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캐제만 (Kasemann)에 있어서 \"역사적 예수\" 개념
2. 브라운 (Braun) 에 있어서 \"역사적 예수\"개념
3. 에벨링 (Ebelibng)에 있어서의 \"역사적 예수\"개념
2. 브라운 (Braun) 에 있어서 \"역사적 예수\"개념
3. 에벨링 (Ebelibng)에 있어서의 \"역사적 예수\"개념
본문내용
것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수에 있어서 표현된 것은 "예수 의 신앙이다. 에벨링은 역사적 예수란 곧 "신앙의 예수"라고 규정한다. 에벨링은 "신앙 예수"의 모습을 찾아냄으로써 불트만에 의해서 단절된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적 그리스도 사이에 연속성을 인정하고 있다. 에벨링은 불트만의 역사적 예수에 대한 불가지론 입장보다는 성서적 예수의 구체적 모습을 드러내는데 한걸음 진전한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양자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범주로써 상징하는 불트만의 가설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적 그리스도는 성서적인 진술에 있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범주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서로 불가분적으로 엮어 있는 성서적 구체적 예수의 모습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양자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른 범주로써 상징하는 불트만의 가설에서 근본적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적 그리스도는 성서적인 진술에 있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가지 범주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서로 불가분적으로 엮어 있는 성서적 구체적 예수의 모습으로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