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치료][이야기치료와 독서치료의 관계]이야기치료의 의의, 이야기치료의 원리, 이야기치료의 과정, 이야기치료의 적용, 이야기치료의 실제, 이야기치료와 독서치료의 관계, 이야기치료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야기치료][이야기치료와 독서치료의 관계]이야기치료의 의의, 이야기치료의 원리, 이야기치료의 과정, 이야기치료의 적용, 이야기치료의 실제, 이야기치료와 독서치료의 관계, 이야기치료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야기치료의 의의와 원리

Ⅱ. 이야기치료의 과정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4단계
5. 5단계

Ⅲ. 이야기치료의 적용과 실제
1. Application to Child Therapy(아동치료에 적용)
1) The Usefulness of 이야기치료(이야기치료의 유용성)
2) Nature and Themes of Therapy Stories(이야기 치료의 본질과 주제)
2. Variations on the Technique(테크닉의 변형들)

Ⅳ. 이야기치료와 독서치료의 관계

Ⅴ. 이야기치료 관련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작품을 활용하여 사람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치료하고자 하는 독서치료는 이야기의 치료적 원리를 잘 접목시킬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어린 내담자의 경우 아직 언어적 능력이 성인만큼 발달하지 않았고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대안적 이야기 개발이 보다 어려울 것이다. 자신의 지배적 문제가 무엇인지 조차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들이 놀이나 미술과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그들의 내면세계로 들어가고자 한다.
상담자가 이야기 치료의 원리를 이해하고 문학작품을 분석하여 발문함으로써 내담자(독자)가 문학작품과 더욱 깊이의 차원에서 치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어린 독자에게 \"네 문제에 어떻게 이름을 붙일 수 있겠니?\'라고 직접 묻기보다 \"책 속의 주인공이 겪는 문제에 우리 어떻게 이름을 붙여 볼까?\"라고 질문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 이야기 개발에 있어서도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은 내담자에게 학습 모델이 될 수 있다. 즉 \" 그 책 속의 주인공은 그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기 시작했니? 우리 그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이름을 붙여 볼까?\" 라고 물을 수 있다.
문학작품은 내담자의 문제를 보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기에 한 번 발화되면 공기 중으로 사라져 버리고 내담자의 기억에만 의존해야하는 음성매체보다는 문자로 기록된 책을 매체를 사용한다면 훨씬 효과적일 것이 분명하다. 책에 기록된 문학작품을 매개로 이야기치료를 접근하는 것의 또 하나의 장점은 상담의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어떤 문제들은 내담자가 상담자 앞에서 말하기 거북스러울 수 있다. 생각조차 하기 싫은 억눌려 있는 기억들도 있을 것이다. 그럴 때 책 속의 주인공에 관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간접적이어서 상담의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독서치료의 상담적 근거로 심리역동의 (1)동일시, (2)카타르시스, (3)통찰, (4) 적용이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 이론은 문학 작품의 서사성을 입체적으로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독서치료가 이야기의 본질을 보다 깊이 천착하여 서사의 치료적 속성에 기초한다면 텍스트와 내담자의 보다 효과적 상호작용을 위한 치료계획을 설계하는데 많은 아이디어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야기 치료는 문학작품이 어떻게 사람을 치료하는가하는 근거를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Ⅴ. 이야기치료 관련 시사점
꿈 분석은 어른의 무의식을 폭로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자는 그 수준에 답할 수 없다. 대신에 통찰력은 창조적이다. 은유들은 어른들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과정으로 명백함 없이 다른 것을 신뢰하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치료자가 만든 상징주의를 의존하는 의뢰자는 없다. 이처럼, 이야기하기는 유일하게 아이 치료자들에게 그 영역에서 특별한 목적을 주며 유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일어나는 변화를 이해하고 통할하여 말할 수 있는 아이가 필요로 하는 외부변화의 내면화에 가장 공헌하는 기술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아이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기술이다.
참고문헌
◎ 고미영 역(2003), 이야기치료란 무엇인가?, 서울 : 청목출판사
◎ 송성자·정문자(1994), 경험적 가족치료: Satir이론과 기법,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 이야기치료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 8권 2호
◎ 양유성(2004), 이야기치료, 학지사
◎ 정보인(1991), 행동치료법을 통한 어린이 행동지도, 아동상담과 치료, 한국아동학회, 21-54
◎ Gold, Joseph, 이종인 역(2003), 비블리오테라피 - 독서치료, 책 속에서 만나는 마음치유법, 서울 : 북키앙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3.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