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활후견기관] 자활 및 자활사업의 개념과 분석, 문제점 해결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활의 개념

2. 자활사업의 개념

3. 자활사업 참여대상자

4. 자활사업 내용

1) 사회적응 프로그램
(1) 의의
(2) 대상자
2) 지역봉사
3) 자활근로사업
4) 자활공동체 지원사업
(1) 자활공동체
(2) 의의
5) 창원지원사업
6) 자활소득공제(자활장려금)사업

5. 자활후견기관

1) 개념
2) 연혁

6. 청소년 자활지원관
1) 개념
2) 연혁

7. 자활후견기관협회

8. 자활기관협의체

9. 자활후견기관의 문제점 및 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정
. 2004년 자활후견기관이 미지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자활후견기관 33개소 신규지정
6)청소년자활지원관
(1)개념
저소득층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취업 및 자활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을 함과 동시에,
건전한 문화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빈곤문화의 세대전승을 차단하고자 한다.
청소년자활지원관은 후견기관의 부설기관으로 설치하고,' 06년 12윌 현재 28개소
를 운영하고 있으며 , 광역 단위 자치단체에 3개소씩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2) 연혁
.1997년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자활의지 고취와 건전한 문화공간 제공을 위하여 자
활후견기관의 부설 프로그램으로 10개소의 청소년자활지원관 지정 운영
.2001년 청소년 자활 수요가 많고 청소년자활지원관이 없는 지역에 대하여 추가로
10개소 지정
. 2004년에는 청소년자활지원관이 없는 광역 단위 자치단체(충북,충남,전남,경북,
제주)에 5개소를 추가 지정
.2005년에는 청소년 자활지원 수요를 감안하여 3개소(경기 , 전북, 경남)추가 지정
7)자활후견기관협회
(1)개념
자활후견기관의 자활지원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하며, 후견기관의 균형적 발전을 도
모하고 사업수행에 따른 지식 기술 정보교류와 공동사업의 개발 등을 목적으로 설
립된 단체이다.
8)자활기관협의체
(1)개념
시장 군수 구청장이 조건부 수급자 등 저소득층에 대한 자활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직업안정기관 자활사업실시기관 및 사회복지시설 등의 장과 상시적으
로 구축하는 협의체이다.
9)자활후견기관의 문제점 및 평가
대상자의 부적합성 문제 , 프로그램상의 문제 , 통합적 전달체계의 부재 등 많은 문제
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개선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 참고문헌
-Johnson, M. M & Rhodes, R. (2005). Human behavior and the larger social environment, Allyn and acon
-Hutchison, E. (2003). Dimensions of human behavior: Person and Environment (2nd Ed). Sage
-류종훈(2007). 지역사회복지론. 경기: 학현사
-강철희, 정무성(2006). 지역사회복지실천론. 경기: 나남출판.
-최옥채, 박미은 외(200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경기: 양서원
-김범수 외(2007). 자원봉사론. 서울: 학지사
-김대원 외(200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학지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3.1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71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