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유형의 소비자 집단과 트렌드의 변화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1020 C세대는 미래의 주요 고객

Ⅱ. 2010년대, 현재의 주요 시청자 그룹이 사라지는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소셜 미디어의 양방향성을 활용하
여 사용자들이 공간을 만들어 나간다.
점차적으로 거실에서 편안하게 TV를 시청하는 전통적인 수동적 시
청자lean back consumer들은 줄어들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유비쿼터스 콘텐츠를 사용하는 적극적인 시청자lean forward consumer들은 증가할 것이다. 지난 2007년 다보스 포럼에서 빌 게이츠는 말했다. "5년 후 사람들은 우리가 TV를 보는 모습에 웃음을 참지 못할 것이다. 인터넷이 5년 안에
텔레비전에 혁명을 가져올 것이다. 뉴스를 볼 때 시청자가 원하는 뉴스
만 전송될 것이다. " 그의 말은 구글Tv와 애플rv등 인터넷망에 올라탄
지능형 TV에 의해 어느 정도 가시화되고 있다. 그렇다면 수십 년 동안
거실의 주매체로서 자리를 잡아온 TV가 하루아침에 사라질 것인가?
IBM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에서 2012년 사이를 기준으로 볼 때 기존
의 수동적 시청자 그룹은 좀 더 적극적인 시청자로 변화하고 10대의 쿨
키즈, 20-30대의 개지티어즈 그룹은 콘텐츠 접속에 있어 더욱 개방적
으로 바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양 그룹 사이에는 근본적으로
세대 간 간극(generational chasm)이 존재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2012년까지는 전통적인 TV 시청방식이 사라지지 않는 대신 양극화된 시청형태
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1954년 서울 종로 보신각의 전자제품 대리점에 TV 수상기 한 대가
전시되었다. 촌로들은TV상자 안에 사람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착각할
정도로, 화면에 비친 사람들의 모습은 경이로운 구경거리였다. 1961년
KBS가 개국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TV시대가 활짝 열렀고 TV는 우리
의 감각기관을 확장해 우리가 세계와 접촉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넓
혀주었다. 1928년 이래 1는 흑백TV, 컬러TV, 디지털TV 그리고 3D
TV로 발전해 왔다. 그렇지만 우리가 TV를 보는 시청방식에는 큰 변화
가 없었다.TV 방송국들은 편성을 통해 어떤 시간에 어떤 프로그램을
배치할지를 결정해 시청자들을 최대한 많이 유입시키기 위한 전략을
판다. 시청자들은 리모컨을 이용해 방송국에서 편성한 프로그램을 선
택하여 시청한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IBM이 분석한 2005-12년 사
이의 시청형태는 매우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지만 2012년 이후에는 현
재의 신세대들이 주요 시청자 계층으로 부상하면서 그 변화의 폭이 급
격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
그램을 시청하는 비선형적 시청형태를 즐기며, 유비쿼터스 콘텐츠를
찾아 소비하는 행태가 보편화될 것이다. 나날이 진화하고 있는TV가 엔
터태인먼트의 중심매체로서 그 가치는 줄어들지 않겠지만, 적어도 콘
텐츠를 전달하는 수단에는 혁명적 변화가 이루어질 것이 분명하다. 이
중심에는 모바일 미디어, 커넥티드TV 인터넷 기반의 TV포털 등이 주
요 플렛폼으로 성장해 있을 것이다. 검색기반으로 시청이 이루어지는
스마트TV(커넥티드TV 등)는 시청자가 '아이리스'라고 검색어를 넣으면
지상파財에서 방송중인 프로그램이나 케이블TV에서 재방송중인 프로
그램을 찾아 연결해 줄 것이다. 또한 다양한 UCC나 동영상도 연결시켜
준다. 음성인식 기술과 지능형 검색기술을 접목한 검색기능에 의해 '야
구 경기'라고 주문하면, 시청자가 위치한 지역의 프로야구 경기부터 우
선적으로 안내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시청자의 주도적 선택이 보편
화되면서 이른바 '황금시간대' 라는 의미는 퇴색할 것이다. 유 무선 IP
기반의 플랫폼들에 의해 소비자가 TV와 소통하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
다. 이들 플랫폼은 타 매체와의 연결성이 용이하여 다른 매체의 콘텐츠
를 손쉽게 접속해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
로 향후에는 점차 플랫폼 간의 경계가 사라지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2010
- 장석권, ‘개방형 IPTV 생태계를 위한 원칙과 상생방안’, KT 경제경영연구소, 2010
- 이시훈, 성열홍, 손영화. ‘미디어, 소비자, 광고의 변화’, 한경사, 2008
- 최혜실, ‘디지털, 스토리텔링, 산업’, 계간문예, 2006
- 신지은, 박정훈 등, ‘세계의 미래학자 10인이 말하는 미래혁명;, 일송북, 2007
- 이정호, ‘블로그 시대의 기업경영’, 삼성경제연구소, 2005
- 김지희, ‘커런트 TV가 보여주는 양방향 미디어의 진수’, 미디액트 미디어운동연구저널, 2009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25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0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