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디카와 필카
(1)차이점
(2)공통점
2.카메라 상식
(1)반 셔터
(2)사진이 흔들려서 나올 때
(3)아웃 포커싱(Out Focusing)이란?
3.마치며
(1)차이점
(2)공통점
2.카메라 상식
(1)반 셔터
(2)사진이 흔들려서 나올 때
(3)아웃 포커싱(Out Focusing)이란?
3.마치며
본문내용
넣고 찍으면, 그럴듯한 아웃 포커싱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맺는 말
일상에서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카메라는 보통 '똑딱이'라고 불리는 보급형 자동 카메라이고, 이런 카메라들은 고급 카메라들에 비해 그 기능이나 연출할 수 있는 표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의욕을 가지고 카메라를 장만했다가 초심을 잃어버리고 그저 고급형 카메라, 즉 카메라의 메카니즘만을 쫓게 됩니다. 물론 저도 종종 그런 생각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제가 저를 포함해서 이 글을 읽는 분들께 하고 싶은 말은, 카메라는 메카니즘의 대상이 될 수는 있지만 결코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 보급형 카메라가 수 백만원 하는 SLR(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을 능가하는 사진을 만들어내는 것을 숱하게 볼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카메라는 사람의 시선의 연장으로써 사진을 찍는 도구일 뿐, 사진을 찍는 주체는 사람이라는 것을 제 스스로부터가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일반 카메라로 일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상식들을 몇 가지 살펴봤습니다. 현재 카메라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나 혹은 장래 카메라를 사용하게 되실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
3. 맺는 말
일상에서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카메라는 보통 '똑딱이'라고 불리는 보급형 자동 카메라이고, 이런 카메라들은 고급 카메라들에 비해 그 기능이나 연출할 수 있는 표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의욕을 가지고 카메라를 장만했다가 초심을 잃어버리고 그저 고급형 카메라, 즉 카메라의 메카니즘만을 쫓게 됩니다. 물론 저도 종종 그런 생각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제가 저를 포함해서 이 글을 읽는 분들께 하고 싶은 말은, 카메라는 메카니즘의 대상이 될 수는 있지만 결코 그것이 전부는 아니라는 것, 보급형 카메라가 수 백만원 하는 SLR(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을 능가하는 사진을 만들어내는 것을 숱하게 볼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카메라는 사람의 시선의 연장으로써 사진을 찍는 도구일 뿐, 사진을 찍는 주체는 사람이라는 것을 제 스스로부터가 잊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일반 카메라로 일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상식들을 몇 가지 살펴봤습니다. 현재 카메라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나 혹은 장래 카메라를 사용하게 되실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끝
추천자료
카메라폰에 대하여...
디지털 영상감시 시스템(DVR System)에 대한 이해와 분석 및 활용
디지털컨버젼스
(소비자 행동) 제품 구매과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 (디지털 카메라 구매과정 시뮬레이션)
사진 촬영후 느낀점(디지털, 필름 카메라)
영화 < 소름 > 의 장면 요소와 카메라 기법 및 미장센 효과
비디오 카메라의 형태와 기능
디지털 영화의 기술적 변화
디지털카메라의 구매의사결정과정
카메라 작동법
메인보드 디지털 전원부 도입의 필요성
열화상카메라
홍일유 차훈상의 디지털 기업을 위한 경영정보시스템(제3판) 7장 사례연구 과제
삼성(samsung) vs 소니(sony) 미러리스 카메라사례 분석(mirrorless camera market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