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의무기록/정보와 보건정보 관리자
제 2 장 의료의 발전과 의무기록의 역사
제 3 장 ★의무기록서식, 필수 내용 및 분석
제 2 장 의료의 발전과 의무기록의 역사
제 3 장 ★의무기록서식, 필수 내용 및 분석
본문내용
rs : 오늘날의 치료법과 부합되는 면이 있는 고대 의학논서
그리스 시대
-Aesculapius : 이집트 Imhotep에 상응하는 의학자로 많은 환자들을 소생시킴
-Aesculepiadae : Aesculapius를 따르던 그리스의 의사집단
-Aesculapia : 의사를 훈련하고 환자를 치료하던 사원
-Hippocrates : 의학의 아버지 , Hippocrates선서를 저술하여 의사가 환자에게서 알게 된 의료정보를 비밀로 지켜야 한다는 윤리개념의 효시를 이룸
그리스 로마시대
-Galen(A.D. 130~201) : 동맥의 기능을 처음으로 인지, 담석증의 통증에 대한 이론 발표, 이미 그리스 로마시대에 환자의 병력을 기록함
-최초의 의학 잡지 : Romana Actc Diurna
비잔틴 시대
유태시대
-성경 : 예방조치를 강조하여 오늘날 예방의학의 기초
-탈무드 : 산후의 위생, 음식섭취 등 위생문제를 논함
모하메드 시대
-Rhazes(865~925) : 천연두와 홍진에 관한 이론이란 저서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첫 연구인 동시에 두 질병을 처음으로 구별한 연구, 처음으로 양의 창자를 꼬아서 봉합사로 사용, 알코올로상처를 닦아낸 사람
중세기
-St. Bartholomew\'s Hospital : 현재까지 존재하는 유일한 병원, 개원 당시부터 환자들의 기록을 작성하여 현재까지도 보관
문화부흥시대
-Andreas Vesalius(1514~1564) : 천주교에서 시체해부를 금지하고 있었으나 죄인의 시체를 비밀리에 입수하여 인체를 해부, 연구하였다. 1543년 Fabrica란 해부학 책을 저술
17세기
-17세기 초에 의사들은 자신이 치료한 증례 기록을 하도록 되어 있었고 특히 지시사항(Doctor order)을 반드시 기록으로 남기도록 되어 있었다.
-1661년에 Captain John Graunt가 “런던의 사망 알람표(London Bills of Mortality)를 발표하여 처음으로 의료통계의 개념을 대두시킴
*런던의 사망 알림표 → 국제 사인 분류표 (8~10) →국제 질병분류 (6~10) (ICD-10, KCD-5)
질병명을 고트화하는데 도움 받는 책
18세기
-1752년 : 필라델피아에 Pennsylvania Hospital이 법인체로 창설되면서 Benjamin Franklin이 병원 사무장으로 취임
-1803년 : 가치있는 증례는 자세한 기록은 남기기로 하여 그림까지 곁들인 자세한 기록이 작성
-1873년 : 병력 기제와 환자명 색인(환자의 이름 및 병력사항을 알파벳순서로 정리)을 시작
-1771년 : New York Hospital이 개원
-1779년 : 환자 등록시작
-1808년 : 진단명, 연령, 입원일, 직업, 질병상태, 치료내용, 경과기록 등 오늘날의 의무기록과 유사한 기록을 작성
-1862년 : 질병색인(질병명에 대해 알파벳 순서로 정리)을 시작
-1914년 이후 : 정식 의학용어가 사용됨
⑪19세기
-1821년 9월 3일 Boston의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이 개원
-1897년 최초의 의무기록사서로서 Mrs. Grace Whiting Myers를 채용하였고 그가 후에 북미주 의무기록협회 초대 회장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잉크로 쓰여진 초창기의 기록은 아직도 읽을 수 있어서 의무기록의 작성과 보관이 의학의 연구와 통계장석에 얼마나 중요한 자료인가를 알 수 있도록 해줌
⑫20세기
-1902년 : 미국 병원협회는 의무기록의 통일성, 의무기록을 다룰 전문인의 필요성 및 의사들의 무관심에 대하여 논의
-1913년 : 미국외과학회가 창설 되었는데 \"수술 수준의 향상\"을 설립목표 중의 하나로 내세웠다.
-1918년 : 병원 표준화사업을 시작하면서 의무기록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병원은 모든 환자에게 정확하고 완전한 기록을 작성하고 찾기 쉬운 방법으로 보관, 관리하라\"는 등 5개의 요구 사항이 제시되었다.
-1928년 : 미국 외과학회에서는 의무기록과 그 관리 방법을 주제로 임상학회를 개최하였는데 회의 개최에 앞서 Mrs. Grace Whiting Myers를 위원장으로 하여 의무기록 실무자 위원회를 조직하도록 하고 토의 프로그램과 전시 준비를 하도록 하였다.
-1935년 : 병원 부속 의무기록사서 교육과정이 4곳에 개설
-1952년 : 미국 외과학회주관인 병원 표준화 사업이 병원신임합동위원단(JCAH)으로 이관되면서 \"표준화\"에서 \"인가\" 제도로 바뀜
-1980년 : JCAH의 병원 심사 요강에 의하면 의무기록의 내용이 빈약하고 계속적으로 미비점이나 결함이 남아 있을 경우에는 그 병원은 인가 평가에서 감점이 된다고 기록되어 있고 이는 의무기록의 질적 향상에 큰 자극이 되었다. 병원표준화 심사 프로그램은 강제권 발동이 아닌 병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행되는 것이지만 이에 통과된 병원은 병원의 수준, 진료의 질적 수준이 상당히 향상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통과되지 못했거나 심사에 응하지 않은 병원에 대해서는 간접적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병원 운영에 큰 타격을 받게 된다고 한다. 현재는 JCAHO(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 care Organization)이란 이름으로 미국 의료계에서 활동
*Medicare란 사회보장제도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국가가 의료비를 부담해주는 제도로 미국 의무기록의 발전을 가져온 또 하나의 요인이다.
*20세기의 과학기술의 발달은 마이크로 필림과 컴퓨터, 및 광디스크를 출현시켰고 이들은 의학계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다량의 정보를 저장, 검색하며 필요시에 정보의 전달 또는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계속 늘어나는 다량의 병원 정보의 관리에 주역으로 등장하여 의무기록 발전에 있어서 또하나의 요인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
●의무기록에 대한 국제적 관심 변화
의무기록의 국제수준의 확립과 향상을 위하여, 질병 통계와 같이 국제간의 비교가치가 있는 통계자료의 작성을 위하여 여러 국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국제적 모임이 시작되어 1952년 영국 런던에서 9개국의 대표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 1차 국제회의
그리스 시대
-Aesculapius : 이집트 Imhotep에 상응하는 의학자로 많은 환자들을 소생시킴
-Aesculepiadae : Aesculapius를 따르던 그리스의 의사집단
-Aesculapia : 의사를 훈련하고 환자를 치료하던 사원
-Hippocrates : 의학의 아버지 , Hippocrates선서를 저술하여 의사가 환자에게서 알게 된 의료정보를 비밀로 지켜야 한다는 윤리개념의 효시를 이룸
그리스 로마시대
-Galen(A.D. 130~201) : 동맥의 기능을 처음으로 인지, 담석증의 통증에 대한 이론 발표, 이미 그리스 로마시대에 환자의 병력을 기록함
-최초의 의학 잡지 : Romana Actc Diurna
비잔틴 시대
유태시대
-성경 : 예방조치를 강조하여 오늘날 예방의학의 기초
-탈무드 : 산후의 위생, 음식섭취 등 위생문제를 논함
모하메드 시대
-Rhazes(865~925) : 천연두와 홍진에 관한 이론이란 저서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첫 연구인 동시에 두 질병을 처음으로 구별한 연구, 처음으로 양의 창자를 꼬아서 봉합사로 사용, 알코올로상처를 닦아낸 사람
중세기
-St. Bartholomew\'s Hospital : 현재까지 존재하는 유일한 병원, 개원 당시부터 환자들의 기록을 작성하여 현재까지도 보관
문화부흥시대
-Andreas Vesalius(1514~1564) : 천주교에서 시체해부를 금지하고 있었으나 죄인의 시체를 비밀리에 입수하여 인체를 해부, 연구하였다. 1543년 Fabrica란 해부학 책을 저술
17세기
-17세기 초에 의사들은 자신이 치료한 증례 기록을 하도록 되어 있었고 특히 지시사항(Doctor order)을 반드시 기록으로 남기도록 되어 있었다.
-1661년에 Captain John Graunt가 “런던의 사망 알람표(London Bills of Mortality)를 발표하여 처음으로 의료통계의 개념을 대두시킴
*런던의 사망 알림표 → 국제 사인 분류표 (8~10) →국제 질병분류 (6~10) (ICD-10, KCD-5)
질병명을 고트화하는데 도움 받는 책
18세기
-1752년 : 필라델피아에 Pennsylvania Hospital이 법인체로 창설되면서 Benjamin Franklin이 병원 사무장으로 취임
-1803년 : 가치있는 증례는 자세한 기록은 남기기로 하여 그림까지 곁들인 자세한 기록이 작성
-1873년 : 병력 기제와 환자명 색인(환자의 이름 및 병력사항을 알파벳순서로 정리)을 시작
-1771년 : New York Hospital이 개원
-1779년 : 환자 등록시작
-1808년 : 진단명, 연령, 입원일, 직업, 질병상태, 치료내용, 경과기록 등 오늘날의 의무기록과 유사한 기록을 작성
-1862년 : 질병색인(질병명에 대해 알파벳 순서로 정리)을 시작
-1914년 이후 : 정식 의학용어가 사용됨
⑪19세기
-1821년 9월 3일 Boston의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이 개원
-1897년 최초의 의무기록사서로서 Mrs. Grace Whiting Myers를 채용하였고 그가 후에 북미주 의무기록협회 초대 회장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의 잉크로 쓰여진 초창기의 기록은 아직도 읽을 수 있어서 의무기록의 작성과 보관이 의학의 연구와 통계장석에 얼마나 중요한 자료인가를 알 수 있도록 해줌
⑫20세기
-1902년 : 미국 병원협회는 의무기록의 통일성, 의무기록을 다룰 전문인의 필요성 및 의사들의 무관심에 대하여 논의
-1913년 : 미국외과학회가 창설 되었는데 \"수술 수준의 향상\"을 설립목표 중의 하나로 내세웠다.
-1918년 : 병원 표준화사업을 시작하면서 의무기록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병원은 모든 환자에게 정확하고 완전한 기록을 작성하고 찾기 쉬운 방법으로 보관, 관리하라\"는 등 5개의 요구 사항이 제시되었다.
-1928년 : 미국 외과학회에서는 의무기록과 그 관리 방법을 주제로 임상학회를 개최하였는데 회의 개최에 앞서 Mrs. Grace Whiting Myers를 위원장으로 하여 의무기록 실무자 위원회를 조직하도록 하고 토의 프로그램과 전시 준비를 하도록 하였다.
-1935년 : 병원 부속 의무기록사서 교육과정이 4곳에 개설
-1952년 : 미국 외과학회주관인 병원 표준화 사업이 병원신임합동위원단(JCAH)으로 이관되면서 \"표준화\"에서 \"인가\" 제도로 바뀜
-1980년 : JCAH의 병원 심사 요강에 의하면 의무기록의 내용이 빈약하고 계속적으로 미비점이나 결함이 남아 있을 경우에는 그 병원은 인가 평가에서 감점이 된다고 기록되어 있고 이는 의무기록의 질적 향상에 큰 자극이 되었다. 병원표준화 심사 프로그램은 강제권 발동이 아닌 병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행되는 것이지만 이에 통과된 병원은 병원의 수준, 진료의 질적 수준이 상당히 향상되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통과되지 못했거나 심사에 응하지 않은 병원에 대해서는 간접적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병원 운영에 큰 타격을 받게 된다고 한다. 현재는 JCAHO(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 care Organization)이란 이름으로 미국 의료계에서 활동
*Medicare란 사회보장제도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국가가 의료비를 부담해주는 제도로 미국 의무기록의 발전을 가져온 또 하나의 요인이다.
*20세기의 과학기술의 발달은 마이크로 필림과 컴퓨터, 및 광디스크를 출현시켰고 이들은 의학계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다. 다량의 정보를 저장, 검색하며 필요시에 정보의 전달 또는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계속 늘어나는 다량의 병원 정보의 관리에 주역으로 등장하여 의무기록 발전에 있어서 또하나의 요인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
●의무기록에 대한 국제적 관심 변화
의무기록의 국제수준의 확립과 향상을 위하여, 질병 통계와 같이 국제간의 비교가치가 있는 통계자료의 작성을 위하여 여러 국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국제적 모임이 시작되어 1952년 영국 런던에서 9개국의 대표자가 참석한 가운데 제 1차 국제회의
추천자료
『병원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의 종류』
기록학 분류이론과 분류기준표에 관한 연구
기록물분류기준표
간호이론(간호과정, 기록과보고, 의사소통)
필수기록물
CRM 도입을 통한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 방안
지방기록보존소와 건립의 필요성
[교수학습이론과매체D형]기록작업의 이론적 근거,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에서 기록작업의 ...
우리나라 기록관의 실태 및 양상
[기록보존제도, 미국 기록보존제도, 영국 기록보존제도, 프랑스 기록보존제도, 한국, 중국]미...
[열람, 열람과 도서관열람실, 열람과 기록열람, 열람과 온라인열람목록, 열람과 열람복사, 열...
[관리회계][회계][관리회계 정의][관리회계 유형]관리회계의 정의, 관리회계의 유형, 관리회...
[부동산]부동산관리(부동산자산관리)의 구성요소, 법률, 부동산관리(부동산자산관리)의 기능,...
[관리회계][회계][경영관리][경영][재무제표][인터넷프로그램]관리회계의 의의, 관리회계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