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복지의 대상
1)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
(1) 빈곤가정
(2) 결손가정
(3) 병리가정
(4) 발달상의 문제나 장애를 가진 아동
(5) 사회적, 법적 보호를 요하는 아동
2) 일반 아동
3) 부모(보호자)
2. 아동복지사업의 기능
1) 지지적 서비스
2) 보충적 서비스
3) 대리적 서비스
4) 가족기반서비스
Ⅲ. 참고문헌
Ⅱ. 본론
1. 아동복지의 대상
1)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
(1) 빈곤가정
(2) 결손가정
(3) 병리가정
(4) 발달상의 문제나 장애를 가진 아동
(5) 사회적, 법적 보호를 요하는 아동
2) 일반 아동
3) 부모(보호자)
2. 아동복지사업의 기능
1) 지지적 서비스
2) 보충적 서비스
3) 대리적 서비스
4) 가족기반서비스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비스, 입양서비스, 시설보
호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가정 위탁 서비스란 자신의 가정에서 양육하기 어렵거나, 시설보호가 불가능할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양육을 희망하는 가정에서 제공하는 대리보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위탁 기간이
만료되면 아동은 다시 원가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입양서비스는 법적 사회적 관계에 의해 친자관계를 맺는 것이다. 즉, 친부모가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모든 권리와 의무가 소멸되고, 행정적 법적 권한에 의해 타인에게 양육
의 권리와 의무가 이양되는 것이다.
가정위탁서비스나 입양서비스와 같이 대리가정을 통해 아동에 대한 보호 양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아동복지사업의 제3차 방어선인 시설에 수용하여 집단적 보호서비스
를 제공하게 된다. 시설보호서비스는 소규모의 아동으로 구성된 그룹홈에서 대규모 아동양
육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나 형태가 다양하다(Kadushin & Martin, 1988).
4) 가족기반서비스
가족기반서비스(PBS : FamiBased Services)란 가족을 불충분한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
라 많은 강점과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미국의 경우 가족에 기반을 둔 서비스
가 제기된 배경은 우선, 본인의 가정에서 돌볼 수 있는데도 아동이 대리서비스 기관에 배치
되는 경우가 있고 배치된 후에도 명확하게 구체화된 사례 계획이 세워지지 않았으며, 위탁
가정에 배치된 경우 가정을 여러 번 바꾸게 되거나, 부모의 참여나 방문이 장려되지 않았고
정부도 예방적 서비스에는 투자를 하지 않는 등 아동복지서비스에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었
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족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입 원칙이 있다.
첫째, 아동에 대한 과거의 진단은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으며, 아동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파악을 강조한다. 둘째, 가족의 강점을 중심으로 일하고 가족을 위한 생활상의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동을 면담할 때, 가능하다면 아동의 가정을 방문하
여 실시한다(Pecora et al., 2000).
미국에서는 1974년을 시작으로 각 주마다 가족과 아동을 지원하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실시되었고, 현재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아동복지기관이 다양한 가족기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족기반서비스에는 가족의 안정을 위협하
는 문제를 가진 가족을 위한 사례 관리, 상담과 치료, 교육, 기술 훈련, 권리 옹호와 실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참고문헌
-구자헌. 1968. “아동복지”. 서울: 한국사회복지연구소.
-구자헌. 1991.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 홍익재.
-김만두,한혜경. 1998.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 홍익재.
-박정란,서홍란. 2001. ''아동복지론“. 서울: 양서원.
-표갑수. 2000. “아동 청소년 복지론”. 서울: 나남출판사.
-하상락. 1989.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박영사.
-Kadushin, A. 1980, Child Welfare Services(3rd ed.).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Downs, 8. W. et al. 1996.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policies and practice(5fh ed.). Longman USA.
-Pecora, Peter, James Whittaker, Anthony Maluccio, & Richard Barth. 2002. The Child Welfare Challenge :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N.Y. : Aldine de Gruyter.
호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가정 위탁 서비스란 자신의 가정에서 양육하기 어렵거나, 시설보호가 불가능할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양육을 희망하는 가정에서 제공하는 대리보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위탁 기간이
만료되면 아동은 다시 원가정으로 돌아갈 수 있다.
입양서비스는 법적 사회적 관계에 의해 친자관계를 맺는 것이다. 즉, 친부모가 가지고
있는 아동에 대한 모든 권리와 의무가 소멸되고, 행정적 법적 권한에 의해 타인에게 양육
의 권리와 의무가 이양되는 것이다.
가정위탁서비스나 입양서비스와 같이 대리가정을 통해 아동에 대한 보호 양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경우, 아동복지사업의 제3차 방어선인 시설에 수용하여 집단적 보호서비스
를 제공하게 된다. 시설보호서비스는 소규모의 아동으로 구성된 그룹홈에서 대규모 아동양
육시설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나 형태가 다양하다(Kadushin & Martin, 1988).
4) 가족기반서비스
가족기반서비스(PBS : FamiBased Services)란 가족을 불충분한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
라 많은 강점과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미국의 경우 가족에 기반을 둔 서비스
가 제기된 배경은 우선, 본인의 가정에서 돌볼 수 있는데도 아동이 대리서비스 기관에 배치
되는 경우가 있고 배치된 후에도 명확하게 구체화된 사례 계획이 세워지지 않았으며, 위탁
가정에 배치된 경우 가정을 여러 번 바꾸게 되거나, 부모의 참여나 방문이 장려되지 않았고
정부도 예방적 서비스에는 투자를 하지 않는 등 아동복지서비스에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었
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족기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개입 원칙이 있다.
첫째, 아동에 대한 과거의 진단은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으며, 아동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 파악을 강조한다. 둘째, 가족의 강점을 중심으로 일하고 가족을 위한 생활상의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동을 면담할 때, 가능하다면 아동의 가정을 방문하
여 실시한다(Pecora et al., 2000).
미국에서는 1974년을 시작으로 각 주마다 가족과 아동을 지원하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실시되었고, 현재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아동복지기관이 다양한 가족기반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족기반서비스에는 가족의 안정을 위협하
는 문제를 가진 가족을 위한 사례 관리, 상담과 치료, 교육, 기술 훈련, 권리 옹호와 실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된다.
*참고문헌
-구자헌. 1968. “아동복지”. 서울: 한국사회복지연구소.
-구자헌. 1991.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 홍익재.
-김만두,한혜경. 1998. “현대사회복지개론”. 서울 : 홍익재.
-박정란,서홍란. 2001. ''아동복지론“. 서울: 양서원.
-표갑수. 2000. “아동 청소년 복지론”. 서울: 나남출판사.
-하상락. 1989. “한국사회복지사”. 서울: 박영사.
-Kadushin, A. 1980, Child Welfare Services(3rd ed.).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Downs, 8. W. et al. 1996.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policies and practice(5fh ed.). Longman USA.
-Pecora, Peter, James Whittaker, Anthony Maluccio, & Richard Barth. 2002. The Child Welfare Challenge :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N.Y. : Aldine de Gruyter.
추천자료
혁신 확산의 영향요인
지각의 메커니즘 영향요인 시사점
[삶의 질 제고]삶의 질의 개념, 삶의 질의 영향요인, 삶의 질의 수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과 영향요인, 학자별 발달단계 관점 파워포인트 보고서
국민연금제도의 도입배경 및 발달과정과 확산배경 및 영향요인
사회적 행동발달의 개념과 영향요인 및 이론과 교육
아동미술(어린이미술)의 필요성과 영향요인, 아동미술활동(어린이미술활동)의 의의, 아동미술...
민간위탁 단계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관리론. 지식관리론의 개념과 영향요인 및 사례
안철수의 리더십과 정치권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대권시나리오
청소년기의 부적응 행동실태의 영향요인과 사회복지 실천에 대해 논술하시오
청소년지도 집단역동의 영역과 원리, 집단역동 영향요인
유아기의 지능발달의 중요성을 환경과 교육의 영향요인으로 서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