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지도전략(교육전략), 읽기지도전략(교육전략), 독서지도전략(교육전략), 창의성계발지도전략(교육전략), 작문지도전략(교육전략), 탐구력신장지도전략(교육전략), 텍스트구조지도전략(교육전략)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말하기지도전략(교육전략), 읽기지도전략(교육전략), 독서지도전략(교육전략), 창의성계발지도전략(교육전략), 작문지도전략(교육전략), 탐구력신장지도전략(교육전략), 텍스트구조지도전략(교육전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말하기지도전략(교육전략)
1. ‘떠오르는 장면 말하기 지도’를 위한 전략
2. ‘생각이나 느낀 점 말하기 지도’를 위한 전략
3. ‘상상하여 말하기 지도’를 위한 전략
4. ‘꾸며 말하기 지도’를 위한 전략

Ⅱ. 읽기지도전략(교육전략)
1. 읽기 전 단계의 읽기 전략
1) 연상하기
2) 예측하기
3) 미리보기
4) KWL(know, want to know, learned)
5) 앙케이트
2. 읽는 중 단계의 읽기 전략
1) 일지 쓰기
2) 감정표 작성
3) 문학보고카드 분석
4) 글 구조 파악하며 읽기
3. 읽기 후 단계의 읽기 전략
1) 요약하기
2) 테이블 대화

Ⅲ. 독서지도전략(교육전략)
1. 소리내어 읽기
2. 줄거리 읽기
3. 요점 읽기
4. 훑어 읽기
5. 뭉뚱그리며 읽기
6. 분석하며 읽기
7. 문맥 읽기
8. 상상하여 읽기
9. 추리하며 읽기
10. 비판하며 읽기
11. 창의적으로 읽기

Ⅳ. 창의성계발지도전략(교육전략)
1. 교육과정과 수업 방법 부분
1) 일반적 지식과 기능기반: 다양한 세계를 넓게 직접 경험시키자
2) 특정 영역의 지식과 기능 기반: 한 분야에서 집중적인 경험을 해야 한다
3) 동기: 재미있어서 스스로 하고 싶도록 해준다
4) 확산적 사고력: 다양하게 생각할 기회를 자주 준다
5) 논리적 비판적 사고력: 옳고 그름을 판단하도록 격려한다
2. 교육평가 부분
3. 정보화 부분
4. 학교 환경 부분

Ⅴ. 작문지도전략(교육전략)
1. 계획하기 전략
2. 내용 생성하기 전략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2) 마인드 맵(Mind mapping)
3. 내용 조직하기 전략
4. 표현하기 전략
5. 고쳐쓰기 전략
1) 평가하기
2) 돌려읽기(RAG : reading around group)

Ⅵ. 탐구력신장지도전략(교육전략)
1. ????이해????과정으로서의 지도 전략
2. ????사고????과정으로서의 지도 전략
1) 해당 학년
2) 본시 수업 주제
3) 지도의 주안점
4) 수업 장소
5) 준비물
6) 놀이 학습 내용 설명
7) 문제 상황 제시
8) 문제 파악
9) 예상(추론)
10) 문제 추구
11) 문제 해결
12) 결과 정리 및 적용․발전
3. ????설명????과정으로서의 수업 전략

Ⅶ. 텍스트구조지도전략(교육전략)
1. 도식조직자 전략
2. 개요쓰기 전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중요 개념들의 계층적 조직을 도식표시로 제공하는 것이 문자 단락으로 제공하는 것보다 효과가 있다고 제안했는데 이것을 구조 개관(Structured Overview)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Moore와 Readence(1984)가 23편의 연구 메타 분석을 통해 구조 개관은 읽기 전보다 읽기 후에 제시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때부터 구조 개관이 읽기 전에서 읽기 후 교수 전략으로 이동한 “Graphic Organizer\"로 불리게 된 것이다(Robinson,1998:88-89).
Robinson(1998)은 보조 표시(Adjunct Display)를 선행조직자, 개요(Outline), 도식조직자로 나누고 도식조직자에 속하는 것으로 개념 지도(Concept Maps), 흐름도(Flow Diagrams), 나무 다이어그램(Tree Diagrams), 모형(Matrices)등이 있다고 하였다. 이밖에 비교대조표, 벤다이어그램도 대표적인 도식조직자라고 할 수 있다.
도식조직자에 대하여 지금까지는 주로 읽기와 내용 영역의 학습에 국한되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도식조직자는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 지도에도 유용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White(1996)는 도식조직자가 주로 읽기에서만 연구되었다고 지적하면서 설명적 글쓰기에서도 도식조직자를 통하여 텍스트 구조 지식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Witherell(1993)은 도식조직자는 설명적 텍스트 읽기와 쓰기 모두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Miller와 Gorge(1992)는 도식조직자는 학생들에게 설명적 텍스트 구조와 사고들이 연결되어 있는 조직 방법을 인식하게 해준다고 하였으며 설명적 글쓰기에서 도식조직자의 사용은 사고 조직방법을 보여주어 독자들이 의미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고 하였다.
수집 구조는 Terry Salinger(1993)의 시간 구조와 Tompskins(2000)의 순서 구조를 참고하였는데 이 구조들은 넓은 의미의 수집 구조에 속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비교/대조 구조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것을 선택하였다. 문제-해결 구조는 주로 한 문제에 대해 해결 방안이 다수 나올 수 있도록 구안하였고 원인-결과 구조는 주로 결과에 대한 원인이 여러 가지 나올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물론 이런 도식조직자의 변형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2. 개요쓰기 전략
읽기 텍스트에서의 개요쓰기는 글 전체의 구조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줄이는 것이다. 글의 구조가 쉽게 드러나고 주제와 사고 단위 사이의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도록 줄이면 개요가 된다. 읽기 텍스트에서의 개요쓰기는 요약하기와 맥이 통한다. 각 단락별로 개요를 쓴 다음 그것을 이어서 연결하면 요약이 되기 때문이다.
개요쓰기 능력은 글 구조 지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주어진 글을 읽고, 그 글의 중심 생각을 이해하여 요약하여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최상위 구조를 주축으로 글의 내용 구조를 형성한다. 학생들은 최상위 구조를 확인하여 개요를 쓰는 학습을 통해 읽기와 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개요쓰기는 학생들이 읽기 텍스트의 조직적 구조를 이해하고 자신의 글쓰기에 그 이해한 바를 적용하여 구조가 분명한 글을 쓰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학습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글쓰기에서의 개요쓰기는 필자가 쓰고자 하는 글의 구성 계획이다. 개요는 글 전체의 계획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해준다. 글쓰기를 위한 개요 작성의 단계는 제재를 선택하고 주제를 진술한 다음 종속제재를 선택하고 종속 주제를 진술한다. 종속 주제의 배열 순서를 결정한 다음 개요를 작성한다. 글을 쓸 때 주제가 명료하게 전달되려면 통일성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개요를 쓸 때 주제를 밑받침할 종속 주제를 선택하고 주제와 종속 주제 사이에 통일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종속 주제들을 어떤 순서로 배열해야 일관성이 갖추어질지를 바르게 판단해야 한다.
개요를 작성할 때에는 여러 가지 점들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글의 전체 구조는 물론이거니와 독자를 고려해야 하고 글의 전체 분량, 조직 방식(나열식, 비교대조 등) 등에 대해서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조직 방식과 관련해서 주어진 쓰기 과제의 특성이나 독자 등을 생각하여 어떤 방식으로 조직하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개요는 글을 구성하는데 직접적인 바탕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쓰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박덕유는 쓰기에서의 개요 작성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글의 설계도 구실을 한다. ②글을 써 가면서 일어나기 쉬운 혼란과 주제에서 벗어나는 일을 막아준다 ③중요한 내용을 빠뜨리지 않게 하고 쓸데없는 중복을 피하게 하여 글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게 한다 ④작성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인 조직력과 사고력이 길러진다. ⑤요점을 정리하고 대의(大意)를 파악하거나 회상하는데 도움을 준다.
개요의 종류에는 화제 개요와 문장 개요가 있다. 화제 개요는 줄거리의 각 항목을 핵심적인 어구로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으로 작성하기는 쉬우나 구체적 내용파악이 어렵다.
문장 개요는 줄거리의 각 항목을 구체적인 문장으로 표현한 것으로 구체적인 내용파악이 쉬우나 작성하기가 어렵다.
개요를 작성할 때 화제 개요일 경우에 세부 항목 중에서 어느 것 하나도 문장 개요가 들어가면 안 되고 문장 개요일 경우에는 화제 개요 방식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참고문헌
김도남(1997) - 문제 해결 중심의 작문 지도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민애(1993) - 쓰기 지도를 위한 과제 진술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 논문
김명순(1998) - 텍스트 구조와 배경 지식이 내용 이해와 중요도 평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청원 : 한국교원대
손정표(2000) - 독서지도 방법론, 서울 : 학문사
윤정옥(1997) - 읽기와 쓰기의 통합에 의한 설명적 글 지도 방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원 : 한국교원대
치악중학교(2000) - 자기 주도적 실험관찰 학습을 통한 과학적 탐구력 신장, 도 지정 과학교육 연구보고서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03.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9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