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진단 (신경방사선학적 검사소견)
5. 치료
6. 단락술
7. 단락술의 합병증
2. 원인
3. 병태생리
4. 진단 (신경방사선학적 검사소견)
5. 치료
6. 단락술
7. 단락술의 합병증
본문내용
주어 조절하는 밸브, 그리고 원위 도관으로 이루어진다. 단락장치에서 뇌척수액의 배액 정도는 뇌실 내 압력, 밸브의 저항 및 근위 도관 사이의 높이차에 기인한 수압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두개강 내압이 매우 높거나, 혹은 키가 큰 사람이 일어서면 머리의 높이와 복강까지의 수직 거리에 비례하여 높아진 수압 차이로 인하여 복강 내로 뇌척수액의 배액이 증가되는 사이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사이폰 현상으로 두개강 내압이 급격히 하강하여 두통, 두개강내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뇌척수액의 배액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밸브를 사용하거나, 사이폰 현상 방지 장치가 장착된 밸브를 사용하기도 한다.
: 문제점 - 단락감염, 단락폐쇄, 단락관의 절단 및 이동, 과다 배액
: 문제점 - 단락감염, 단락폐쇄, 단락관의 절단 및 이동, 과다 배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