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뇌병변 장애인--------------------------------- 3
1. 뇌병변장애 정의--------------------------------- 3
1) 뇌성마비
2) 뇌졸중
3) 외상성 뇌손상
2. 뇌병변장애의 판정기준 --------------------------- 4
1)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2) 진료기록 등의 확인
3) 장애진단 및 재판정 시기
4) 판정 개요
5) 뇌병변장애 등급기준
Ⅱ. 지적장애 ----------------------------------- 5
1. 지적장애 용어 변천 ------------------------------- 5
2. 지적장애 정의 ---------------------------------- 5
3. 원 인 --------------------------------------- 5
1) 의료적 차원
2) 다요인적 접근(전용호, 2000)
4. 지적장애 정도 ---------------------------------- 6
5. 지적장애 판정기준 -------------------- ----------- 6
1)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2) 진료기록 등의 확인
3) 장애진단 및 재판정 시기
4) 판정 개요
5) 지적장애 등급기준
6. 특성 --------------------------------------- 7
1. 뇌병변장애 정의--------------------------------- 3
1) 뇌성마비
2) 뇌졸중
3) 외상성 뇌손상
2. 뇌병변장애의 판정기준 --------------------------- 4
1)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2) 진료기록 등의 확인
3) 장애진단 및 재판정 시기
4) 판정 개요
5) 뇌병변장애 등급기준
Ⅱ. 지적장애 ----------------------------------- 5
1. 지적장애 용어 변천 ------------------------------- 5
2. 지적장애 정의 ---------------------------------- 5
3. 원 인 --------------------------------------- 5
1) 의료적 차원
2) 다요인적 접근(전용호, 2000)
4. 지적장애 정도 ---------------------------------- 6
5. 지적장애 판정기준 -------------------- ----------- 6
1) 장애진단기관 및 전문의
2) 진료기록 등의 확인
3) 장애진단 및 재판정 시기
4) 판정 개요
5) 지적장애 등급기준
6. 특성 --------------------------------------- 7
본문내용
성 지능지수를 종합한 전체 검사 지능지수를 말한다.
② 지적장애를 초래하는 원인 질환을 갖고 있는 유아의 경우 너무 어려서 상기의 제 검사가 불가능할 경우 발달검사를 시행하여 산출된 발달지수를 지능지수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판정한다.
③ 뇌 손상, 뇌 질환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성인이 된 후 지능저하가 온 경우에도 상기 기준에 근거하여 지적장애에 준한 판정을 할 수 있다. 단, 노인성 치매는 제외한다.
5) 지적장애 등급기준
장애등급
장애정도
1급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34 이하인 사람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적응이 현저하게 곤란하여 일생동안 타인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
2급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35 이상 49 이하인 사람으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고, 어느 정도의 감독과 도움을 받으면 복잡하지 아니하고 특수기술을 요하지 아니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람
3급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50 이상 70 이하인 사람으로 교육을 통한 사회적·직업적 재활이 가능한 사람
6. 특성
지적장애인은 개인차가 크며, 특히 장애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공통적인 발달특성을 보이지 않는다. 대체로 주의가 산만하고 기억력이 부족하며, 관찰이나 모방을 통해 배우는 모방학습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적장애인의 사회 정서적 특성
① 어떤 상황이나 과제가 주어졌을 때 쉽게 좌절한다
② 부정적 자아개념을 갖는 경우가 많다
③ 정신구조에 경직성을 보인다
④ 통찰력이 부족하다
⑤ 성취에 대한 내면적 충동이 희박하다
⑥ 소극적, 도피적 행동을 많이 보인다
⑦ 반항적, 공격적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② 지적장애를 초래하는 원인 질환을 갖고 있는 유아의 경우 너무 어려서 상기의 제 검사가 불가능할 경우 발달검사를 시행하여 산출된 발달지수를 지능지수와 동일하게 취급하여 판정한다.
③ 뇌 손상, 뇌 질환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성인이 된 후 지능저하가 온 경우에도 상기 기준에 근거하여 지적장애에 준한 판정을 할 수 있다. 단, 노인성 치매는 제외한다.
5) 지적장애 등급기준
장애등급
장애정도
1급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34 이하인 사람으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의 적응이 현저하게 곤란하여 일생동안 타인의 보호가 필요한 사람
2급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35 이상 49 이하인 사람으로 일상생활의 단순한 행동을 훈련시킬 수 있고, 어느 정도의 감독과 도움을 받으면 복잡하지 아니하고 특수기술을 요하지 아니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는 사람
3급
지능지수와 사회성숙지수가 50 이상 70 이하인 사람으로 교육을 통한 사회적·직업적 재활이 가능한 사람
6. 특성
지적장애인은 개인차가 크며, 특히 장애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공통적인 발달특성을 보이지 않는다. 대체로 주의가 산만하고 기억력이 부족하며, 관찰이나 모방을 통해 배우는 모방학습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적장애인의 사회 정서적 특성
① 어떤 상황이나 과제가 주어졌을 때 쉽게 좌절한다
② 부정적 자아개념을 갖는 경우가 많다
③ 정신구조에 경직성을 보인다
④ 통찰력이 부족하다
⑤ 성취에 대한 내면적 충동이 희박하다
⑥ 소극적, 도피적 행동을 많이 보인다
⑦ 반항적, 공격적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교육][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 성교육][지적장애아][지적장애아 성교육][성교육프로그램]...
[정신지체][지적장애][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정신지체아동][지적장애아동]정신지체아의 특...
[지적장애][지적장애아동][정신지체아][정신지체아교육]정신지체아의 특성, 발달가능성을 통...
[정신지체아][지적장애아][정신지체][지적장애][직업교육][진로교육]정신지체아의 직업교육, ...
[정신지체아][정신지체][지적장애아][지적장애][지적장애아동]정신지체아와 놀이, 정신지체아...
[정신지체아][지적장애][지적장애아동][정신지체아동][대인관계][사회적응행동][사회적응능력...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지적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프로그램 - 부천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강남구 직업재활센터, 파...
자폐장애와 지적장애의 기준방법
장애인의 분류와 특성(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
지적장애인(정신장애인) 영화감상문 말아톤
지적장애와 자폐를 가진 중복장애인에 대한 사례관리
길버트그레이프 영화감상문(사회복지정책, 지적장애, 폭식장애, 장애인주인공, 사회복지정책,...
정신적 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