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음악과 리듬학습지도(교육지도)
1. 리듬학습지도의 중요성
2. 음악 이론
1) 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 1865-1950 스위스) 리듬 지도 방법
2) 코다이(Kodaly, Zoltan 1882~1967, 헝가리) 리듬지도 방법
3) 오르프(Carl Orff 1895-1982, 독일)의 언어 리듬
Ⅱ. 음악과 가창학습지도(교육지도)
1. 가창학습지도의 의의
2. 발성법
3. 호흡법
4. 좋은 소리란
Ⅲ. 음악과 창작학습지도(교육지도)
1. 즉흥 연주 지도
1) 신체 표현하기
2) 즉흥 연주
2. 작곡 지도
1) 가락 만들기
2) 변주곡 만들기
3. 전통음악 지도
1) 즉흥 연주
2) 가사 바꾸어 부르기
3) 전통가락 만들기
4) 신체표현 만들기
5) 창작영역의 창의성 지도 방법
Ⅳ. 음악과 감상학습지도(교육지도)
1. 음악 감상의 기본 태도
2. 감상학습지도 교재의 유형
3. 감상 학습지도의 유형
1) 종합적인 감상
2) 분석적인 감상
Ⅴ. 음악과 기악학습지도(교육지도)
1. 학습지도에 사용되는 악기들의 선택 방법
2. 리듬 악기 지도
1) 목재 리듬 악기
2) 금속 리듬 악기
3) 가죽 리듬 악기
3. 가락 악기 지도
1) 교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가락 악기
2) 기악중심 학습에 도움이 되는 오르프 악기
4. 전통음악 지도
1) 단소 지도
2) 장구 지도
참고문헌
1. 리듬학습지도의 중요성
2. 음악 이론
1) 달크로즈(Emile jaques-dalcroze 1865-1950 스위스) 리듬 지도 방법
2) 코다이(Kodaly, Zoltan 1882~1967, 헝가리) 리듬지도 방법
3) 오르프(Carl Orff 1895-1982, 독일)의 언어 리듬
Ⅱ. 음악과 가창학습지도(교육지도)
1. 가창학습지도의 의의
2. 발성법
3. 호흡법
4. 좋은 소리란
Ⅲ. 음악과 창작학습지도(교육지도)
1. 즉흥 연주 지도
1) 신체 표현하기
2) 즉흥 연주
2. 작곡 지도
1) 가락 만들기
2) 변주곡 만들기
3. 전통음악 지도
1) 즉흥 연주
2) 가사 바꾸어 부르기
3) 전통가락 만들기
4) 신체표현 만들기
5) 창작영역의 창의성 지도 방법
Ⅳ. 음악과 감상학습지도(교육지도)
1. 음악 감상의 기본 태도
2. 감상학습지도 교재의 유형
3. 감상 학습지도의 유형
1) 종합적인 감상
2) 분석적인 감상
Ⅴ. 음악과 기악학습지도(교육지도)
1. 학습지도에 사용되는 악기들의 선택 방법
2. 리듬 악기 지도
1) 목재 리듬 악기
2) 금속 리듬 악기
3) 가죽 리듬 악기
3. 가락 악기 지도
1) 교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가락 악기
2) 기악중심 학습에 도움이 되는 오르프 악기
4. 전통음악 지도
1) 단소 지도
2) 장구 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북이라고 할 수 있다. 소릿쇠가 있어 북과 심벌즈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기능 : 강세, 특수 효과, 박자 등 표현
연주법 : 주법으로는 흔들기, 테치기, 북면을 마찰시키기 등이 있다.
④ 봉고 드럼
구조 : 쿠바를 비롯한 중남미 일대에 보급되어 있는 드럼류의 리듬용 민족악기로 크기는 작은 2개의 북이 한 조가 되어 있다. 속이 빈 나무통 한 면에 가죽을 팽팽하게 씌워 만들었으며, 2개를 나란히 놓고 연주자는 앉아서 두 무릎 사이에 봉고를 끼고 양손 손가락으로 쳐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손가락의 타법과 치는 장소에 따라서 갖가지 음색(音色)으로 변하며, 룸바콩가볼레로 등의 기초 리듬악기로 많이 이용된다.
3. 가락 악기 지도
초등학교 교실에서 기악 중심의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락 악기로 기본적으로 리코더, 피아노, 멜로디언, 실로폰 등이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음악적 체험과 음악적 성장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악기를 도입하여 지도하면 효과적이다.
1) 교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가락 악기
피아노(건반악기) 리코더 멜로디온 실로폰 단소 등
2) 기악중심 학습에 도움이 되는 오르프 악기
실로폰(Xylophone) - 소프라노, 앨토, 베이스
글로겐쉬필(Glockenspiel) - 소프라노, 앨토
메탈로폰(Metallophone) - 소프라노, 앨토, 베이스
관악기 - 리코더 현악기 - 기타 등
오르프의 선율 타악기는 각각 음역에 따라 소프라노, 앨토, 베이스 등으로 나눠져 있어 모든 음역을 연주 할 수 있고 각 음들의 건반을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연주에 필요한 건반만 두고 나머지 건반은 떼어 내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가 필요한 건반이 ‘도, 미, 솔’이라면 이 음들을 뺀 나머지 건반은 모두 떼어 내고 연주하면 훨씬 연주하기가 쉽다.
4. 전통음악 지도
1) 단소 지도
① 자세 : 허리를 편 다음에 머리를 약간 숙이고, 시선은 전방 약 15도 아래로 본 다음에 악기를 약 45도 정도 세운다.
② 호흡 연습 : 오른 손바닥을 펴서 입술 앞쪽에 대고 바람을 약 45도 방향으로 하여 ‘휘’하고 고른 숨을 내 쉬어 턱 밑에 위치한 왼 손바닥의 떨림을 느끼게 한다. 또 같은 방법으로 빈 병에 입술을 대어 울리는 소리를 내어 보고 듣게 한다. 이때 입술이 좌우로 팽팽히 펴지도록 하고 취구를 아랫입술 한 가운데 오도록 한다.
③ 소리내기 : 소리가 나는 원리는 입김이 취구로부터 둘로 갈라져 반은 밖으로 나가고 반은 안으로 들어가 이것이 공명이 되어 소리를 만드는 것이다. 소리를 낼 때에는 양 입술을 가로 펴진 모습으로 김을 넣는다. 이 때 취구를 아랫입술 상단에 일치시킨 다음 ‘후’, ‘투’라 하지 말고 ‘휘’하고 가볍게 김을 불어넣는다.
④ 손 짚기 : 안공법은 왼손 엄지로 제1공(뒤)을 막고, 왼손 식지로 제2공(앞), 왼손 장지로 제3공, 그리고 오른손 엄지와 식지로 단소의 4공 바로 앞 부분을 잡고 장지로 제4공을 가볍게 막는다. 제5공은 통상 사용되지 않으므로 막지 않는다. 구멍을 막지 않은 손가락들은 악기 위에 가볍게 올려놓는다.
⑤ 정간보 지도 : 정간보에서 1정간은 1박을 나타내므로, 2정간은 2박이 된다. 그리고 한정간 안에 두 개 이상의 음이 있을 경우에는 율명의 위치에 따라 시가가 달라진다. 또한 음을 분할하는 방법에 따라 2분법과 3분법으로 나뉘어 진다. 한정간이 6음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부호를 써서 나타낸다.
⑥ 주법 지도
* 평취 : 평취는 김을 보통으로 불어넣는 연주법이다. 손가락을 모두 뗀 개방음(汰)부터 차례로 내려가며 소리를 낸다. 구멍을 모두 막은 음은 소리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역취 : 김을 세게 불어넣는 연주법으로 침을 내뱉듯이 ‘튀튀’하며 소리를 내지 않도록 한다. 저음→고음, 고음→저음 순서로 반복 지도한다.
* 옥타브 : 동일 구멍에서 낮은 음과 높은 음의 두 가지 소리를 내는 지도로서 김의 강도 조절 능력을 기르기 위한 훈련이다.
* 동일음 중복시 주법 : 동일음이 2회 이상 등장할 때 연주법으로 손가락으로 치는 방법과 혀끝으로 입천장을 툭 쳐서 연주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러나 ‘仲’은 손가락을 쳐 줄 구멍이 없기 때문 둘째 방법만 사용한다. ‘汰’를 손가락으로 칠 때는 제1공을 치지 않고, 왼손 엄지손가락을 위에서 밑으로 가볍게 또는 빠르게 스쳐 지나가도록 한다.
2) 장구 지도
① 타법
* 북편 : 왼손 엄지손가락을 변죽에 댄 채 나머지 네 손가락을 모아 북편을 친다. 경우에 따라 왼손을 높이 올렸다가 치기도 한다. 풍물과 무악의 경우에는 궁굴채를 이용하여 친다.
* 채편 : 채편 치는 방법에는 복판을 치는 법과 변죽을 치는 법이 있다. 복판을 치는 경우는 음량을 크게 하기 위한 타법으로 관악곡 또는 관악기 중심의 악곡 연주, 탈춤, 풍물, 사물놀이, 무악 등이다. 변죽을 치는 경우는 가곡, 가사, 시조 등의 반주와 줄풍류 및 현악합주, 독주곡 반주, 민요, 잡가, 산조의 반주 등에 사용한다.
② 장단 연습
* 구음으로 하기 : 구음은 장단의 특징(빠르기, 셈여림, 악센트 등)을 담고 있으므로 충분히 연습하면 장단치기는 쉬워진다. 구음을 할 때도 호흡은 함께 해야 한다. 특히, 민요 장단을 지도할 때는 민요 가락에 장구 구음을 붙여 연습 한 다음 장단치기를 하면 장단과 호흡이 함께 하여 아주 연주하기 쉬워진다.
* 장단치기 : 궁편과 채편을 소고, 리듬악기, 무릎, 책상으로 연습한 후 양손으로 무릎, 책상으로 연습한다. 익숙하면 노래와 기악곡에 맞추어 연습한다. 무릎치기를 할 때는 위에서 아래로 치지 않고 무릎의 바깥쪽(옆쪽)을 치도록 한다.
참고문헌
김지연 / 창의성 개발을 위한 리듬지도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김주경 / 들으며 깨닫는 신나는 음악감상 1,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9
김순재·박준교 / 기악교육, 대구 : 학문사, 1971
김광휘 / 창조적 표현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창작 지도의 자료 개발, 음악교육연구 제3집
이강숙 / 음악의 이해, 서울 : 민음사, 1990
R. Brunner / 가창기법, 세광음악출판사, 1991
기능 : 강세, 특수 효과, 박자 등 표현
연주법 : 주법으로는 흔들기, 테치기, 북면을 마찰시키기 등이 있다.
④ 봉고 드럼
구조 : 쿠바를 비롯한 중남미 일대에 보급되어 있는 드럼류의 리듬용 민족악기로 크기는 작은 2개의 북이 한 조가 되어 있다. 속이 빈 나무통 한 면에 가죽을 팽팽하게 씌워 만들었으며, 2개를 나란히 놓고 연주자는 앉아서 두 무릎 사이에 봉고를 끼고 양손 손가락으로 쳐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손가락의 타법과 치는 장소에 따라서 갖가지 음색(音色)으로 변하며, 룸바콩가볼레로 등의 기초 리듬악기로 많이 이용된다.
3. 가락 악기 지도
초등학교 교실에서 기악 중심의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락 악기로 기본적으로 리코더, 피아노, 멜로디언, 실로폰 등이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음악적 체험과 음악적 성장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악기를 도입하여 지도하면 효과적이다.
1) 교실에서 사용하는 주요 가락 악기
피아노(건반악기) 리코더 멜로디온 실로폰 단소 등
2) 기악중심 학습에 도움이 되는 오르프 악기
실로폰(Xylophone) - 소프라노, 앨토, 베이스
글로겐쉬필(Glockenspiel) - 소프라노, 앨토
메탈로폰(Metallophone) - 소프라노, 앨토, 베이스
관악기 - 리코더 현악기 - 기타 등
오르프의 선율 타악기는 각각 음역에 따라 소프라노, 앨토, 베이스 등으로 나눠져 있어 모든 음역을 연주 할 수 있고 각 음들의 건반을 뗐다 붙였다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연주에 필요한 건반만 두고 나머지 건반은 떼어 내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가 필요한 건반이 ‘도, 미, 솔’이라면 이 음들을 뺀 나머지 건반은 모두 떼어 내고 연주하면 훨씬 연주하기가 쉽다.
4. 전통음악 지도
1) 단소 지도
① 자세 : 허리를 편 다음에 머리를 약간 숙이고, 시선은 전방 약 15도 아래로 본 다음에 악기를 약 45도 정도 세운다.
② 호흡 연습 : 오른 손바닥을 펴서 입술 앞쪽에 대고 바람을 약 45도 방향으로 하여 ‘휘’하고 고른 숨을 내 쉬어 턱 밑에 위치한 왼 손바닥의 떨림을 느끼게 한다. 또 같은 방법으로 빈 병에 입술을 대어 울리는 소리를 내어 보고 듣게 한다. 이때 입술이 좌우로 팽팽히 펴지도록 하고 취구를 아랫입술 한 가운데 오도록 한다.
③ 소리내기 : 소리가 나는 원리는 입김이 취구로부터 둘로 갈라져 반은 밖으로 나가고 반은 안으로 들어가 이것이 공명이 되어 소리를 만드는 것이다. 소리를 낼 때에는 양 입술을 가로 펴진 모습으로 김을 넣는다. 이 때 취구를 아랫입술 상단에 일치시킨 다음 ‘후’, ‘투’라 하지 말고 ‘휘’하고 가볍게 김을 불어넣는다.
④ 손 짚기 : 안공법은 왼손 엄지로 제1공(뒤)을 막고, 왼손 식지로 제2공(앞), 왼손 장지로 제3공, 그리고 오른손 엄지와 식지로 단소의 4공 바로 앞 부분을 잡고 장지로 제4공을 가볍게 막는다. 제5공은 통상 사용되지 않으므로 막지 않는다. 구멍을 막지 않은 손가락들은 악기 위에 가볍게 올려놓는다.
⑤ 정간보 지도 : 정간보에서 1정간은 1박을 나타내므로, 2정간은 2박이 된다. 그리고 한정간 안에 두 개 이상의 음이 있을 경우에는 율명의 위치에 따라 시가가 달라진다. 또한 음을 분할하는 방법에 따라 2분법과 3분법으로 나뉘어 진다. 한정간이 6음 이상으로 나뉘는 경우에는 부호를 써서 나타낸다.
⑥ 주법 지도
* 평취 : 평취는 김을 보통으로 불어넣는 연주법이다. 손가락을 모두 뗀 개방음(汰)부터 차례로 내려가며 소리를 낸다. 구멍을 모두 막은 음은 소리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역취 : 김을 세게 불어넣는 연주법으로 침을 내뱉듯이 ‘튀튀’하며 소리를 내지 않도록 한다. 저음→고음, 고음→저음 순서로 반복 지도한다.
* 옥타브 : 동일 구멍에서 낮은 음과 높은 음의 두 가지 소리를 내는 지도로서 김의 강도 조절 능력을 기르기 위한 훈련이다.
* 동일음 중복시 주법 : 동일음이 2회 이상 등장할 때 연주법으로 손가락으로 치는 방법과 혀끝으로 입천장을 툭 쳐서 연주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그러나 ‘仲’은 손가락을 쳐 줄 구멍이 없기 때문 둘째 방법만 사용한다. ‘汰’를 손가락으로 칠 때는 제1공을 치지 않고, 왼손 엄지손가락을 위에서 밑으로 가볍게 또는 빠르게 스쳐 지나가도록 한다.
2) 장구 지도
① 타법
* 북편 : 왼손 엄지손가락을 변죽에 댄 채 나머지 네 손가락을 모아 북편을 친다. 경우에 따라 왼손을 높이 올렸다가 치기도 한다. 풍물과 무악의 경우에는 궁굴채를 이용하여 친다.
* 채편 : 채편 치는 방법에는 복판을 치는 법과 변죽을 치는 법이 있다. 복판을 치는 경우는 음량을 크게 하기 위한 타법으로 관악곡 또는 관악기 중심의 악곡 연주, 탈춤, 풍물, 사물놀이, 무악 등이다. 변죽을 치는 경우는 가곡, 가사, 시조 등의 반주와 줄풍류 및 현악합주, 독주곡 반주, 민요, 잡가, 산조의 반주 등에 사용한다.
② 장단 연습
* 구음으로 하기 : 구음은 장단의 특징(빠르기, 셈여림, 악센트 등)을 담고 있으므로 충분히 연습하면 장단치기는 쉬워진다. 구음을 할 때도 호흡은 함께 해야 한다. 특히, 민요 장단을 지도할 때는 민요 가락에 장구 구음을 붙여 연습 한 다음 장단치기를 하면 장단과 호흡이 함께 하여 아주 연주하기 쉬워진다.
* 장단치기 : 궁편과 채편을 소고, 리듬악기, 무릎, 책상으로 연습한 후 양손으로 무릎, 책상으로 연습한다. 익숙하면 노래와 기악곡에 맞추어 연습한다. 무릎치기를 할 때는 위에서 아래로 치지 않고 무릎의 바깥쪽(옆쪽)을 치도록 한다.
참고문헌
김지연 / 창의성 개발을 위한 리듬지도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김주경 / 들으며 깨닫는 신나는 음악감상 1,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1999
김순재·박준교 / 기악교육, 대구 : 학문사, 1971
김광휘 / 창조적 표현력의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창작 지도의 자료 개발, 음악교육연구 제3집
이강숙 / 음악의 이해, 서울 : 민음사, 1990
R. Brunner / 가창기법, 세광음악출판사, 1991
추천자료
'장자의 예술정신 - 음악과 미학'에 관한 보고서
[그리스][고대그리스][그리스 음악][그리스 미술][그리스 건축][음악][미술][건축]그리스의 ...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초등교육]초등학교 6학년 가치관과 교육과정편성,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 교육과정, 초등학...
영어과 기본학습능력신장 사례, 기술가정과 만들기학습능력신장 사례, 과학과 탐구학습능력신...
수학과 학습능력신장 사례, 영어과와 사회과 자기주도적학습능력신장 사례, 과학과 탐구학습...
[학습능력][음악과교육][도덕과교육][기술가정과교육]자기주도적학습능력, 창의적학습능력, ...
수학과 성취도평가, 영어과 멀티미디어 지도자료(교수자료), 국어과 독서교육, 과학과 수준별...
[아동보육 A+]아동음악과 동작 : 창의적 동작활동 지도를 위한 교육계획안 - 나비의 성장(사...
음악과 무용의 만남_바로크 시대 음악과 낭만주의의 음악 &발레
성경을 통해 본 예배 음악과 문화
(A+자료) 차차차의 유래 및 특징과 음악과 박자, 기본자세 및 순서 조사분석
(아동음악과동작) 아동음악관련 동화 목록20, 아동음악관련동화
[일본 문화와 이해] 일본음악 - 전통음악과 오늘날의 일본음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