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식방법
Ⅱ. 수정
Ⅲ. 발생과 진화
Ⅳ. 사람의 생식과 발생
Ⅱ. 수정
Ⅲ. 발생과 진화
Ⅳ. 사람의 생식과 발생
본문내용
하여 난자에 접근
⑵ 정자의 침입: 정자가 난자의 젤리층에 접근하면 정자의 첨체가 파열되면서 효소가 분비되어 젤리층을 분해
① 정자의 머리 앞부분에서 첨체돌기가 나와 난자의 표면에 붙음
② 난자 표면에서는 정자를 향해 수정돌기 형성
⑶ 수정막의 형성: 정자가 난자 속으로 들어가면서 몇 초 이내에 난자에서는 신경 충격과 같은 급격한 전기적 변화가 생기고, 난자 표면에 수정막 형성 → 정자 침입 막음
⑷ 핵의 융합: 정자의 정핵(n) + 난자의 난핵(n) → 수정핵(2n)
2. 여성의 생식 주기: 약 28일을 주기로 성숙한 난자를 한 개씩 배란. 뇌하수체 호르몬이 난소에 작용하여 조절
⑴ 생식 주기: 월경기→여포기→황체기
① 여포의 생장 및 난자의 성숙: 여포는 에스트로겐(여포호르몬) 분비
- 에스트로겐: 자궁벽 비후, 여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를 억제하여 다른 여포의 성숙을 억제 함,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황체형성호르몬(LH)을 분비하도록 함
② 배란 후 여포→황체. 이 황체에서는 프로게스테론(황체호르몬) 분비 - FSH의 분비 억제, 자궁벽 혈관의 성장을 크게 촉진하여 자궁벽은 한층 더 두꺼워 짐,
a. 난자가 자궁벽에 착상 시: 계속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자궁의 비후된 조직이 유지
b. 난자가 자궁벽에 미 착상 시: 황체는 급격히 퇴화→프로게스테론 분비 감소→두꺼워진 자궁벽 파열→혈액이 질을 통해 방출…월경→뇌화수체에서 FSH의 분비 시작
⑵ 배란: 월경 개시 후 14일 전후에 황체 형성 호르몬의 자극으로 배란
3. 임신과 출산
⑴ 착상: 포배가 자궁벽 속에 자리잡는 현상
⑵ 출산: 수정 후 266일 정도 지난 뒤 옥시토신의 자극에 의해 출산.
① 임신 주 수에 따른 변화
a. 3주 경: 수정란은 포도알만하며, 배아는 4mm 정도
b. 4주 말: 배아는 10mm 정도. 머리는 커지고 둥글게 되며, 눈·코·귀가 나타나기 시작. 심장이 뛰기 시작하고 혈액 순환 시작. 배아의 가장 위험한 시기-모체 혈액에 어떤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할 때 태아의 영구적인 기형 초래
c. 2개월(8주) 말: 체장 3-4cm 정도. 안면의 형태 거의 완성. 태아로서의 특징을 모두 갖춘다.
d. 3개월 태아: 거의 모든 기관 발생. 체모 생성. 외음부의 형태에서 남녀구별 가능. 발육이 매우 왕성한 시기-신장이 약 10cm, 체중이 약 45g. 이 시기부터 태아.
e. 5개월 태아: 근육운동→체간, 사지의 움직임-태동. 손발톱 나타남. 태아의 심음이 밖에서 들림. 신장 약 25cm, 체중 240g 정도.
f. 6개월 태아: 전신은 체모로 덮이며, 피하지방 형성.
g. 7개월 태아: 두발 발생. 동공막 퇴화, 안검이 갈라짐. 신장 35cm, 체중 1,500g 정도. 남아는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옴.
h. 8개월 태아: 신장 42cm, 체중 2,500g 정도 피하의 지방조직 생성, 분홍색의 탄탄한 피부. 뼈조직의 활성화와 간에서의 철분 저장-많은 양의 광물질 필요
i. 9개월 태아: 태아의 체중은 1주에 약 227g씩 증가. 피부의 솜털 소실, 손·발톱이 손가락 위를 덮고, 두골의 석회화→봉합은 아직 열려 있음.
j. 10개월 태아: 신생아-신장은 약 50cm, 체중 약 3.3kg 정도
② 발육 상태에 따른 구분
a. 배아기: 임신 첫 2개월
b. 태아기: 임신 3개월∼출생 전
c. 미숙아: 임신 7개월 이전→보육이 어려움
d. 조산아: 임신 8개월 이후 출산→보육 가능
e. 신생아기: 생 후 4주까지
f. 영아기: 생 후 4주∼1년
※ 세포분열
- 세포 주기: 간기(G1기→S기→G2기)와 분열기
- 간기
a. G1기: DNA 복제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
b. S기: DNA 합성
c. G2기: 세포 분열에 필요한 물질의 합성
⑴ 체세포 분열
① 핵분열
- 전기: 핵막과 인의 소실. 염색사 응축-염색체 형성
- 중기: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하고 방추사가 염색체에 붙는다.
- 후기: 방추사가 짧아지면서 염색체가 양극으로 이동
- 말기: 핵막과 인이 나타나고 염색체가 풀려 염색사로 된다.
② 세포질 분열
- 동물: 세포막 함입
- 식물: 세포판 형성
⑵ 감수분열
①제 1분열: 이형 분열(2n→n)
②제 2분열: 동형 분열(n→n)
그림 1. 고사리의 세대교번
그림2. 속씨식물의 생식세포 형성과정
그림 3. 속씨식물의 중복 수정
그림 4. 알의 종류와 난할 방식
그림 5. 초기 발생 과정
그림 6. 정자형성과정
그림 7. 난자형성과정
그림 8. 여성의 생식주기와 호르몬 변화
⑵ 정자의 침입: 정자가 난자의 젤리층에 접근하면 정자의 첨체가 파열되면서 효소가 분비되어 젤리층을 분해
① 정자의 머리 앞부분에서 첨체돌기가 나와 난자의 표면에 붙음
② 난자 표면에서는 정자를 향해 수정돌기 형성
⑶ 수정막의 형성: 정자가 난자 속으로 들어가면서 몇 초 이내에 난자에서는 신경 충격과 같은 급격한 전기적 변화가 생기고, 난자 표면에 수정막 형성 → 정자 침입 막음
⑷ 핵의 융합: 정자의 정핵(n) + 난자의 난핵(n) → 수정핵(2n)
2. 여성의 생식 주기: 약 28일을 주기로 성숙한 난자를 한 개씩 배란. 뇌하수체 호르몬이 난소에 작용하여 조절
⑴ 생식 주기: 월경기→여포기→황체기
① 여포의 생장 및 난자의 성숙: 여포는 에스트로겐(여포호르몬) 분비
- 에스트로겐: 자궁벽 비후, 여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를 억제하여 다른 여포의 성숙을 억제 함,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황체형성호르몬(LH)을 분비하도록 함
② 배란 후 여포→황체. 이 황체에서는 프로게스테론(황체호르몬) 분비 - FSH의 분비 억제, 자궁벽 혈관의 성장을 크게 촉진하여 자궁벽은 한층 더 두꺼워 짐,
a. 난자가 자궁벽에 착상 시: 계속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자궁의 비후된 조직이 유지
b. 난자가 자궁벽에 미 착상 시: 황체는 급격히 퇴화→프로게스테론 분비 감소→두꺼워진 자궁벽 파열→혈액이 질을 통해 방출…월경→뇌화수체에서 FSH의 분비 시작
⑵ 배란: 월경 개시 후 14일 전후에 황체 형성 호르몬의 자극으로 배란
3. 임신과 출산
⑴ 착상: 포배가 자궁벽 속에 자리잡는 현상
⑵ 출산: 수정 후 266일 정도 지난 뒤 옥시토신의 자극에 의해 출산.
① 임신 주 수에 따른 변화
a. 3주 경: 수정란은 포도알만하며, 배아는 4mm 정도
b. 4주 말: 배아는 10mm 정도. 머리는 커지고 둥글게 되며, 눈·코·귀가 나타나기 시작. 심장이 뛰기 시작하고 혈액 순환 시작. 배아의 가장 위험한 시기-모체 혈액에 어떤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할 때 태아의 영구적인 기형 초래
c. 2개월(8주) 말: 체장 3-4cm 정도. 안면의 형태 거의 완성. 태아로서의 특징을 모두 갖춘다.
d. 3개월 태아: 거의 모든 기관 발생. 체모 생성. 외음부의 형태에서 남녀구별 가능. 발육이 매우 왕성한 시기-신장이 약 10cm, 체중이 약 45g. 이 시기부터 태아.
e. 5개월 태아: 근육운동→체간, 사지의 움직임-태동. 손발톱 나타남. 태아의 심음이 밖에서 들림. 신장 약 25cm, 체중 240g 정도.
f. 6개월 태아: 전신은 체모로 덮이며, 피하지방 형성.
g. 7개월 태아: 두발 발생. 동공막 퇴화, 안검이 갈라짐. 신장 35cm, 체중 1,500g 정도. 남아는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옴.
h. 8개월 태아: 신장 42cm, 체중 2,500g 정도 피하의 지방조직 생성, 분홍색의 탄탄한 피부. 뼈조직의 활성화와 간에서의 철분 저장-많은 양의 광물질 필요
i. 9개월 태아: 태아의 체중은 1주에 약 227g씩 증가. 피부의 솜털 소실, 손·발톱이 손가락 위를 덮고, 두골의 석회화→봉합은 아직 열려 있음.
j. 10개월 태아: 신생아-신장은 약 50cm, 체중 약 3.3kg 정도
② 발육 상태에 따른 구분
a. 배아기: 임신 첫 2개월
b. 태아기: 임신 3개월∼출생 전
c. 미숙아: 임신 7개월 이전→보육이 어려움
d. 조산아: 임신 8개월 이후 출산→보육 가능
e. 신생아기: 생 후 4주까지
f. 영아기: 생 후 4주∼1년
※ 세포분열
- 세포 주기: 간기(G1기→S기→G2기)와 분열기
- 간기
a. G1기: DNA 복제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
b. S기: DNA 합성
c. G2기: 세포 분열에 필요한 물질의 합성
⑴ 체세포 분열
① 핵분열
- 전기: 핵막과 인의 소실. 염색사 응축-염색체 형성
- 중기: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하고 방추사가 염색체에 붙는다.
- 후기: 방추사가 짧아지면서 염색체가 양극으로 이동
- 말기: 핵막과 인이 나타나고 염색체가 풀려 염색사로 된다.
② 세포질 분열
- 동물: 세포막 함입
- 식물: 세포판 형성
⑵ 감수분열
①제 1분열: 이형 분열(2n→n)
②제 2분열: 동형 분열(n→n)
그림 1. 고사리의 세대교번
그림2. 속씨식물의 생식세포 형성과정
그림 3. 속씨식물의 중복 수정
그림 4. 알의 종류와 난할 방식
그림 5. 초기 발생 과정
그림 6. 정자형성과정
그림 7. 난자형성과정
그림 8. 여성의 생식주기와 호르몬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