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 유형,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 범주,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과 낮춤말(하대어),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과 종결어미, 국어 높임말 유의사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 유형,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 범주,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과 낮춤말(하대어),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과 종결어미, 국어 높임말 유의사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의 유형
1. 주체 높임법
2. 객체 높임법
3. 상대 높임법

Ⅱ.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의 범주

Ⅲ.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과 낮춤말(하대어)
1. 높임말
1) 직접 높임말
2) 간접 높임말
2. 낮춤말
1) 직접 낮춤말
2) 간접 낮춤말

Ⅳ.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과 종결어미

Ⅴ. 국어 높임말(높임법, 경어, 존대어)의 유의사항
1. 가정에서
1) 지나친 존대는 실례
2) 야단 대신 ‘꾸중’ 써야
3) 상대에 따라 어미 달라
4) 부모는 대개 높여 말해
2. 직장, 사회에서
1) 직장에서
2) 거래처인 다른 회사 사람에게
3) 직장 안의 사람들과
4) 직장 밖의 사람들에게
3. 아침, 저녁
1) 집안에서
2) 이웃사람에게
3) 직장에서
4) 아침 시작 방송에서
4. 만나고 헤어질 때
1) 집안 출입 인사는 전통
2) 때로는 “늦었습니다.”
3) 윗사람에게 “별고”가능
5. 전화 예절
1) 받을 때
2) 전화를 바꾸어줄 때
3) 상대방이 찾는 사람 없을 때
4) 잘못 걸려온 전화일 때
5) 상대방이 응답하면
6) 통화하고 싶은 사람이 없을 때
7) 대신 거는 전화
8) 끊을 때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언어에 의한 인사일 뿐이므로 글자대로 해석할 것이 아니다.
2) 이웃사람에게
이웃사람에게는 “안녕하십니까?”, “안녕히 주무셨습니까?”, “진지 잡수셨습니까?”하고 인사를 하도록 한다. 동년배나 손아래 사람이라도 성인인 경우에는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안녕히 주무셨어요?”, “안녕히 주무셨습니까?” 하고 인사하도록 했다. 일반적으로 경어를 쓴다. 손아래 미성년자에게는 ‘안녕?’, ‘잘 잤니?’ 라고 한다.
3) 직장에서
아침에 출근해서 윗사람에게 인사할 때는 ‘안녕하셨습니까?’, ‘안녕하십니까?’를 상대에 따라 적절히 구별하여 쓴다. 동료에게 인사할 때는 ‘안녕하세요?’를 쓴다. 아랫사람에게는 ‘안녕하세요?’, ‘나왔군.’, ‘나오나’하고 인사한다. 상대방에 따라 적절히 쓸 수 있다.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좋은 아침’하고 인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말은 외국어를 직역한 말이고 이에 대한 전통적인 인사말이 있으므로 쓰지 않도록 한다.
4) 아침 시작 방송에서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시작 방송에서도 ‘좋은 아침입니다.’, ‘편히 주무셨습니까?’하고 인사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앞에 있는 이유들로 하여 쓰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
된다. 이럴 때도 ‘안녕히 주무셨습니까?’로 하는 것이 무난하다.
4. 만나고 헤어질 때
1) 집안 출입 인사는 전통
매일 얼굴을 대하는 식구끼리도 서로 밝게 인사하는 것은 필요하다.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에 따라 경어상의 등급은 달라질 수 있어서 나가는 사람이 “다녀오리다.”, “다녀오겠소.”, “다녀오마.”, “다녀올게”하며 인사하고, 집에 있는 사람은 “안녕히 다녀오십시오.”하고 인사하며 배웅한다. 상황에 따라 “차 조심하여라.”, “일찍 들어오너라.”등과 같은 당부의 말을 덧붙일 수도 있다.
2) 때로는 “늦었습니다.”
외출했다가 들어 올 때에는 “다녀왔습니다.”하고 인사하는 것이 정형이다. 상황에 따라 “늦었습니다.”, “별일 없었니?”등을 쓸 수 있다. 외출했다가 돌아오는 사람을 마중할 때는 “다녀오셨습니까?”라고 한다. 거리에서 이웃사람을 만났을 때는 “안녕하십니까?”, “어디 가십니까?”하고 인사한다. 외출했다 돌아오는 사람을 만났을 때는 “어디 다녀오십니까?”하고 인사한다. 아침 인사가 아니어도 직장에서 그 날 처음 만나게 되는 경우의 인사말은 “안녕하십니까?”이다. 그 날 이미 한 번 인사를 했는데 또 마주친 경우에는 딸로 인사말이 필요하지 않고 목례만으로도 충분하다. 직장에서 먼저 퇴근하면서 “먼저 가겠습니다.”, “내일 뵙겠습니다.”를 정형으로 하고 “먼저 실례하겠습니다.”를 허용한다. “수고하십시오.”는 윗사람에게는 절대로 써서는 안 될 말이다. 듣는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동년배나 아랫사람에게는 쓸 수 있다.
3) 윗사람에게 “별고”가능
오랜만에 만나게 된 어른에게 “그 동안 안녕하셨습니까?”하는 것이 가장 정중한 인사이고, “그 동안 별고 없으셨습니까?”도 쓸 수 있다. 평교간이나 아랫사람에게는 “안녕하세요?” 또는 “오래간만입니다.”, “그 동안 별고 없었는가?”, “반갑습니다.”와 같은 인사를 상황에 따라 할 수 있다. 오랫동안 헤어져 있을 사람을 보낼 때는 “안녕히 다녀오십시오.”하고 아랫사람일 때는 “잘 다녀오너라.”라고 한다. 떠나는 사람은 “다녀오겠습니다.” 또는 안녕히 “계십시오.”하고 인사한다.
5. 전화 예절
1) 받을 때
벨이 울리면 수화기를 들고 집에서는 이 상황에서 “여보세요”라고 하는 것을 모범으로 한다. 직장에서는 “네, ○○○입니다.”로 한다. 일부 영업체에서 “감사합니다. ○○○○입니다.”라고 하는데 이것도 허용한다.
2) 전화를 바꾸어줄 때
이 상황에서의 말은 집에서와 직장에서 모두 “네, 잠시 기다려주십시오, 바꾸어드리겠습니다.”를 쓰는 것이 좋다. 전화를 건 사람이 누구인지 밝히지 않았을 경우에는 “누구라고 전해 드릴까요?”라고 할 수 있다.
3) 상대방이 찾는 사람 없을 때
집에서나 직장에서나 “지금 안 계십니다. 뭐라고 전해 드릴까요?”라고 정중하고 친절하게 답하도록 한다.
4) 잘못 걸려온 전화일 때
집에서나 직장에서나 “아닌데요, 전화 잘못 걸렸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5) 상대방이 응답하면
집에 전화를 걸 때, 상대방이 응답하면 “안녕하십니까? ○○○입니다. ○○○씨 계십니까?”하고 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화를 거는 사람은 인사를 하고 자신의 신분을 밝히는 것이 기본
예절임을 밝힌 것이다. 나이 어린 사람의 경우, 어른이 전화를 받았을 때는 “안녕하십니까? 저는 ○○의 친구 ○○입니다. ○○○있습니까?”처럼 통화하고 싶은 사람과 어떠한 관계인가를 밝히는 것이 예절이다. 직장에도 집에 걸때와 같이 “안녕하십니까? ○○○인데요, ○○씨 좀 바꿔주시겠습니까?”라고 말하는 것이 올바르다. 교환을 통해 전화를 걸때도 “안녕하십니까? ○○번 좀 부탁합니다.”와 같이 할 수 있다.
6) 통화하고 싶은 사람이 없을 때
‘말씀 좀 전해 주시겠습니까?’, ‘죄송합니다만, ○○○한테서 전화 왔었다고 전해 주시겠습니까?’라는 말을 쓰도록 한다.
7) 대신 거는 전화
직장에서 전화를 대신 걸게 되는 경우도 있다. “안녕하십니까? ○○○님의 전화인데요, ○○○씨를 부탁합니다.”가 바람직하다. 부탁한 전화가 연결되었을 때는 “안녕하세요? 저는 ○○회사 ○○과 ○○입니다. ○○○님의 전화인데요, 바꿔드리겠습니다.”와 같이 정중하게 표현한다.
8) 끊을 때
“안녕히 계십시오.”, “고맙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그만 끊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라고 한다.
참고문헌
교재편찬위원회 - 한국어의 이해, 세종출판사, 2000
김태엽 - 국어 청자높임법에서 낮춤법 설정의 허실, 대구대학교, 2002
이승희 - 국어 청자높임법의 역사적 변화, 청자높임법의 개념, 창조문화사
최홍자 - 국어 높임법 지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6
최창현 - 상대높임법의 대우 등분 체계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한길 - 들을이 높임법에서의 반말의 위치에 관하여,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1986

키워드

국어,   높임말,   높임법,   경어,   존대어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