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과정
(1) 부품 가져오기
(2) 선그리기
(3) 파라미터 설정하기
(4)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하기
(5) Marker 설정하기
(6) 실행하기
서론
1. 실험목표
2. 실험목적
3. 학습내용
(7) 연습문제
(1) 부품 가져오기
(2) 선그리기
(3) 파라미터 설정하기
(4)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하기
(5) Marker 설정하기
(6) 실행하기
서론
1. 실험목표
2. 실험목적
3. 학습내용
(7) 연습문제
본문내용
: 40ms에서 논리 0
디지털 입력 DSTM2 설정
① DSTM2를 마우스로 2번 클릭한다. 혹은 마우스로 1번 클릭하여 부품이 빨간색으로 바뀌면 Edit/properties를 선택하여 propetty editor를 동작시킨다.
② TIMESTEP : 입력하지 않는다.
COMMAND1 0s 0 : 0초에서 논리 0
COMMAND2 20ms 1 : 20ms에서 논리 1
COMMAND3 40ms 0 : 40ms에서 논리 0
Off-Page Connector에 이름 부여하기
① off-page connector를 마우스로 2번 클릭한다.
② display properties 대화상자의 value에 OUT라고 써 놓은 뒤 OK를 클릭하거나 Enter키를 누른다.
노드에 노드명 부여하기
① 왼쪽의 툴바를 클릭하거나 place/net alies를 선택한다.
② place net alies대화상자에 IN1이라고 써놓은 뒤 OK를 클릭 하거나 Enter키를 누른다.
③ 같은 방법으로 IN2를 기입한다.
(4)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하기
디지털 회로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해석에서와 같이 여러 형태의 해석은 없고 통상 과도해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PSpice/ net simulation profile을 선택한 후, Analysis setup 대화상자가 화면에 나타나면 transient 해석을 선택한다.
② transient를 클릭한 후 다음과 같이 run to time = 40ms를 입력한다.
Maximum step값을 1ms 정도 입력한다. 시뮬레이션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현재 예제로 사용한 회로의 입력 최소주기는 20ms이므로 Maximum step을 1ms로 해도 해석에는 별 무리가 없다. Final time은 입력 신호에 대한 정의가 40ms까지 이므로 이 값을 입력한다.
③ OK를 클릭하거나 Enter키를 리턴한다.
④ simulation settings의 대화상자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5) Marker 설정하기
Marker 설정
아날로그 회로의 시뮬레이션 예제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Marker는 파형을 그릴 대 상당히 편리한 기능이다. 디지털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대신에 논리 레벨이 중요하므로 PSpice/ markers/ voltage level을 이용하여 probe에서 그릴 파형을 지정하도록 하자.
① PSpice/ marker/ voltage level을 선택한다.
② 선택한 marker를 가지고 2개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연결된 노드에 배치한다.
probe window설정하기
Marker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probe setup에서 marker를 사용한다는 항목을 선택해야 한다.
① PSpice/new simulation profile을 선택한다.
probe setup의 여러 항목 중에서 show 박스내의 all markers on open schematics를 선택한다.
② OK를 클릭한다.
(6) 실행하기
PSpice/run을 선택함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형 분석하기
위의 결과에서 입력(IN1)과 입력(IN2), 출력(OUT)을 진리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NAND GATE 진리표와 동일한 결과를 얻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2
IN1
OUT
0
0
1
1
0
1
0
1
1
1
1
0
서론
1. 실험목표 : PSpice의 기능 숙지 및 기본회로 구성
2. 실험목적 : 전기, 전자 및 디지털회로 등을 설계할 경우에는 회로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회로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할 경우에는 회로구성 및 특성해석에 많은 시간과 계측장비 및 경비가 필요하지만 실제로 회로를 제작하기 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측정,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현재 회로설계 및 제작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시뮬레이션(simulation)이라 한다.
SPICE(Simulation Program with Integrated Circuit Emphasis)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기, 전자회로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해 1972년 미국Berkely대학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SPICE의 개발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동작점, 과도 특성해석 및 주파수 응답해석 등의 전기, 전자회로에 대한 복잡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고 모든 회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저항, 콘덴서, 인덕터 등의 수동소자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등의 능동소자에 대한 모델을 자료화함으로써 거의 모든 회로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Pspice는 1972년에 개발한 Berkely SPICE에 의한 PC기반의 Analog/Digital 혼합회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회로의 설계와 편집, 시뮬레이션 그리고 그래픽 출력 등을 볼 수 있는 Capture, Stimuls editor, Pspice A/D, Prob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1,000개의 Analog library와 2,000개의Digital library로 구성되어 있고 Vendor와 Pspice가 제공하는 library를 수정하여 새로운 model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기능들을 숙지하여 좀더 편하게 프로그램을 이용 하기 위해서 이다.
3. 학습내용
① 부품 가져오기
② 선그리기
③ 패러미터 설정하기
④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하기
⑤ Marker 설정하기
⑥ 실행하기
⑦ 연습문제
(7) 연습문제
입력 전원 V1은 12Vdc, V2는 0Vdc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총 9개의 저항 소자를이용하였고, 4개의 트랜지스터, 1개의 다이오드, 1개의 캐페시터를 사용하여 회로를 이용하였다.
□은 입력전원 V2에 걸리는 전압으로 처음에 0V를 걸어서 시뮬레이션을 하는 동안 계속해서 0V를 기록했다. ▽은 마지막 트랜지스터인 Q4에 걸리는 전압으로 이 또한 역시 시뮬레이션 하는 동안 계속해서 0을 기록했다. ◇은 2번째 트랜지스터인 Q2에 걸리는 전압으로 처음에는 +로 시작하였다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값에서 일정하게 계속 유지를 하다가 시뮬레이션이 끝나갈 무렵에 다시 상승했다.
디지털 입력 DSTM2 설정
① DSTM2를 마우스로 2번 클릭한다. 혹은 마우스로 1번 클릭하여 부품이 빨간색으로 바뀌면 Edit/properties를 선택하여 propetty editor를 동작시킨다.
② TIMESTEP : 입력하지 않는다.
COMMAND1 0s 0 : 0초에서 논리 0
COMMAND2 20ms 1 : 20ms에서 논리 1
COMMAND3 40ms 0 : 40ms에서 논리 0
Off-Page Connector에 이름 부여하기
① off-page connector를 마우스로 2번 클릭한다.
② display properties 대화상자의 value에 OUT라고 써 놓은 뒤 OK를 클릭하거나 Enter키를 누른다.
노드에 노드명 부여하기
① 왼쪽의 툴바를 클릭하거나 place/net alies를 선택한다.
② place net alies대화상자에 IN1이라고 써놓은 뒤 OK를 클릭 하거나 Enter키를 누른다.
③ 같은 방법으로 IN2를 기입한다.
(4)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하기
디지털 회로인 경우에는 아날로그 해석에서와 같이 여러 형태의 해석은 없고 통상 과도해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PSpice/ net simulation profile을 선택한 후, Analysis setup 대화상자가 화면에 나타나면 transient 해석을 선택한다.
② transient를 클릭한 후 다음과 같이 run to time = 40ms를 입력한다.
Maximum step값을 1ms 정도 입력한다. 시뮬레이션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현재 예제로 사용한 회로의 입력 최소주기는 20ms이므로 Maximum step을 1ms로 해도 해석에는 별 무리가 없다. Final time은 입력 신호에 대한 정의가 40ms까지 이므로 이 값을 입력한다.
③ OK를 클릭하거나 Enter키를 리턴한다.
④ simulation settings의 대화상자에서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5) Marker 설정하기
Marker 설정
아날로그 회로의 시뮬레이션 예제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Marker는 파형을 그릴 대 상당히 편리한 기능이다. 디지털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대신에 논리 레벨이 중요하므로 PSpice/ markers/ voltage level을 이용하여 probe에서 그릴 파형을 지정하도록 하자.
① PSpice/ marker/ voltage level을 선택한다.
② 선택한 marker를 가지고 2개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연결된 노드에 배치한다.
probe window설정하기
Marker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probe setup에서 marker를 사용한다는 항목을 선택해야 한다.
① PSpice/new simulation profile을 선택한다.
probe setup의 여러 항목 중에서 show 박스내의 all markers on open schematics를 선택한다.
② OK를 클릭한다.
(6) 실행하기
PSpice/run을 선택함ㄴ 시뮬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파형 분석하기
위의 결과에서 입력(IN1)과 입력(IN2), 출력(OUT)을 진리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NAND GATE 진리표와 동일한 결과를 얻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2
IN1
OUT
0
0
1
1
0
1
0
1
1
1
1
0
서론
1. 실험목표 : PSpice의 기능 숙지 및 기본회로 구성
2. 실험목적 : 전기, 전자 및 디지털회로 등을 설계할 경우에는 회로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회로를 직접 제작하여 실험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할 경우에는 회로구성 및 특성해석에 많은 시간과 계측장비 및 경비가 필요하지만 실제로 회로를 제작하기 전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측정,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현재 회로설계 및 제작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시뮬레이션(simulation)이라 한다.
SPICE(Simulation Program with Integrated Circuit Emphasis)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기, 전자회로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해 1972년 미국Berkely대학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다. SPICE의 개발에 의해 트랜지스터의 동작점, 과도 특성해석 및 주파수 응답해석 등의 전기, 전자회로에 대한 복잡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고 모든 회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저항, 콘덴서, 인덕터 등의 수동소자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FET등의 능동소자에 대한 모델을 자료화함으로써 거의 모든 회로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Pspice는 1972년에 개발한 Berkely SPICE에 의한 PC기반의 Analog/Digital 혼합회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회로의 설계와 편집, 시뮬레이션 그리고 그래픽 출력 등을 볼 수 있는 Capture, Stimuls editor, Pspice A/D, Prob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11,000개의 Analog library와 2,000개의Digital library로 구성되어 있고 Vendor와 Pspice가 제공하는 library를 수정하여 새로운 model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기능들을 숙지하여 좀더 편하게 프로그램을 이용 하기 위해서 이다.
3. 학습내용
① 부품 가져오기
② 선그리기
③ 패러미터 설정하기
④ 시뮬레이션 조건 설정하기
⑤ Marker 설정하기
⑥ 실행하기
⑦ 연습문제
(7) 연습문제
입력 전원 V1은 12Vdc, V2는 0Vdc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총 9개의 저항 소자를이용하였고, 4개의 트랜지스터, 1개의 다이오드, 1개의 캐페시터를 사용하여 회로를 이용하였다.
□은 입력전원 V2에 걸리는 전압으로 처음에 0V를 걸어서 시뮬레이션을 하는 동안 계속해서 0V를 기록했다. ▽은 마지막 트랜지스터인 Q4에 걸리는 전압으로 이 또한 역시 시뮬레이션 하는 동안 계속해서 0을 기록했다. ◇은 2번째 트랜지스터인 Q2에 걸리는 전압으로 처음에는 +로 시작하였다가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다가 -값에서 일정하게 계속 유지를 하다가 시뮬레이션이 끝나갈 무렵에 다시 상승했다.
추천자료
고분자의 용융흐름지수 측정
무기화학 이론
ASTM 미국재료시험학회
폴리스티렌 중합
[기계공학실험] 송풍기성능 실험
[간호사례][심장수술환자][심근경색증환자][쇼크환자][안수술환자][위암수술환자][신장장애환...
[플라스틱][열가소성플라스틱][열경화성플라스틱][섬유강화플라스틱][FRP][EP]플라스틱의 정...
SAP 용어집
[마케팅원론]닌텐도 Wii 마케팅전략 분석 및 향후전략 (A+리포트)
폐합성고분자 발생 및 처리현황
[컴퓨터그래픽스 운용기능사] 산업디자인 일반 총정리 부분
[건설기계 유압제어] 건설기계 유압기기 - 건설기계 유압장치의 특성, 유압 작동유, 물리적 ...
[건설시공학] ≪콘크리트파일의 종류와 특성≫ 콘크리트파일의 개념과 종류 및 특성 - 현장타설...
고분자 용융흐름지수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