
6. 팀텐(Team 10)의 도시론
7. GEAM(Groupe D\'Etude D\'Architecture Mobile)의 공중도시(Aerial city)
8. 독시아디스(C. A. Doxiadis)의 에키스틱스(Ekistics)이론
9. 케빈 린치(Kevin Lynch)의 도시 이미지(Image)
2. 고트포리드 페더(Gottfried Feder)의 소도시론
3.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대도시론
4.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의 브로드에이커 도시(Broadacres City)
5. CIAM (Congre\'s Internationax d\' Architecture Moderne)의 기능적 도시
6. 팀텐(Team 10)의 도시론
7. GEAM(Groupe D\'Etude D\'Architecture Mobile)의 공중도시(Aerial city)
8. 독시아디스(C. A. Doxiadis)의 에키스틱스(Ekistics)이론
9. 케빈 린치(Kevin Lynch)의 도시 이미지(Image)
본문내용
만들었고 전장에서 전투를 하는 군인들의 공통된 생각은 바로 자기가 낳고 자란 고향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미지는 개인적인 것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아미지도 있으니 어떤 도시주민의 대다수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물리적 현실, 공통의 문화, 기본적 생리핫적 특질의 세 가지 요소가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 그것을 퍼블릭 이미지 (Public Image)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이미지를 다시 세 개의 성분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것은 동일성=Identity, 구조=StTucture, 의미=Meaning이고 이것들은 항상 동일성이란 개별적인 것, 단일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외에도 도시환경의 이미지요소로서 다섯 가지 형태를 두고 있다. 도로=Path, 기념적건조물=Landmark, 변두리=Edge, 지구=District, 결절점=Node등이다. 이들 엘레멘트(element)는 산발적인 듯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지구는 결절점으로 조립되고 변두리를 둘러싸면서 도로로 관통되고 도시표상이 우뚝서서 도시를 빛내준다는 것이다.
이 같은 기초적 이론에 입각하여 보스턴(Boston), 저지시티(Jersey City), 로스앤젤리스(LosAngeles)의 세 도시의 시각적 형태를 분석하여 환경의 이미지가 도시생활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도시디자인의 유효간 원칙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있다.
린치는 도시경관분석 이후 일보전진된 실제의 설계에 이 이론을 적용하려는 시도를 1963년 그의 저서 『도로로부터의 경관』(The View from the Road)에서 제안하였다. M. I. T.공대의 아플리야드(D.Appliyard), 마이어(J. R. Myer)교수와 공동으로 보스턴 고속도로를 행정당국의 의뢰에 의하여 설계하였고 거기에다 실제 적용하였다. 설계에 역점을 둔 곳은 첫째, 운전자에게 연속적인 리드미컬한 형태를 줄 것, 둘째 운전자에게 환경의 이미지를 줄 것, 세째 운전자에게 환경의 의미를 이해시킬 것 등이었고, 여기에 입각하여 이 고속도로를 거의 원형에 가깝게 하여 운전자가 방향을 잘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북, 남, 서에 삼각형도로를 만들고 그 삼각형의 정점에 의미가 강한 어떤 물리적 시설을 두었으며 다시 삼변에는 적, 백, 중간색의 3색을 칠해서 운전자가 자신을 환경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아직도 각 방면에서 연구와 분석을 계속하고 있지만 실제설계에도 많은 응용이 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이미지를 다시 세 개의 성분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것은 동일성=Identity, 구조=StTucture, 의미=Meaning이고 이것들은 항상 동일성이란 개별적인 것, 단일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 외에도 도시환경의 이미지요소로서 다섯 가지 형태를 두고 있다. 도로=Path, 기념적건조물=Landmark, 변두리=Edge, 지구=District, 결절점=Node등이다. 이들 엘레멘트(element)는 산발적인 듯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지구는 결절점으로 조립되고 변두리를 둘러싸면서 도로로 관통되고 도시표상이 우뚝서서 도시를 빛내준다는 것이다.
이 같은 기초적 이론에 입각하여 보스턴(Boston), 저지시티(Jersey City), 로스앤젤리스(LosAngeles)의 세 도시의 시각적 형태를 분석하여 환경의 이미지가 도시생활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도시디자인의 유효간 원칙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있다.
린치는 도시경관분석 이후 일보전진된 실제의 설계에 이 이론을 적용하려는 시도를 1963년 그의 저서 『도로로부터의 경관』(The View from the Road)에서 제안하였다. M. I. T.공대의 아플리야드(D.Appliyard), 마이어(J. R. Myer)교수와 공동으로 보스턴 고속도로를 행정당국의 의뢰에 의하여 설계하였고 거기에다 실제 적용하였다. 설계에 역점을 둔 곳은 첫째, 운전자에게 연속적인 리드미컬한 형태를 줄 것, 둘째 운전자에게 환경의 이미지를 줄 것, 세째 운전자에게 환경의 의미를 이해시킬 것 등이었고, 여기에 입각하여 이 고속도로를 거의 원형에 가깝게 하여 운전자가 방향을 잘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북, 남, 서에 삼각형도로를 만들고 그 삼각형의 정점에 의미가 강한 어떤 물리적 시설을 두었으며 다시 삼변에는 적, 백, 중간색의 3색을 칠해서 운전자가 자신을 환경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들은 아직도 각 방면에서 연구와 분석을 계속하고 있지만 실제설계에도 많은 응용이 되고 있다.
추천자료
도시계획과 토지이용계획 그리고 용도지역· 지구제
도시계획과 도시관리
도시계획 중 도시재개발 연구
부천신도시 토지이용, 부천 도시계획
도시계획과 건축계획의 차의점
48,브라질리아,Brasilia,도시설계사례,단지설계사례,신행정수도,수도이전,브라질리아도시계획...
광역도시계획과 도시계획법률
도시재개발국(URA)을 통한 싱가포르의 체계적 도시계획 및 관리
[도시계획] 토지이용계획과 교통계획의 관계에 대해서
[일본지리, 일본지리와 면적, 도시계획, 국토조사, 자연재해, GIS(지리정보시스템)]일본지리...
[도시교통계획론]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 제9절 운...
[도시계획] 평촌 신도시 계획.PPT자료
도시공학도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고대로마의 계획도시 팀가드(Timgad) (팀가드의 특징, 팀가...
개발행위허가제,개발행위 개념,개발행위 대상,개발행위 절차,도시 군 계획시설사업,도시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