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진정요법 하에 시행한 설소대절제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구진정요법 하에 시행한 설소대절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서론
II.본론

◦ 설소대 유착증의 정의
◦ 설소대 유착증의 임상적 증상
◦ 설소대 유착증의 진단과 발음의 관계
◦ 설소대 절제술의 적응증
◦ 설소대 절제술의 시기
◦ 설소대 절제술의 치료방법
◦ 술 후 합병증

III.결론
IV.마무리
V.참고문헌

본문내용

성공적으로 시행 할 수 있었다.
술 후 합병증
설소대 절제술 후 가장 흔한 수술 합병증은 반흔조직으로 인한 재발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수의 임상가들은 수술 후 재발의 비율이 낮고, 재발이 되더라도 술 전 상태보다는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며, 설소대 절단술에 비해 설소대 절제술이 더 재발 가능성을 줄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수술 후 혀를 훈련시켜 주지 않으면 혀가 예전처럼 전방에 계속 위치하여 절단된 근육이 그 위치에 재부착됨에 따라 수술의 효과가 감소되거나, 수술전의 상태로 재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반드시 설소대 절제술 후에는 적극적인 혀의 훈련이 필요하다. 또한 재발을 방지하고 혀의 길이신장을 최대로 하기 위해 충분히 박리하고 필요시 이설근 절제술도 고려해야 한다. 이외의 합병증으로는 과도한 출혈, 감염, 술 후 섭식 장애 등이 있으나 모두 드물게 보고되고 있고, 설소대 절제술을 시행한 158명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술 후 평가에서 모두 유의할만한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진정요법 하에 실시하게 되는 일반적인 수복치료와는 다르게 구강내 소수술시에는 출혈과 인접 구조물에 대한 손상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수술도중 혈관이 손상된 경우 심한 출혈 및 종창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설하혈관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설하선 등 타액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시술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본 증례들의 경우 설신경을 충분히 마취한 후 절개에서 봉합완료까지 평균 20분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수술 중 적절한 진정상태를 유지하였다.
III. 결 론
모든 문헌조사 내용과 시술사례에 대한 보고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설유착증(ankyloglossia)는 비정상적으로짧은 설소대로 인하여 혀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2. 설유착증은 모유수유에 어려움에 있어 성장발달에 영향을 주고 혀의 운동범위를 제한하여 발음이상을 야기하고 혀내밀기, 빨기 능력 상실과 짧고 낮은 이설근의 위치로 부정교합을 야기하며 계속적인 유아형 연하로 인해 open bite와 치은염을 야기한다.
3. 설유착증의 진단과 발음의 관계에 있어서는 그림자음검사를 통해 치조음과 'ㄹ', 'ㅅ'과 같은 마찰음에 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감별진단이 가능하였다.
4. 진단과 수술의 적응에 있어서는 해부학적인 설첨의 길이증가 및 설운동량개선과 함께 발음개선을 도모하는 측면에서 저연령아동(5∼6세)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5. 심한 설유착증으로 발음이상을 보이는 협조전단계 아동을 대상으로 경구 진정요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설소대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6. 설소대 절제술 후 수술의 결과를 유지하고 술 후 재발을 막기 위해 혀운동 및 발음훈련이 요구되며 술 후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재수술의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
IV. 마무리
치열은 바깥 쪽으로 가해지는 혀의 압력과 안쪽으로 향하는 안면근육들 사이에서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것을 Neutnal Zone이라고 하며 또는 Buccinator mechanism이라 고도 한다.
부정 교합은 여러 원인에 의해서 야기되지만 혀(tongue)가 가지고 있는 평형상태가 깨어졌을 때도 요인이 된다는 것은 의심 할 여지가 없다. 이러한 많은 중요한 역할로써의 혀가 가지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설소대 유착증을 시술사례로 뽑아 report를 쓰는 이유는 소아치과에서 실습을 하면서 생각보다 설소대 유착증을 가진 환아들이 아주 많았기 때문이다. (사랑니 발치만큼 많았다고 생각한다)안타까움을 안고 찾아오는 환아의 보호자들에게 이렇게 간단한 수술은 방가운 일이 아닐 수 없으므로 더 정확한 연구내용과 시술내용과 술 후 합병증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이 들었다. 또한 술 후 의료진들이 관찰하여야 하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고 있어야 했다. 시술이 쉬운 만큼 다시 재발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발음연습과 혀 운동으로 계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치과에서는 주기적으로 내원하도록 하여 재발가능성과 발음에 문제가 없는지에 대해 관찰이 필요했다.
어려웠던 점과 수술 후 짧은 기간 동안에 알아본 결과였으므로 확실하게 언급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환자 보호자들의 수술 결과에 관한 만족도는 높았고, 술 후 환자의 성격이 많이 활달해졌다는 것이 대부분의 보호자들의 주시할 만한 언급이었다.
시술사례만을 보았을 때 아쉬웠던 점은 수술에 대한 준비성이었다. 옆에서 수술을 함께 진행하여야 하는 치과위생사는 수술에 대한 과정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계셨고 멸균된지 일주일이 훨씬 지난 기구를 준비해 놓은 점과 여분의 멸균 silk가 준비되지 못하여 수술 도중 찾으러 다니면서 멸균상태를 깨뜨리며 결국은 여분의 silk가 없어 자잘하게 남은 silk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점과 충분한 가스흡입(N₂O-O₂)을 하지 못하여 수술 도중 수면에서 깨어나서 예상치 못한 출혈, 봉합 후 거즈압박이 충분치 못했던 상황에서 부모에게 이송될 수 밖에 없었던 점을 들 수 있겠다.
이러한 문제점들처럼 조금의 엇나가진 행동과 대처방식으로는 환자는 직접은 알 수 없으나 의료사고 등 합병증을 낼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명시하고 철저한 준비와 확실한 멸균기구를 사용해야 할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V. 참고문헌
1. 진교성, 최유진 : 한국인 아동의 설소대 이상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14, No1, 1990
2. 장용걸, 박호원, 이주현, 서현우 : 경구 진정요법하에 시행한 설소대 절제술.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4) 2009
3. 최재남, 표화영, 심현섭, 최홍식 : 설소대 절단술의 결정 요인에 관한 기초 연구: Beley gauge를 이용한 3∼6세 정상 아동의 혀의 최대 신장 길이 계측. 음성과학 제8권 제3호 (2001.9)
4. 박희승 : 소아 환자의 설소대 절제술.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15, No.1, 1988
5. 김용덕, 박서희, 정인교, 손우성, 김욱규, 신상훈 : 설소대 절제술이 설운동과 발음에 미치는 영향. 대구외지 2002;28:310-317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3.22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