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프턴(예비,결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목 적

2. 실험원리

3.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실험 시 주의사항

6. 실험결과

7. 분석

8. 고찰 및 개선사항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컴프턴인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컴프턴 기본 이론이 전개가 된다. 이것을 통해 그 각도에서는 nobody 상태일때보다 더 많은 입자가 검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실험을 통해 증명이 되었다.
8. 고찰 및 개선사항
납덩어리의 위치를 잘 잡으면 노이즈를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우리는 납덩어리가 방사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안전용으로 있는 줄 알고 사람 쪽으로 오는 방사능을 막기 위해 사용했었다. 그런데 그러면 안 되는 것이었음을 방금 깨달았다.
전자기파의 회절현상에 의한 노이즈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그 경로를 막는데 쓰는 것이었다.
nobody경우의 데이터에서도 여전히 662keV의 값이 많았다는 것은 회절 한 입자가 꽤 많았음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입자들을 납으로 막아주었다면 좀 더 질 좋은 그래프를 얻었을 것이다.
매뉴얼의 그림대로 경로상의 회절을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한다면 실험 결과가 더 좋은 쪽으로 바뀌었을 것이다.
아마 정말로 피크점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그래프가 얻어졌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러지 못한 것이 아쉽다.
또한 혼합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어떤 입자와 전자기파가 얼마나 방출이 되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없어 좀 더 정밀한 비교와 문제점 분석을 하지 못했다.
이번 역시 처음 써보는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이 문제가 되었다.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뒤늦게 알았던 데다가 컴퓨터에 센서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확한 연습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실험이 시작한 뒤에야 소프트웨어의 설정을 제대로 맞춰갈 수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부족한 감이 있었다.
주의할 점은 원래 측정되는 에너지인 662keV 근처의 입자가 각도를 바꿔도 계속 검출되는 것이 올바른 데이터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 피크점이 유지가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서 많이 당황했었지만 원래 이런게 맞다는 것을 알고 난 뒤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된 것 같아서 좋았다.
왼쪽의 그림은 콤프턴 효과의 대략적인 결과 그래프이다. 여기서도 볼 수 있듯이 피크점이 2개가 나오는데 그 중 하나는 원래 측정되는 에너지의 양임을 알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이 그림에서는 피크점이 오른쪽으로 이동 했는데 이것은 x축이 에너지가 아니고 파장이기 때문이다.
에너지로 보면 피크점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이번 실험은 꽤 올바른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9. 참고 문헌
http://en.wikipedia.org/wiki/Alpha_particle
http://en.wikipedia.org/wiki/Beta_particle
http://en.wikipedia.org/wiki/Gamma_ray
http://en.wikipedia.org/wiki/Compton_effect
북스힐, serway 현대물리 Third edition 110~120 페이지 (컴프톤 효과와 X선)
http://faculty.gvsu.edu/majumdak/public_html/OnlineMaterials/ModPhys/QM/QM1.htm (원래 피크점의 유지.)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3.2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1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