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생식기 II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생식기 I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산가스가 태반으로 돌아온다
-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는 줄로 태반의 태아쪽에서 태아의 배꼽까지 연결됨
- 통각 수용기가 없어 탯줄 잘라도 아기는 아프지 않다.
교양조직(wharton's jelly)
- 혈관들은 반투명의 점액질을 포함하는결합조직에 의해 지지됨다.
- 혈액운반을 촉진하고
- 혈관이 압박당하지 않도록 보호
- 분만 후 제대를 건조시켜 제대가 빨리 위축함.
♧ 태반
배포의 영양배엽으로부터 발전된것
무게 : 400-600 g
구성 : 번생 융모막 + 기저 탈락막
태아면 : 평편하고 회색빛으로 빛나는 양막으로 덮여있고 그밑에는 커다란 혈관들을 볼 수 있다
모체면 : 암적색으로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크기가 같지 않은 태반 부엽이라 불리우는 15-20개의 부분을 갖는다.
태반용혈
- 자궁의 수축기(braxton hicks)동안 채워지며, 이를 통해 혈류가 흘러 들어간다.
- 자궁이 이완하면 혈액은 태반의 동양혈관으로부터 모체순환으로 돌아온다
임부 측위 : 모체와 태아에게 최적의 순환이 가능하다.
( 앙와위 - 자궁이 하대정맥을 압박=> 자궁 & 하지에서 정맥혈이 하대정맥으로 유입을 방해함)
태반의 기능
① 태아에 대한 호흡작용
② 노폐물의 배설작용
③ 영양공급의 작용
- 산소/당/단백/지방/물/광물질..
④ 내분비의 작용
- 융모성선자극(HCG) : 황체유지
- 태반락토젠(HPL) : 성장촉진
- 융모성 갑상샘 자극 호르몬
⑤ 보호의 작용
-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IgG 전이
태반의 운반작용
① 누출
- 분자량 작은 것 => 태반을 통과 O
예) Vit A,B,C,K, 항생제, 마약제,
진통제, 마취제, 바이러스, 카페인
- 분자량 큰 것 => 태반 통과 X
예) Vit D, 박테리아
♧ 태아의 심맥계
제대정맥 -=> 정맥관 => 하대정맥
=> 우심방

① 우심실 & 폐동맥 => 동맥관
=> 폐 or 대동맥 => 내장골 동맥 => 제대동맥 => 태반
② 난원공 => 좌심방 => 폐정맥
=> 좌심실 => 상행 대동맥
=> 심장, 머리, 목, 상지
성인은 난원공이 없다.
♧ 태아의 호흡계 : “폐의 발생”
① 가성선기 (임신 5-17주)
② 세관기 (임신 13-25주)
③ 포낭선기 (임신 24주-출산)
폐포 세포는 계면활성제를 분비
인지질 물질 : 출생전 폐포 내부덮음
=> 흡기동안 폐포의 표면장력을 감소 & 출생시 폐의 확장을 용이하게함
계면활성제 주요성분
=> 레시틴 : 스핑고마이엘린 = 2 : 1
=> 24주째부터 양수내 축적되며
임신 36주 : 폐의 성숙!!
④ 폐포기 (임신 말기 -약8세)
♧ 태반 호르몬
① 융모성선자극호르몬(HCG)
- 임신초기 황체가 유지되도록 함
- 임신 25th 임부의 뇨중에서 발견됨
=> 임신유무검사시 사용
- 월경중지후 60-70일 최고조100units
- 임신유지에 필요한 호르몬 분비
- 면역성질 지님 => 이물질 단백에 반응하는 lympho cyte억제하게 함
② estrogen
prolactin의 분비를 유도
=> 유방/유선 조직증대=> 유즙분비
자궁증대
(근육비대+자궁내막증식+혈액공급증가)
결합조직의 탄력성 저하
- 치골결합&골반인대 이완 => 요통
Hcl, pepsin 저하 =>소화장애, 오심
③ progesteron
oxytocin 분비억제 :자궁수축 억제하여 태아보호함
자궁내막의 탈락막세포의 발달증가
- 자궁내막선 증가
- 혈액공급증가
- glycogen침전 => 배아에 영양공급
평활근 탄력성 저하
=> 변비, 뇨정체, 비뇨기 감염
=> 정맥확대 : 하지부종, 정맥류
=> 담낭 탄력성 저하
호흡중추 자극 :과다호흡 일으켜 동맥 & 폐포의 CO2 분압 낮춤
④ 태반 락토젠(HPL)
유즙분비 - 유방의 포상발달
신진대사에서 에너지원천으로 사용
포도당 신생 & 당질대사 억제
=> 혈당치 상승 원인됨
=> 태아 췌장 지속적 고혈당 나타나면 과량 분비되어 출산시 신생아 저혈당되며 뇌성 장에 위험따름
♧ 임신에 따른 자궁 변화
임신 8주
- 자궁은 아직 복부에서 촉진되지 않음
임신 12주
- 자궁저부는 치골결합 위로 올라온다.
- 서양배 모양의 자궁 -> 원형
임신 16주
- 자궁 원형 -> 난원형
- Doppler로 아이 확인가능!!
임신 20주
- 자궁저부는 제와부 아래 두개 손가락
임신 24주
- 자궁저부는 제와부 수준
임신 36주
- 자궁 제일 높은 수준까지 올라옴
=> 검상돌기와 접촉
하강감(,lightening)
- 임신 38주쯤의 자궁저부 높이는 34주때 임신 수준으로 내려가는 것
  • 가격5,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5.1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4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