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효과,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조건,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학습방법,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법적 근거, 향후 통합교육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효과,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조건,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학습방법,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법적 근거, 향후 통합교육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개념

Ⅲ.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효과
1. 사회 윤리적 측면에서의 통합교육의 중요성
2. 교육 적인 측면에서의 통합교육의 중요성

Ⅳ.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조건
1. 특수교육대상 아동의 준비가 필요하다
2. 또래들의 준비가 필요하다
3. 부모들의 태도가 바뀌어야 한다
4.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5. 특수교육행정가와 행정당국의 지원 여부에 달려 있다

Ⅴ.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학습방법
1. 협력학습
2. 또래 지도학습

Ⅵ.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법적 근거

Ⅶ. 향후 통합교육(장애인통합교육)의 방향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배치 체계를 거부하고 일반학급이 더 다양한 교육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접근 방법은 자원과 에너지의 재분배훈련을 통한 학생의 재배치 등을 통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서 REI의 주요 지지자들인 Hallahan, Kauffman, Lloyd, Mckinney(1988)등은 Reynolds와 Wang(1981)의 개념을 논의하고 레이건 정부 당시 미국 교육부의 차관인 Will(1986)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게 되었다.
REI 지지자들은 경험적 연구에 근거한 합리적인 현상이라고 하는 반면, 반대자들은 레이건-부시 행정부가 장애아 및 청소년 교육을 포함한 교육 예산의 연방 지원을 감소시키려는 정책과 전적으로 일치한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지지자들은 메인스트리밍과 관련한 진단과 교육 실천은 근본적으로 문제가 있다는데 동의하나, 법적 서비스를 받을 경도 장애인이 68~90%에 이른다고 주장함으로써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에 이르러 일반교육 환경에 장애아동들을 배치하고 그들의 교육적 요구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 특수교육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완전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으로 진일보되었다.
통합교육의 당위성은 인정되나 REI와 INCLUSION은 완전통합을 의미하며, 지금까지 실시해 왔던 단계적 통합을 거부하고, 양극단의 특수교육 서비스 체제를 포기하며, 장애학생을 일반학급에 통합시킨 후 필요에 따라 특수교육을 실시하는 접근 모형으로 일부 선진국에서조차 급진주의적이란 지적을 받고 있는 실정이나 대부분 어떤 형태로든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각국의 통합정책의 방향을 분석해 보면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 일방적 통합정책이다. 이 정책은 비분리를 강조하고, 특수교육 서비스에 관한 한 일반교육을 지향하는 정책이다. 이탈리아와 스웨덴 등은 이와 같은 일방통합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어떻든 분리를 피하고 법적 규정을 통하여 접근 하려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둘째, 이원적 통합교육 체제이다. 독일, 벨기에 및 네덜란드 등은 대규모 특수학교에 장애학생들을 분리시켜 두고 있다. 이 두 개의 학교 체계는 분리되어 다소 독립적으로 활동한다. 통합교육 지향의 개혁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또한 이원적 교육체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분리된 특수교육 체계는 통합교육 노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원적 정책 국가들은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다. 이원적 교육 체제에 대한 별도의 법은 이와 같은 이원적 체계의 철학을 암시해 주고 있다.
셋째, 다원적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특수교육 체제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다. 덴마크, 미국 및 영국 등으로 특수교육 서비스의 연속 체결을 제시한다, 덴마크와 미국은 학생들의 등록 비율이 높은데, 등록을 함으로써 분리되어 있든 통합되어 있든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Ⅷ. 결론
장애 아동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이들의 지역 사회 참여와 적응을 준비하도록 하는 데 있다면, 통합 교육은 꼭 실현되어야 할 이상이자 실천되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통합 교육은 일반 교육의 협력 내지 변화 없이는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통합 교육의 여건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통합 학급의 학급당 정원 감축, 일반 교원 및 일반인들의 특수 교육 및 장애아동에 대한 바른 이해, 장애 아동의 접근성 보장 등이 무엇보다도 선결 되어야 한다.
끝으로 이번 연수회 어느 강사께서 학교에 방치된 대추나무를 잘 가꾸어 그 열매를 학생들에게 나누어 준 ‘대추나무 교장 선생님’의 미담을 들려주신 적이 있다. 이제 우리 모두 소외되고 부족한 장애 아동들에게 관심을 돌려 그들을 대추나무처럼 잘 가꾸어 이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동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교육자의 사명이 아닐까 한다.
참고문헌
김성애·정대영·박희찬(1997),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경기 : 국립특수교육원
김승국(1993), 특수교육 방법 및 전략,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변홍규(1996), 최근 연구동향에 따른 학습장애아자의 지도대책, 특수아동의 통합교육, 전주 : 우석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송준만·유효훈(1990), 특수아동교육, 서울 : 교문사
이소현·박은혜(1999), 특수아동교육(일반학급교사를위한통합교육지침서), 서울 : 학지사
진권장(1984), 효율적인 통합교육의 지도방안, 교육개발 30호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8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