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사례]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정의,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유형,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발전,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기능,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사례]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정의,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유형,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발전,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기능,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의 정의

Ⅱ.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의 유형
1. 신용디폴트스왑(Credit Default Swaps, CDS)
2. 총수익스왑(Total Return Swaps, TRS)

Ⅲ.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의 발전

Ⅳ.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의 기능
1. 자금조달비용 절감과 이자수익 제고
2. 위험헤지
3. 규제회피
4. 국제 금융시장간 연결

Ⅴ. 통화스왑(통화스왑계약)의 사례
1. 금리스왑
1) 당사자 A의 최종 자금조달 비용
2) 당사자 A
3) 당사자 B의 최종 자금조달 비용
4) 당사자 B
5) 스왑딜러
2. 통화스왑
1) 당사자 A의 목적: 7년 동안 달러화 표시 변동금리로 자금조달
2) 당사자 A
3) 당사자 B의 목적
4) 당사자 B : 55bps의 자금조달 비용 절감
3. 상품스왑

참고문헌

본문내용

/365 = -19.7 bps(money market basis)
+ 스왑쿠폰: LIBOR
= 최종 자금조달 비용: 6개월 LIBOR-19.7 bps
4) 당사자 B
19.7bps의 절감
5) 스왑딜러
10.75 10.70 = 0.05(5bps)의 수익
2. 통화스왑
당사자 A는 7년 동안 마르크표시 고정금리 9%로 마르크 자금을 차입하거나, 1년 LIBOR의 변동금리로 7년 동안 달러화 자금을 차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당사자 B는 7년 동안 마르크표시 고정금리 10.1%로 마르크 자금을 차입하거나, 1년 LIBOR의 변동금리로 7년 동안 달러화 자금을 차입할 수 있다. 당사자 A는 달러화 표시 변동금리채무를 원하고, 당사자 B는 마르크화 표시 고정금리채무를 원한다.
1년 LIBOR 변동금리를 수취하고 마르크 표시 고정금리 9.45%를 지급하거나, 마르크 표시 고정금리 9.55%를 수취하고 1년 LIBOR 변동금리를 지급할 수 있는 스왑딜러가 있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당사자 A는 자금시장에서 마르크 표시 고정금리로 자금을 차입하고, 당사자 B는 달러화 표시 변동금리로 자금을 차입한 후 스왑딜러와 스왑계약을 체결한다.
1) 당사자 A의 목적: 7년 동안 달러화 표시 변동금리로 자금조달
자금시장으로부터 직접차입비용: 1년 LIBOR(매년 계약 갱신)
<전략>
마르크화 고정금리 차입: 9.00% DEM
스왑계약에서 변동금리 지급:LIBOR
스왑계약에서 고정금리 수취: -9.45% DEM
최종 자금조달 비용:9.00% DEM + LIBOR 9.45% DEM
= LIBOR(USD) 45bps(DEM)
2) 당사자 A
45bps의 자금조달 비용 절감
3) 당사자 B의 목적
7년 동안 마르크화 표시 고정금리로 자금조달
자금시장으로부터 직접차입비용: 10.1% DEM
<전략>
달러화 변동금리 차입: LIBOR
스왑계약에서 고정금리 지급:9.55% DEM
스왑계약에서 변동금리 수취: - LIBOR
최종 자금조달 비용:LIBOR + 9.55% DEM LIBOR
= 9.55% DEM
4) 당사자 B : 55bps의 자금조달 비용 절감
VARIANTS
Basis swap floating과floating의 교환
Circus swap fixed와 fixed의 교환
3. 상품스왑
원유생산자(당사자 A)가 향후 5년간 평균 월생산량 8,000배럴에 대해 원유매도가격을 고정시키기를 원하고, 정유회사(당사자 B)는 평균 월소비량 12,000배럴에 대해 5년 동안 원유매입가격을 고정시키기를 원한다. 따라서 두 회사는 자금시장에서의 실물자산의 거래를 지속하면서 동시에 스왑딜러와 원유스왑을 체결한다.
스왑당사자가 스왑계약을 체결한 시점에서 스왑딜러가 제시한 가격(mid-price)은 배럴 당 $15.30이다. 당사자 B는 배럴 당 $15.30을 매월 스왑딜러에게 지급하는 대신 스왑딜러로 부터 평균원유가격에 해당하는 변동가격을 수취하기로 하였다. 당사자 A는 평균현물가격에 해당하는 변동가격을 스왑딜러에게 지급하고 딜러로부터 배럴 당 $15.20을 수취하기로 하였다. 그 결과 스왑거래를 통하여 원유생산자와 정유회사 모두 각자의 원유가격을 고정시키는 효과를 보았다.
참고문헌
강상호(2001) : 장기 원 달러 통화스왑의 베이시스에 관한 연구, 국제무역경영연구원
박정식·박종원(2004) : 현대투자론, 다산 출판사
신민식 : 파생상품시장론(선물옵션스왑)
이요섭·정군오(2003) : 금융시장의 이해 part7(16장, 17장, 18장, 19장), 연암사
오승현 외(2003) : 장외파생상품 거래의 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연구원
한완선(2002) : 금융스왑의 이해, 두남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3.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0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