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휴렛팩커드사(HP)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HP사의 설립과 발전과정
2) HP의 현재

2. 본론
1) HP사의 설립당시 환경
2) HP사의 전략과 기술
3) HP사의 설립당시 조직구조와 환경과의 적합성

3. 결론

본문내용

략’ 부분
위의 내용을 참고 하였을 때, 과거 HP사는 M. Porter의 경쟁전략 중 집중화 전략(focus)에 해당하는 전략을 이용하였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이제는 다음 장으로 넘어가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HP사가 취한 전략들이 과연 당시 HP사가 처해있던 환경에 대해 적합한 전략이었는지 조직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3) HP사의 설립당시 조직구조와 환경과의 적합성
위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HP사는 당시 높은 복잡성과 빠르게 변화하는 동태성을 가진 전자기기산업에 속해있다. HP사가 처한 환경은 높은 환경의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HP사는 1957년, 조직을 4개 부문의 제품별 사업부제 조직(Divisional Structure)으로 구성하였다. 조직이론에 따르면, 사업부제 조직은 개발, 생산, 마케팅 등 각각의 부문들이 사업부별로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자원 활용 측면에서는 비경제적이고, 사업부간 협력, 조정이 곤란한 점 등의 단점이 있지만, 전체적 조직목표에 집중가능하고, 무엇보다도 불안정한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는 장점과, 대규모, 다품종 생산 조직에 적합한 점이 있다. 당시 HP는 높은 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 300여 가지 다양한 제품들을 대량 생산하고 있었기에, 조직이론 관점에서 적합한 조치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직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1957년 당시에 이러한 조직구조는 혁신적이라고 평가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위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HP사는“HP Way"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현장을 직접 방문하는 경영”,“Open Door Policy" 등 과 같이 수평적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하였다. 모든 사무실과 중역실을 개방하여 상호 신뢰하고 사원들이 임원들과 자유롭게 문제점을 토론 할 수 있게 하는 이와 같은 노력들은, 조직이론상의 직접적인 수평적 조직구조 수평적 조직구조 : 작업흐름과 프로세스에 따라 부서화한 조직구조로써, 변화에 유연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는 아니지만,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추구함으로써, 좀 더 유기적인 조직이 되어 빠르게 변화하는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상당히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된 것이라 평가 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HP사는 1957년 소노마 회의를 통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발표하여 “목표에 의한 관리”를 했다고 하였다.“목표에 의한 관리”는 조직이론 상의 내용은 아니지만 경영학 원론에서 다루고 있다. HP사의 이러한 “목표에 의한 관리”기법은 앞서 설명한 사업부제 조직의 특성과 조화되어, HP사의 과거에 비하여 좀 더 유기적인 조직으로 나아가 불확실한 환경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좋은 수단 이 되었다.
이처럼 HP사가 취한 조직구조, 경영이념 이나 방식 등은 당시 HP사가 처해 있던 환경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종합 판단 해 볼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HP사의 지난 과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는 HP사가 컴퓨터 프린터나 만드는 회사라고 대부분 인식하고 있지만, HP의 역사를 살펴보면 HP사는 현대문명에 지대한 공헌을 한 회사라고 할 수 있다. HP사가 지난 1938년 창립 이래 약 70여 년이 지나도록 건재했던 것은 지난 1950년대 급격한 환경의 변화에 대해 적절이 대처했기 때문이 아닐 수 없다. 당시 조직이론이나 경영이론등이 현재와 같이 잘 정립되어 있지 않던 시절, 빌 휴렛과 데이비드 팩커드, 두 창립자들의 이러한 경영방식과 조직관리 기법들은 혁신적이고 당시 환경에 적합한 조치가 되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가 현재의 조직이론과 경영이론을 만들어 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HP사는 현재 실리콘 벨리 벤처기업의 대표적인 모델로 여겨지고 있고, “HP Way"와 같은 경영방식이 대학에서 연구, 학습 대상으로써 모델이 되고 있다. 과거에 비하여 훨씬 더 빠른 변화와 높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21세기 현재의 IT산업에서 HP사가 앞으로 얼마나 더 기업활동을 이어갈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역사책이나 교과서에서는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며 본 보고서를 마치도록 하겠다.
- 이 상 -
※ 참고자료
휴렛팩커드 이야기(The HP Way), 데이비드 팩커드, 중앙M&B, 1995년
조직이론과 설계 제10판, Richard L. Daft, 한경사, 2010년
한국 Hewlett-Packard사 Homepage
http://www.hp.co.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 이 상 -
  • 가격3,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22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