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시설과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 및 Misericordia시설의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장애인복지시설의 방향

Ⅱ. Misericordia시설의 서비스 사례

1. Misericordia의 개요
2. Misericordia시설의 서비스
1) 레스피트 케어센터
2) 베르나르도 센터
3) 브라이언 오 셰넌 아파트
4) 폭스 숄 주택
5) 성모마리아센터
6) 글린우드 지역사회가정
7) 자비의 마을
8) 홀브룩 주거센터
9) 마이클마치스 주택
10) 콜리만 사회센터
11) 아이젠버그 건강치료센터
12) 치료적 수영 및 건강센터
13) 제과점 및 선물 가게
14) 그린하우스인 레스토랑
15) 온실과 정원

Ⅲ. Misericordia시설의 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시설의 클라리언트 중심의 서비스를 위한 과제

1. 시설 내적 측면
2. 시설 외적 측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충분히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시설 전체예산
중에서 많은 부분을 민간후원금으로 충당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설의 다양한 자
원들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있다. 지역사회주민들은 시설 안에 위치하고 있는
그린하우스인 레스토랑(Greenhouse Inn restaurant)에 와서 식사를 하고 제과점(Hearts and Flour Bakery)과 선물 가게(Heartworks Gift Shop)에서 가족들에게 줄 합과 과자 또는 선물들을 구입할 수 있다(신현석, 2002). 즉, 그 시설을 통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시설 주변의 지역사회재가 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도 제공된다. 예컨대, 레스피트 서비스 같은 경우에도 그 시설에서 생활하는 클라이언트가 아니라 그 지역사회의 계가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과 지역사회의 상호적인 관계유지는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시설이 클라이언트 정상화의 실현을 위하여 필수적으
로 실현해야 하는 과제인 것이다.
넷째, 생활시설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의 개선을 도모하여야 한다. '사회적 이
미지'라는 것은 미국의 Wolfensberger에 의하여 체계화된 사회적 역할의 가치부여
(Social Role Valorization)이론의 7가지 개념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생활시설의 사회적 이미지는 그 시설 자체에 대한 이미지뿐만이 아니라 그 시설에서 생활하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그 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는 클라이언트의 이미지 저하를 초래하여 심지어 클라이언트를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까지도 클라이언트에 대한 편견을 심어줄 수 있다. 따라서 생활시설의
사회적 이미지 개선은 클라이언트에게 이상적인 환경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인 것이다. Misericordia시설의 경우 시설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의 차이점을 찾아보기가 힘들 정도로 모든 시설이 밝고 깨끗하게 배치 및 정
돈되어 있으며 그러한 환경에서 나오는 긍정적인 이미지는 오히려 외부 사람들
이 시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
라에서는 아직도 요보호자에 대한 몰이해와 NIMBY현상 등으로 인해서 시설과
지역사회 주민들 간에 마찰이 빚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시설들은 사
회적 이미지의 개선을 춰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바람직한 환경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2)시설 외적 측면
진정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는 시설의 자체적인 노력과 함께 시설의 외
부적인 노력들이 함께 이루어질 때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클라이언
트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설 외적 측면에서의 대안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시설평가를 통한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
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하여 장애인복
지시설도 정기적인 시설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시설평가 결과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활용은 다소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단지 몇몇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분
적으로 시설평가를 하고 그 평가결과에 따른 인센티브를 주고는 있지만 부정적
인 인센티브(운영비 차등지원 등)의 제공은 오히려 클라이언트에게 양질의 서비스
를 제공하는 데 장애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평가결과의 긍정적인 활용
(시설 직원의 해외연수, 감사면제 등)과 함께 상황에 따라서는 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인증(accreditation)제도에 대한 고려도 클라이언트 중심의 시설환경을 구축하
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의 경우 CARF(Commission on Accreditadon of Rehabilitation Facies) 및 COA(the Council on Accreation for Childen and Family Services) 등과 같은 다양한 인증기관에서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인증을 해주는 시설인증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CARF의 경우 시설에 대한 평가결과에 따라서 인증단계는 "3년 인증(Three-Year Accreation)", "1년 인증(One-Year Accreation)", "임시 인증(Provisional Accreation)" 및 "비인증(Non-accreation)"으로 나뉘어지며, Misericordia시설의 경우 2005년 시행된 시설평가에서 최고의 인증단계라고 할 수 있는 "3년 인증"을 받았다. 이러한 인증제도는 시설이 클라이언트에게 이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수준 이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둘째,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정부지원의 현실화이다. 클라이언트에 대한 어떠
한 서비스도 안정적인 정부의 지원 없이는 제공할 수가 없다. 특히 클라이언트의
복지는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들의 복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정부의 현실적인 인적 물적 자원의 제공은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Miserico떠a시설의 경우
550명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약 900명 정도의 직원이 활
동하고 있다. 이러한 충분한 인적 자원은 다른 시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 예로
Cago의 중증장애인을 위한 주립시설인 'Illinois Center for Rehabation and
Educadon'시설의 경우에도 2006년을 기준으로 50명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107명의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정부의 예산지원에 있어서도
Misericordia시설의 경우 2006년도에 전체 예산 3천8백만 달러 중에서 민간후원금
5백3십만 달러를 제외한 3천2백7십만 달러를 정부로부터 지원받았다. 이는 경제
적 실질가치의 차이와 클라이언트의 수가 550명이라는 요인이 작용한다고 하더
라도 우리나라의 정부지원수준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는 수치이다. 따라서 우리나
라의 장애인복지시설에 대한 정부지원을 보다 현실적인 수준으로 상향조정함으
로써 클라이언트 중심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시설환경을 정립할 필요가 있는 것
이다.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3.17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7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