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대적 관점인 표면적 교육과정과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비판자들로 하여금 잠재적 교육과정의 무용성을 주장하게 하는 계기가 될지 모르겠지만, 이것은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효과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무시하고 신경 쓰지 않으려고 해도, 어차피 인류가 표면적 교육과정을 계속하는 한 그 뒤에는 항상 잠재적 교육과정이 존재하고 있을 것이고, 또 짧은 지면에서는 이야기하지 못하겠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특성(교사의 인격적 측면의 영향을 많이 받음, 표면적 교육과정과 함께 조화 될 때 더욱 효과적)들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을 연구하고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좀 더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그것은 마땅히 존립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끝-
-끝-
추천자료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변천,...
수학교육과정(수학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수학교육과정(수학과교육과정)의 개정방향, 수학...
체육교육과정(체육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체육교육과정(체육과교육과정)의 개정, 체육교...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국어교육과정(국어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국...
도덕교육과정(도덕과교육과정) 목표, 도덕교육과정(도덕과교육과정) 기본 방향, 도덕교육과정...
미술과교육과정(미술교육과정)의 목적과 배경, 미술과교육과정(미술교육과정) 개정과 방향, ...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 선택중심교육과정의 편성과 단위배당 기준, 선택중심교육과...
수학교육과정(수학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수학교육과정(수학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
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 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재량활...
제7차교육과정의 이론(기본방향, 개정특징, 인간상, 구성방침), 제7차교육과정의 국민공통기...
특별활동교육과정의 개념과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실태와 영역별 시간배당, 특별활동교육...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교육과정의 기본방향, 제7차교육과정의 ...
국가수준교육과정의 의미, 국가수준교육과정의 변천, 국가수준교육과정의 필요성, 국가수준교...
학교교육과정의 특징과 필요성, 학교교육과정의 구성방침과 편성운영절차, 학교교육과정의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