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
(1) 지식의 구조
(2) 발견학습과 탐구학습
(3) 나선형 교육과정
2. 브루너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
3. 브루너 교육과정 이론의 가능성
Ⅲ. 결론
Ⅱ. 본론
1.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
(1) 지식의 구조
(2) 발견학습과 탐구학습
(3) 나선형 교육과정
2. 브루너 교육과정 이론의 한계
3. 브루너 교육과정 이론의 가능성
Ⅲ. 결론
본문내용
드러내는 경우가 많지만, 그것은 그 상이나 벌이 주어질 경우에만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계를 가진다. 학습이라는 것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보다 높은 성취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그 학습에 대한 매력을 느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적 동기는 앞으로도 계속 강조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끝으로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이 학문의 내적 체계, 즉 지식의 구조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 역시 이 이론이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고 탐색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교육이라는 것은 결코 지식의 문제를 떠나서는 성립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과 정보가 끊임없이 팽창하는 상황에서는 그 많은 것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잘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지식의 구조'의 필요성은 오히려 점점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살핀 뒤 이 이론이 가진 한계와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브루너의 이론은 '지식의 구조'라는 개념을 핵심으로 하여 기존의 교육과정 이론에 비해 '혁명적'으로 보이는 아이디어를 많이 제시했다. 그런데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불리는 그의 교육과정 이론은 현재 처음 그것이 발표되었을 때에 비해 그 자리가 많이 좁아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학문'이나 '지식'이라는 말이 던져주는 딱딱한 이미지로 인해 사람들에게 반감을 자아내는 일도 많다.
하지만 교육이라는 것이 결국 지식의 문제를 떠나서는 성립할 수 없는 것이고, 사회의 급속한 발달로 지식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지식의 구조'라는 아이디어는 앞으로 더 필요한 개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은 현재 파악되고 있는 몇몇 의문과 한계를 해결하고, 본래 가지고 있는 많은 의의와 가능성은 살려 나가는 방향으로 앞으로 계속 논의되고 발달되어 가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서울:교육과학사, 1998.
이홍우, 『지식의 구조』, 서울:교육과학사, 1990.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교육과학사, 1978.
이홍우, 『브루너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73.
참고 인터넷 자료
http://blog.naver.com/viebleu20/40002931993
http://blog.naver.com/space_dog/1654234
그리고 끝으로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이 학문의 내적 체계, 즉 지식의 구조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 역시 이 이론이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고 탐색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교육이라는 것은 결코 지식의 문제를 떠나서는 성립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과 정보가 끊임없이 팽창하는 상황에서는 그 많은 것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본 개념이나 원리를 잘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지식의 구조'의 필요성은 오히려 점점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에 대해 간략하게 살핀 뒤 이 이론이 가진 한계와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브루너의 이론은 '지식의 구조'라는 개념을 핵심으로 하여 기존의 교육과정 이론에 비해 '혁명적'으로 보이는 아이디어를 많이 제시했다. 그런데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불리는 그의 교육과정 이론은 현재 처음 그것이 발표되었을 때에 비해 그 자리가 많이 좁아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학문'이나 '지식'이라는 말이 던져주는 딱딱한 이미지로 인해 사람들에게 반감을 자아내는 일도 많다.
하지만 교육이라는 것이 결국 지식의 문제를 떠나서는 성립할 수 없는 것이고, 사회의 급속한 발달로 지식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지식의 구조'라는 아이디어는 앞으로 더 필요한 개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은 현재 파악되고 있는 몇몇 의문과 한계를 해결하고, 본래 가지고 있는 많은 의의와 가능성은 살려 나가는 방향으로 앞으로 계속 논의되고 발달되어 가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박재문,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서울:교육과학사, 1998.
이홍우, 『지식의 구조』, 서울:교육과학사, 1990.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서울:교육과학사, 1978.
이홍우, 『브루너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73.
참고 인터넷 자료
http://blog.naver.com/viebleu20/40002931993
http://blog.naver.com/space_dog/1654234
추천자료
학습자중심교육과정(학생중심교육과정)의 의미, 학습자중심교육과정(학생중심교육과정)의 특...
유치원교육과정의 목적, 유치원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유치원교육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유...
과학과교육과정(과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과학과교육과정(과학교육과정)의 설정배경, 과...
국사과교육과정(국사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 국사과교육과정(국사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개정 중점,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지...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목표와 개정중점, 미술교육과정(미술과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 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재량활...
한문과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의 성격, 한문과교육과정(한문교육과정)의 개정배경과 개정내용...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의미,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경향,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교과분류, 선택중심...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의미와 유형, 수준별교육과정(수준별학습수업) 도입배경과 ...
유치원교육과정의 목표, 유치원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유치원교육과정의 관련 법규, 유치원교...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 제7차교육과정의 배경, 제7차교육과정의 구성 방침, 제7차교육과정의 ...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의의,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특별활동교육과정 개정, 특별활...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취지,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