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Bipolar Disorder (양극성 장애[조울증])
1) 정의
2) 발병 양상
3) 원인
4) 증상
5) 임상적 특징과 진단
Case Study
가. 대상자 사정.
나. 대상자의 치료 현황.
♨ 참고 문헌
1) 정의
2) 발병 양상
3) 원인
4) 증상
5) 임상적 특징과 진단
Case Study
가. 대상자 사정.
나. 대상자의 치료 현황.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호흡부전 환자, 우울증 환자(특히 자살할 경향이 있는 환자), 임부 및 가임부, 습관성 중독이 알려진 환자, 황색 4호(타르트라진)에 과민하거나 알레르기 기왕력자
♣부작용 : 졸음, 현기, 운동실조, 피로, 두통, 진전, 언어장애, 백혈구/호중구 감소, 빈맥, 서 맥, 순환성 쇼크, 호흡억제, 위장장애, 발진, 부종, 황달, 뇨저류, 딸꾹질 등.
10) Tylenol (acetaminophen 500mg) 한국 얀센
♣약효 분류 : 기타 진통제(Other Analgesics & Antipyretics)
♣효능/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치통, 관잘 통, 류마티스양 동통.
♣용법/용량 : 1회 0.3-1.0g, 1일 3-4회(1일 최고 4g까지 투여가능)
♣금기 : 이 약에 과민증 환자, 소화성궤양환자, 심한 혈액이상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주의 : 간장애 또는 그 기왕력자,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심기능이상이 있는 환자, 과민 증의 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환자, 고령자
♣부작용 : 발적, 소양감, 과민반응, 오심, 구토, 인후부종, 과량시 간신장 괴사, 혈소판 감소 증 등.
4. 문제중심기록
#1 수면장애
S : “어젯 밤에 잠들지가 않아서 고생했으예.”
“아침에 깨어나기도 힘드고, 낮에 왜 이렇게 잠이 오는지..”
O : 낮시간 동안 활동을 하지 않고 주무시고 저녁쯤에 일어나심.
얼굴에 피로감이 있고 하품을 계속하심.
A : 약물의 효과와 관련된 수면 장애
P : 1) 과다한 낮잠을 취하지 않게 함.
2) 낮 동안에는 여가 활동에 참여를 증진시킴.
3) 가능하면 환자가 평상시 취침 때 행하던 습관을 수행하도록 격려함.
4)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듦.
5) 환자에게 투여된 약물이 그의 수면 양상에 미치는 효과를 사정함.
6) 약물 투여함.
I : 낮에 잠을 못자도록 했다.
요법을 하도록 권유하였고, 여가시간에 같이 게임을 하였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약물을 투여하셨다.
E : 낮잠을 안 주무시고 운동을 하면서 지내고 밤에도 잘 주무신다고 함.
#2.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S : "21살 때 하늘나라 갔다왔으예.. 천사도 보고 왔고예.“
“비둘기가 왜 저렇게 앉아 있는 줄 아십니꺼? 난 알아예. 우린 영혼끼리 통하거등예.”
O : 현실과 맞지 않은 말로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힘들다.
A : 비현실적인 사고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P : 1) 명료한 추구기법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사정함.
2) 말할 수 없거나 하지 않을 경우 함축된 의미를 말로 표현 (공감을 전달하면서 신뢰 를 발달시키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고통스러운 문제를 스스로 표현하여 해결할 수 있 도록 격려 할 수 있다.)
3) 환자가 실제의 대화에 참여하거나 경청하도록 도와준다.
4)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유형이 확립될때까지 환자의 요구를 예측하여 충족시킴.
I : 의사소통 유형을 사정하였다.
환자와 대화를 하면서 문제를 알아내고 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었다.
환자가 실제의 대화에 참여할수있도록 도와주었다.
E : 조금은 나아지는 듯 하였으나, 다시 비현실적인 내용을 얘기함.
#3 손상위험
S : 병동에서 욕을 하고 돌아다니며,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트집을 잡고 소란스럽게 함.
O : 돌아다니다가 벽에 부딪히면서 찰과상.
A : 과다활동 및 충동적 행동과 관련된 손상위험
P : 1) 환경자극을 최소한으로 한다.
2) 대상자에게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다른 곳에 신경을 쓸 수 있도록 한다.
4) 행동에 대해 제제를 한다고 이야기 한다.
I : 환경자극을 최소한으로 했다.
대상자가 돌아다니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이용하도록 했다.
대상자가 쓰기, 그리기와 같이 에너지를 쏟아낼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지했다.
행동화에 제한을 가했다.
E : 대상자는 신체적으로 안전하게 지냄
#4 영양장애
S : “밥이 너무 맛이없어예. 간식만 먹고싶어예.”
정규식사시간에는 먹지 않고 간식을 조금씩 먹음.
O : 체중이 감소함.
A : 불규칙한 식사습관으로 인한 영양장애
P : 1) 영양사의 도움을 요청한다.
2) 과다한 활동으로 인한 것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3) I/O와 열량을 기록한다.
4) 체중의 변화를 확인한다.
I : 영양사의 도움을 받아, 충분한 영양공급을 했다.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고단백, 고열량,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과 음료수를 제공했다.
정확한 I/O과 열량계산을 기록했다.
매일 대상자의 체중을 확인했다.
E : 영양결핍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체중이 일정했다.
5. 실습 소감
처음에 정신과를 실습 나갈 때는 어떤 곳일까라는 생각과 조금은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환자들과 함께 지내면서 말도 많이 하고 게임도 하면서 막연히 이상한 병이 아니라 우리가 치료자로써 돌보아 주어야 할 환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신과 환자들은 난폭하고 어딘가 이상한 사람들, 미친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인데, 그들에게 이들도 병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고 진통과 싸우는 것이라고 알려 주고 싶습니다. 우선 내가 이번 실습으로 인해서 갖고 있던 많은 편견과 거리를 두던 나의 모습이 사라지고, 내가 먼저 다가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정신과는 다른 병원에서 실습하는 것과는 많이 달라서 새로운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해보게 되었고, 이번 컨퍼 준비를 하는 것에 있어서 정신질환에 대해서 조사하고, 환자들과 면담을 하는 가운데 더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목금토, 4주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더 많은 것을 알려고 노력하지 않은 나의 모습에 많이 후회되지만, 정신간호 수업을 하면서 더 많은 것을 배웠으면 합니다.
♨ 참고 문헌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제7판). 현문사. 2003
최신 정신 간호학 총론. 정담. 도복늠 외. 2001
최신 정신 간호학 각론. 정담. 도복늠 외. 2001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협회. 김조자 외. 1993
http://www.druginfo.co.kr
Conduct Disorder
(품행장애)
♣부작용 : 졸음, 현기, 운동실조, 피로, 두통, 진전, 언어장애, 백혈구/호중구 감소, 빈맥, 서 맥, 순환성 쇼크, 호흡억제, 위장장애, 발진, 부종, 황달, 뇨저류, 딸꾹질 등.
10) Tylenol (acetaminophen 500mg) 한국 얀센
♣약효 분류 : 기타 진통제(Other Analgesics & Antipyretics)
♣효능/효과 :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두통, 신경통, 근육통, 월경통, 염좌통, 치통, 관잘 통, 류마티스양 동통.
♣용법/용량 : 1회 0.3-1.0g, 1일 3-4회(1일 최고 4g까지 투여가능)
♣금기 : 이 약에 과민증 환자, 소화성궤양환자, 심한 혈액이상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주의 : 간장애 또는 그 기왕력자, 출혈 경향이 있는 환자, 심기능이상이 있는 환자, 과민 증의 기왕력자, 기관지 천식 환자, 고령자
♣부작용 : 발적, 소양감, 과민반응, 오심, 구토, 인후부종, 과량시 간신장 괴사, 혈소판 감소 증 등.
4. 문제중심기록
#1 수면장애
S : “어젯 밤에 잠들지가 않아서 고생했으예.”
“아침에 깨어나기도 힘드고, 낮에 왜 이렇게 잠이 오는지..”
O : 낮시간 동안 활동을 하지 않고 주무시고 저녁쯤에 일어나심.
얼굴에 피로감이 있고 하품을 계속하심.
A : 약물의 효과와 관련된 수면 장애
P : 1) 과다한 낮잠을 취하지 않게 함.
2) 낮 동안에는 여가 활동에 참여를 증진시킴.
3) 가능하면 환자가 평상시 취침 때 행하던 습관을 수행하도록 격려함.
4) 수면을 유도하는 조용한 환경을 만듦.
5) 환자에게 투여된 약물이 그의 수면 양상에 미치는 효과를 사정함.
6) 약물 투여함.
I : 낮에 잠을 못자도록 했다.
요법을 하도록 권유하였고, 여가시간에 같이 게임을 하였다.
간호사 선생님께서 약물을 투여하셨다.
E : 낮잠을 안 주무시고 운동을 하면서 지내고 밤에도 잘 주무신다고 함.
#2.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S : "21살 때 하늘나라 갔다왔으예.. 천사도 보고 왔고예.“
“비둘기가 왜 저렇게 앉아 있는 줄 아십니꺼? 난 알아예. 우린 영혼끼리 통하거등예.”
O : 현실과 맞지 않은 말로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힘들다.
A : 비현실적인 사고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P : 1) 명료한 추구기법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사정함.
2) 말할 수 없거나 하지 않을 경우 함축된 의미를 말로 표현 (공감을 전달하면서 신뢰 를 발달시키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고통스러운 문제를 스스로 표현하여 해결할 수 있 도록 격려 할 수 있다.)
3) 환자가 실제의 대화에 참여하거나 경청하도록 도와준다.
4)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유형이 확립될때까지 환자의 요구를 예측하여 충족시킴.
I : 의사소통 유형을 사정하였다.
환자와 대화를 하면서 문제를 알아내고 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었다.
환자가 실제의 대화에 참여할수있도록 도와주었다.
E : 조금은 나아지는 듯 하였으나, 다시 비현실적인 내용을 얘기함.
#3 손상위험
S : 병동에서 욕을 하고 돌아다니며,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트집을 잡고 소란스럽게 함.
O : 돌아다니다가 벽에 부딪히면서 찰과상.
A : 과다활동 및 충동적 행동과 관련된 손상위험
P : 1) 환경자극을 최소한으로 한다.
2) 대상자에게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다른 곳에 신경을 쓸 수 있도록 한다.
4) 행동에 대해 제제를 한다고 이야기 한다.
I : 환경자극을 최소한으로 했다.
대상자가 돌아다니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이용하도록 했다.
대상자가 쓰기, 그리기와 같이 에너지를 쏟아낼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지했다.
행동화에 제한을 가했다.
E : 대상자는 신체적으로 안전하게 지냄
#4 영양장애
S : “밥이 너무 맛이없어예. 간식만 먹고싶어예.”
정규식사시간에는 먹지 않고 간식을 조금씩 먹음.
O : 체중이 감소함.
A : 불규칙한 식사습관으로 인한 영양장애
P : 1) 영양사의 도움을 요청한다.
2) 과다한 활동으로 인한 것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3) I/O와 열량을 기록한다.
4) 체중의 변화를 확인한다.
I : 영양사의 도움을 받아, 충분한 영양공급을 했다.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고단백, 고열량,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과 음료수를 제공했다.
정확한 I/O과 열량계산을 기록했다.
매일 대상자의 체중을 확인했다.
E : 영양결핍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체중이 일정했다.
5. 실습 소감
처음에 정신과를 실습 나갈 때는 어떤 곳일까라는 생각과 조금은 무섭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환자들과 함께 지내면서 말도 많이 하고 게임도 하면서 막연히 이상한 병이 아니라 우리가 치료자로써 돌보아 주어야 할 환자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신과 환자들은 난폭하고 어딘가 이상한 사람들, 미친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인데, 그들에게 이들도 병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고 진통과 싸우는 것이라고 알려 주고 싶습니다. 우선 내가 이번 실습으로 인해서 갖고 있던 많은 편견과 거리를 두던 나의 모습이 사라지고, 내가 먼저 다가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정신과는 다른 병원에서 실습하는 것과는 많이 달라서 새로운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정신질환자에 대해서도 많이 생각해보게 되었고, 이번 컨퍼 준비를 하는 것에 있어서 정신질환에 대해서 조사하고, 환자들과 면담을 하는 가운데 더 많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합니다. 목금토, 4주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더 많은 것을 알려고 노력하지 않은 나의 모습에 많이 후회되지만, 정신간호 수업을 하면서 더 많은 것을 배웠으면 합니다.
♨ 참고 문헌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제7판). 현문사. 2003
최신 정신 간호학 총론. 정담. 도복늠 외. 2001
최신 정신 간호학 각론. 정담. 도복늠 외. 2001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대한간호협회. 김조자 외. 1993
http://www.druginfo.co.kr
Conduct Disorder
(품행장애)
키워드
추천자료
품행장애 이론 (conduct disorder) - 정의, 원인, 진단, 치료, 예방, 장애인, 장애인복지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정의 및 특징, ...
[의료사회사업론] 우울증 (우울장애 / depressive disorder) 주요 증상, DSM-IV의 분류, 주요...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의 이해 - 반응성 ...
[놀이치료] 발달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반항성 장애 (Oppositional-Defiant Disord...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학습장애 (Learning Disorder) - 학습장애의 정의와 발생원...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아스퍼거장애(Asperger`s Disorder) - 아스퍼거장애의 정의...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자폐장애 (自閉障碍 / autistic disorder) - 자폐장애의 정...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정서장애 - 분리 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
정신장애, 정신지체, 정신질환에 대해 정리하고, 현재 상황에서 정신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이상심리학] 동통장애(Pain Disorder) - 동통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성(개념과 증상 및 진...
[이상심리학] 신체변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신체변형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
[이상심리학]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전환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과 증상 ...
[이상심리학] 공황장애(Panic Disorder) - 공황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 진단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