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거시적 접근
1. 기능론적 접근
2. 갈등론적 접근
Ⅱ. 미시적 접근
1.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2. 민속방법론적 접근
*참고문헌
1. 기능론적 접근
2. 갈등론적 접근
Ⅱ. 미시적 접근
1.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2. 민속방법론적 접근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있다. 그렇다
면 오늘날의 우리 청소년문화는 '비행하위문화'임에 틀림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질문들에 대한 대답들이 보다 객관적 기준에서 이루어질 때까
지 성급한 판단은 유보될 수 있다.
(2) 민속방법론적 접근
문화기술연구 및 그의 연구방법론을 총칭하는 'Ethnography'는 기술민족학,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민족기술지, 종족지학, 민족지 등으로 번역된다. 우
리는 민속방법를으로 번역한다. 이는 인간사회와 문화의 다양한 현상을 정성
적, 정량적 조사기법을 사용한 현장조사를 통해 기술하여 연구하는 학문의 분야
이다떠키백괴. 민속방법른撚ograp의 어원은 그리스어 '(ethnos,사람들)'와 '(graphrein), 기록)'이다(위키백과). 즉, 사람들에 대한 기록을 의미한다.
주로 사회인류학과 문화인류학은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발전하여왔다.
문화해석학자 기어츠(템ifFord J. Geenz)는 현장참여연구를 통해 특정 문화 및 사
회와 집단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면서 인류학 연구를 수행하였다(클리퍼드 기어
츠, 문옥표 역, 1998).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은 참여적 관찰자로서 사건에 직접 참
여 관찰함으로써 인간의 문화적 행동과사고방식 등을 파악하려 한다. 따라서
이들은 일단 특정 문화를 '현상하는 그대로' '기술(識泌)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과 절차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문화를 이해하는 방식을 취한다.
민속방법론은 비록 그것이 뒤르껭과 관심영역에서 일부 공유한다고 하더
라도 그의 사회학과는 전혀 다르다. 기어츠는 뒤르껭의 전통적 사회학과 민
속지방법론의 결정적인 차이점을 크게 두 가지로 보았는데, 첫째, 전통사회학
은 사회적 질서의 사실성(facticky)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에 대해 분
석하는 반면, 민속지방법론은 사회질서를 생산하고 이를 공유하게 하는 '과
정'과 '절차‘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둘째, 전통사회학은 사회집단에 참여하는
개인들에 대한 기술보다는 사회집단 자체에 대한 기술을 우선시하는 반면,
민속지방법론은 사회집단을 실제적으로 기술하려는 과정 속에서 개인들이
사용하는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 기술하려 한다. 또한 민속방법론은 후설과
슈츠의 연구로부터 생활세계(Lebenswelt)의 개념을 차용해 오지만 이는 현상학
이 아니며, 사회질서를 형상 같은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게슈탈
트 이론의 형식도 아니다. 또한 질서 사용 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이해를
차용하지만 그의 분석철학과도 판이하다.
민속방법론적 접근을 통해서 청소년문화를 이해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청
소년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정
교하게 접근하는 일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그리고 이를 있는 그대로 그리
고 나타나는 그대로 기술해내고 묘사(描脚)해낼 수 있는 능력이 요청된다.
이를테면 오늘날 청소년문화는 '불건전한 소비문화'라는 평가가 있다고 할 때,
과연 여기서 '불건전한'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또한 '문란한 성문화'라는
판단에서는 과연 어디까지가 '문란한' 것인가? 우리 앞에 나타난 청소년의 성
문화는 있는 그대로 기술된 것인가? 혼란스러운 사이버문화는 혹시 우리 성
인들에게만 혼란스러운 것은 아닌가? 청소년 자신들도 과연 청소년 사이버문
화가 정말 혼란스럽다고 기술할까? 민속방법론적 접근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것은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절차 그리고 이들이 선택하는 방법이 어떻게
묘사될 수 있는가에 따라서 문화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과
연 청소년의 소비문화, 성문화, 사이버문화 등은 어떠한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가?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민주적 절차와 과정 그리고 방법이 가장 중요하
다. 아무리 훌륭한 일이라도 민주적 절차와 과정 그러고 방법을 어기면 곧바
로 사회혼란상으로 이어진다. 청소년문화의 이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이들의 문화가 적합한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으로 형성된다면, 이들의 문화
에 대해서 지나치게 반응하는 성인층 또는 성인문화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물
론 그렇지 않다면 청소년문화에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이다.
특히 법치국가에서는 법적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이 또 하나의 중요한
관건이다. 청소년은 독립된 인간이지만 동시에 대부분은 '법적으로 미성년(물
론성년도 일부포함되지만)'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때 발생하는 법적 과정과 절
차 그리고 방법의 문제가 청소년문화의 이해를 위한 현실적 제약이 된다. 구
체적으로 법적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상의 문제가 발생할 때 청소년문화는
곧바로 '비행하위문화'로 전락된다. 이를테면 법적으로 미성년이기 때문에 아
직 성행위를 함부로 할 수 없는 청소년들의 문화는 불건전을 넘어서 '비행(排
行, violence)'이다. 그렇다면 아이러니컬하게도 만 20세 이상 법적으로 성년인
청소년(법적으로는 이상이 없지만)의 성행위는 비행에서 제외되는 것인가? 그런데
청소년문화를 형성해내는 청소년층이라는 것이 법적 성년과 미성년의 경계
선과 꼭 일치할 수 있는가? 청소년문화를 이해하는 또 다른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인간의 삶에는 법 이외에도 영향을 주는 기준들은 도덕, 윤리, 양심,
책임, 자유, 의지, 정의 등 수많은 영역들이 존재한다. 이렇게 본다는 민속방
법론적 접근에서 '기준'으로 작용하는 과정, 절차, 방법 역시 이를테면 '법'하
나로 제한될 이유는 없다. 결국 청소년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선 보다 포괄
적이고 다차원적인 상호 이해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조혜영(2009). 청소년문화의 집 이용 의미와 향후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 한상철(2004). 청소년학. 학지사
- 정주원(2006).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현상에 대한 고찰. 소비문화연구
- 김종길(2007).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 박정자(2006). 로빈스 크루소의 사치: 소비사회를 사는 현대인의 정경. 기파랑
- 유진이(2008). 청소년 여가문화시설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청소년시설환경학회
- 조혜영 외(2005).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개발원
면 오늘날의 우리 청소년문화는 '비행하위문화'임에 틀림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질문들에 대한 대답들이 보다 객관적 기준에서 이루어질 때까
지 성급한 판단은 유보될 수 있다.
(2) 민속방법론적 접근
문화기술연구 및 그의 연구방법론을 총칭하는 'Ethnography'는 기술민족학,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민족기술지, 종족지학, 민족지 등으로 번역된다. 우
리는 민속방법를으로 번역한다. 이는 인간사회와 문화의 다양한 현상을 정성
적, 정량적 조사기법을 사용한 현장조사를 통해 기술하여 연구하는 학문의 분야
이다떠키백괴. 민속방법른撚ograp의 어원은 그리스어 '(ethnos,사람들)'와 '(graphrein), 기록)'이다(위키백과). 즉, 사람들에 대한 기록을 의미한다.
주로 사회인류학과 문화인류학은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발전하여왔다.
문화해석학자 기어츠(템ifFord J. Geenz)는 현장참여연구를 통해 특정 문화 및 사
회와 집단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면서 인류학 연구를 수행하였다(클리퍼드 기어
츠, 문옥표 역, 1998).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은 참여적 관찰자로서 사건에 직접 참
여 관찰함으로써 인간의 문화적 행동과사고방식 등을 파악하려 한다. 따라서
이들은 일단 특정 문화를 '현상하는 그대로' '기술(識泌)하고', 이를 해석하는
과정과 절차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문화를 이해하는 방식을 취한다.
민속방법론은 비록 그것이 뒤르껭과 관심영역에서 일부 공유한다고 하더
라도 그의 사회학과는 전혀 다르다. 기어츠는 뒤르껭의 전통적 사회학과 민
속지방법론의 결정적인 차이점을 크게 두 가지로 보았는데, 첫째, 전통사회학
은 사회적 질서의 사실성(facticky)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사회에 대해 분
석하는 반면, 민속지방법론은 사회질서를 생산하고 이를 공유하게 하는 '과
정'과 '절차‘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둘째, 전통사회학은 사회집단에 참여하는
개인들에 대한 기술보다는 사회집단 자체에 대한 기술을 우선시하는 반면,
민속지방법론은 사회집단을 실제적으로 기술하려는 과정 속에서 개인들이
사용하는 '과정'과 '절차'에 대해서 기술하려 한다. 또한 민속방법론은 후설과
슈츠의 연구로부터 생활세계(Lebenswelt)의 개념을 차용해 오지만 이는 현상학
이 아니며, 사회질서를 형상 같은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하지만 게슈탈
트 이론의 형식도 아니다. 또한 질서 사용 등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이해를
차용하지만 그의 분석철학과도 판이하다.
민속방법론적 접근을 통해서 청소년문화를 이해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청
소년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정
교하게 접근하는 일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그리고 이를 있는 그대로 그리
고 나타나는 그대로 기술해내고 묘사(描脚)해낼 수 있는 능력이 요청된다.
이를테면 오늘날 청소년문화는 '불건전한 소비문화'라는 평가가 있다고 할 때,
과연 여기서 '불건전한'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또한 '문란한 성문화'라는
판단에서는 과연 어디까지가 '문란한' 것인가? 우리 앞에 나타난 청소년의 성
문화는 있는 그대로 기술된 것인가? 혼란스러운 사이버문화는 혹시 우리 성
인들에게만 혼란스러운 것은 아닌가? 청소년 자신들도 과연 청소년 사이버문
화가 정말 혼란스럽다고 기술할까? 민속방법론적 접근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것은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절차 그리고 이들이 선택하는 방법이 어떻게
묘사될 수 있는가에 따라서 문화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과
연 청소년의 소비문화, 성문화, 사이버문화 등은 어떠한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가?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민주적 절차와 과정 그리고 방법이 가장 중요하
다. 아무리 훌륭한 일이라도 민주적 절차와 과정 그러고 방법을 어기면 곧바
로 사회혼란상으로 이어진다. 청소년문화의 이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이들의 문화가 적합한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으로 형성된다면, 이들의 문화
에 대해서 지나치게 반응하는 성인층 또는 성인문화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물
론 그렇지 않다면 청소년문화에 문제의 소지가 있는 것이다.
특히 법치국가에서는 법적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이 또 하나의 중요한
관건이다. 청소년은 독립된 인간이지만 동시에 대부분은 '법적으로 미성년(물
론성년도 일부포함되지만)'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때 발생하는 법적 과정과 절
차 그리고 방법의 문제가 청소년문화의 이해를 위한 현실적 제약이 된다. 구
체적으로 법적 과정과 절차 그리고 방법상의 문제가 발생할 때 청소년문화는
곧바로 '비행하위문화'로 전락된다. 이를테면 법적으로 미성년이기 때문에 아
직 성행위를 함부로 할 수 없는 청소년들의 문화는 불건전을 넘어서 '비행(排
行, violence)'이다. 그렇다면 아이러니컬하게도 만 20세 이상 법적으로 성년인
청소년(법적으로는 이상이 없지만)의 성행위는 비행에서 제외되는 것인가? 그런데
청소년문화를 형성해내는 청소년층이라는 것이 법적 성년과 미성년의 경계
선과 꼭 일치할 수 있는가? 청소년문화를 이해하는 또 다른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인간의 삶에는 법 이외에도 영향을 주는 기준들은 도덕, 윤리, 양심,
책임, 자유, 의지, 정의 등 수많은 영역들이 존재한다. 이렇게 본다는 민속방
법론적 접근에서 '기준'으로 작용하는 과정, 절차, 방법 역시 이를테면 '법'하
나로 제한될 이유는 없다. 결국 청소년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선 보다 포괄
적이고 다차원적인 상호 이해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조혜영(2009). 청소년문화의 집 이용 의미와 향후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 한상철(2004). 청소년학. 학지사
- 정주원(2006). 몸의 소비문화적 의미와 현상에 대한 고찰. 소비문화연구
- 김종길(2007).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인식과 복합정체성 수행. 사회이론
- 박정자(2006). 로빈스 크루소의 사치: 소비사회를 사는 현대인의 정경. 기파랑
- 유진이(2008). 청소년 여가문화시설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청소년시설환경학회
- 조혜영 외(2005). 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개발원
추천자료
혁신 확산의 영향요인
지각의 메커니즘 영향요인 시사점
[삶의 질 제고]삶의 질의 개념, 삶의 질의 영향요인, 삶의 질의 수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
아동의 자아개념 형성과 영향요인, 학자별 발달단계 관점 파워포인트 보고서
국민연금제도의 도입배경 및 발달과정과 확산배경 및 영향요인
사회적 행동발달의 개념과 영향요인 및 이론과 교육
아동미술(어린이미술)의 필요성과 영향요인, 아동미술활동(어린이미술활동)의 의의, 아동미술...
민간위탁 단계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관리론. 지식관리론의 개념과 영향요인 및 사례
안철수의 리더십과 정치권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대권시나리오
청소년기의 부적응 행동실태의 영향요인과 사회복지 실천에 대해 논술하시오
청소년지도 집단역동의 영역과 원리, 집단역동 영향요인
유아기의 지능발달의 중요성을 환경과 교육의 영향요인으로 서술한다