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사고과의 개념과 목적
1. 인사고과의 개념
2. 성격
3. 인사고과의 목적
Ⅱ. 인사고과의 방법
1. 평가대상과 평가요소의 선정
2. 고과자의 선정
Ⅲ. 인사고과의 구성요건 (관리기준)
1.타당성(validity)
2. 신뢰성(reliability)
3. 수용성(acceptability)
4. 실용성 (practicability)
1. 인사고과의 개념
2. 성격
3. 인사고과의 목적
Ⅱ. 인사고과의 방법
1. 평가대상과 평가요소의 선정
2. 고과자의 선정
Ⅲ. 인사고과의 구성요건 (관리기준)
1.타당성(validity)
2. 신뢰성(reliability)
3. 수용성(acceptability)
4. 실용성 (practicability)
본문내용
적,결과등을 수용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즉, 피고과자들이 인사고과제도에 대해 이를 적법하고, 필요한 것이라고 믿고, 고과가 공정하게 이루어지며 고과결과가 활용되는 고과목적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말한다. 수용성은 고과기준 뿐만 아니라 고과과정에 있어서의 공정성도 의미한다.
(2) 저항의 원인
① 고과목적에 대한 신뢰감 상실
② 정보부족
③ 종속적 관계 강화의 관점
(3) 수용성 증대방안
① 종업원참여 : MBO
② 능력개발형 고과
③ 고과제도 개발시 종업원 대표의 참여
④ 고과제도 개발시 그 목적과 필요성을 투명하게 알리고 교육 실시
4. 실용성 (practicability)
(1) 의의
인사고과에서의 실용성은 ‘비용을 얼마나 최소화하고 편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즉 기업이 고과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현실적으로 비용보다 효과가 더 클 때 실용성이 있는 것이다.
(2) 실용성을 갖추기 위한 조건
① 성과 차이가 의미 있게 나타나야 한다.
② 능력 및 성과 차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고과에 소요되는 시간도 적절해야 한다.
④ 비용-편익 즉면에서 비용에 비해서 효과가 더 커야 한다.
(2) 저항의 원인
① 고과목적에 대한 신뢰감 상실
② 정보부족
③ 종속적 관계 강화의 관점
(3) 수용성 증대방안
① 종업원참여 : MBO
② 능력개발형 고과
③ 고과제도 개발시 종업원 대표의 참여
④ 고과제도 개발시 그 목적과 필요성을 투명하게 알리고 교육 실시
4. 실용성 (practicability)
(1) 의의
인사고과에서의 실용성은 ‘비용을 얼마나 최소화하고 편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즉 기업이 고과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현실적으로 비용보다 효과가 더 클 때 실용성이 있는 것이다.
(2) 실용성을 갖추기 위한 조건
① 성과 차이가 의미 있게 나타나야 한다.
② 능력 및 성과 차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③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고과에 소요되는 시간도 적절해야 한다.
④ 비용-편익 즉면에서 비용에 비해서 효과가 더 커야 한다.
추천자료
학교 학급 경영론
[교육행정] 인사, 교육재정
교원평가제도의 문제점과 합리적인 교원평가 방안모색
교사평가제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평가
교원평가
공무원 승진제도의 합리적인 채용방안
교원평가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교사평가제
2010년 교원임용 교육법규 정리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의 개념,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의 중요성,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 ...
교원인사제도(교사승진제도) 교원자격제도, 교원인사제도(교사승진제도) 교장평가제도, 교원...
교원징계(교육공무원징계)의 종류, 사유, 교원징계(교육공무원징계)의 대처방법, 주의사항, ...
[교사평가] 교원평가제에 관해서
[교원승진제도] 교육공무원 승진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